* 이 기사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래 이름보다 소금에 통째 절인 이름으로 더 유명한 생선이 있습니다. 굴비, 조기입니다. 재야 민속학자 주강현 박사는 <조기에 관한 명상>에서 우리나라 신화에 유일하게 등장하는 조기를 통해 황해에 얽힌 역사와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풀어냈습니다. 흑산도를 거쳐 칠산 바다로 올라오는 조기의 길을 따라 예전에 풍성하게 잡혔던 조기들이 지금은 왜 씨가 말랐는지를 이 책에서 끈질기게 조망합니다.
한때 떼 지어 몰려다니며 놀던 조기는 마치 조선 반도에서 뿌리가 뽑힌 조선족이 식민과 냉전이라는 강고한 역사의 격랑에 휩쓸려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편제된 것과 유사합니다. 변방의 잡초로 취급받으면서도 중화 문화의 블랙홀에 맞서는 조선족은 맵찬 성질의 조기만큼이나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사투 아닌 사투를 벌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조기와 조선족은 황해의 거센 조류를 헤치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토해 놓을 수 있는 바다와 육지를 향해 '물질'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물질의 한 가운데를 가로 지르며 절망과 광기로 폭발하다 죽어가는 수컷들이 있습니다. 천민자본주의의 빛과 어둠 속을 부유하며 한 줄기 희망을 캐내려는 한 사내의 이야기, 영화 <황해>입니다.
폭력의 미학으로 고발하는 한국사회의 자화상영화는 '택시운전사', '살인자', '조선족', '황해' 등 모두 4가지 챕터로 전개됩니다. 각각의 챕터는 조선족 구남(하정우)과 정학(김윤식)을 날줄로, 조폭 출신의 운수회사 사장 태원(조성하)을 씨줄로 '폭력의 누아르'를 펼쳐 놓습니다. 도끼와 회칼과 족발의 도륙 속에 살점이 떨어져나가고 피가 솟구치며 뇌수가 터지는 아비규환의 핏빛이 스크린을 붉게 물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