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한, 양준혁, 동봉철69년생 동갑내기 김태한(위), 양준혁(왼쪽), 동봉철(오른쪽). 그 셋은 라이온즈 중흥기였던 93년의 주역이었다.
삼성 라이온즈
그들에 관한 기억 속에 숨은 그림처럼 물러앉아있는 이름 하나가 김태한이다(그들 4인의 선발진 중 김상엽, 박충식, 성준은 이미 한 번씩 '야구의 추억' 주인공으로 등장한 바 있다). 통산 44승에 불과한 평범한 이력, 야구장 밖으로 별다른 뉴스거리를 흘려준 적이 없는 조용한 성격. 그래서 꾸준함으로는 김상엽에, 투지로는 박충식에, 그리고 '느림'이라는 특이한 개성을 가졌던 성준에 가려 아주 빠르게 기억 저편으로 밀려나버렸던 투수.
그는 시속 140대 후반의 공을 던지던, 예나 지금이나 스카우트들을 설레게 하는 왼손 강속구 투수였고, 삼성은 1992년에 그를 1차로 뽑느라 양준혁을 1년간 흘려두어야 했다. 그러나 제구력이 다듬어지지 않았고 결정구도 가지지 못했던 그는 데뷔 첫 해 고작 3승에 그치며 기대를 배신했고, 그것은 언제나 그렇듯 양준혁이라는 '기회비용'과 대비되며 더 싸늘한 평가로 돌아왔다.
그러나 쌍방울 레이더스의 2차 지명을 거부하고 상무에 입대했다가 다시 방위병으로 복무전환하는 우여곡절을 겪은 절친한 친구 양준혁이 삼성으로 돌아온 93년, 그도 다시 부활했고 162이닝동안 2.83의 평균자책점, 14승으로 당당한 선발진의 주축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그 해,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반 사이 홀로 삼성 마운드를 지탱하다시피 했던 김성길을 방출한 데 이어, 전년도 나란히 13승을 올렸던 승률왕 오봉옥과 노히트노런투수 이태일이 4승과 2승으로 몰락한 폐허 위에서 김태한과 박충식이라는 신예가 돌출해 한국시리즈 진출을 성공시킨 것은 사실 기적과도 같은 것이었다.
용호상박, 93년 한국시리즈특히 그 해 라이온즈 드라마의 정점은 한국시리즈였다. 젊고 강한 팀 삼성과 완숙한 팀 해태. 물론 그 둘 사이에서 전문가들의 예측은 해태 쪽으로 한참 기울어져 있었다. 무엇보다도 단기전 필승카드인 철벽 마무리 선동열의 존재 유무, 그리고 큰 경기에서 더욱 크게 작용하는 경험 요소에서의 기울어짐 때문이었다.
1차전에서 해태 선발인 다승왕(17승) 조계현에 맞서 탈삼진왕(170개) 김상엽이 5회까지 1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1점을 앞서나갔지만 구원투수 유명선이 7회말 2사 후부터 연속포볼에 이어 이순철과 정회열, 이종범에게 연속안타를 맞으며 5대 1로 역전을 허용하고, 마무리 선동열에 막혀 한 판을 내주는 공식을 밟을 때까지만 해도 전문가들의 예상은 무난히 맞아 들어가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2차전. 한국시리즈에서만큼은 선동열도 따라갈 수 없는 위력을 발휘해왔던 '가을까치' 김정수가 해태 선발로 나선 그 경기에서 삼성의 맞상대 카드는 바로 김태한이었다. 오히려 1차전에 조계현에 맞선 김상엽은 그리 기울지 않는 매치업이었지만, 평소와 달리 정규시즌에서조차 2점대 평균자책점으로 10승을 올리며 안정감마저 더하고 있던 김정수의 경험과 카리스마는 꽤 높은 벽으로 보였다.
그러나 그 경기에서, 라이온즈 타선은 김정수에 이어 구원등판한 이강철마저 두들겨대며 여섯 점을 뽑아냈고, 반면 김태한은 해태 타이거즈 타선을 산발 7안타 무실점으로 틀어막아버렸다. 1984년의 최동원과 1988년의 문희수에 이은 역대 세 번째 한국시리즈 완봉승이었다.
그리고 그렇게 뒤집어낸 분위기는 박충식이 문희수, 선동열, 송유석에 맞서 홀로 15이닝을 버티며 1무승부를 '따냈던' 3차전과 김상엽의 2실점 호투와 양준혁, 김성현의 적시타로 뒤집어냈던 4차전으로 이어졌다. 그래서 얻은 결과는 2승 1무 1패, 삼성은 어느 때보다도 한국시리즈 제패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었다.
노회한 호랑이가 젊은 사자의 기세에 놀라 움츠러들던 그 순간, 굳이 라이온즈의 팬이 아니더라도 타이거즈의 장기집권에 조금씩 싫증을 내기 시작하던 야구팬들의 흥미가 집중되고 있었다. 그러나 기세라는 것은 언젠가 무뎌지게 마련이고 강팀의 저력이란 언젠가는 발휘되기 마련이듯, 잠실로 무대를 옮긴 5차전부터 해태는 다시 해태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1루에서 2루로, 다시 2루에서 3루로 도루를 해서 전진한 뒤 내야플라이 하나에 홈으로 파고들었던 이종범의 신들린 다리. 그리고 이제는 좀 힘이 떨어지는가 싶다가도 결정적인 순간이면 전성기로 돌아가 버리는 김성한과 이순철, 장채근의 한방이 고비마다 터졌다. 또 한두 점이라도 앞서가기 시작하면 되풀이되는 송유석과 선동열의 악몽같은 마무리. 그렇게 타이거즈는 남은 세 판을 휩쓸며 또 한 번 포효했고, 그렇게 라이온즈는 또 한 번 눈물을 흘렸다.
침체기 라이온즈의 버팀목, 박충식과 김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