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그 어느 때보다 경직돼 있다. 미국과 수교하고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적극 받아들이며 개혁을 추진하던 과거를 떠올리면, 오늘의 모습이 좀처럼 연상되지 않는다. 장쩌민, 후진타오에 이어 집권한 시진핑 국가주석은 유례 없는 3기 연임에 성공하며 국가통합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나의 중국이란 정치적 구호는 문화예술 등 사회 전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듯, 문학과 영화 등 중국에서 태어나는 작품 또한 이 시대 중국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30여 년 전, 냉전 종식과 중국 내 자유주의의 확대는 중국사회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중국 영화를 세계에 알린 장이머우와 첸카이거 같은 거장의 등장, 또 홍콩영화판에서 전성기를 맞은 중국계 배우들의 활약은 가히 인상적이었다. 그 시절 혜성처럼 등장한 그들의 면면은, 또 그들의 변화된 모습은 반대로 오늘날 중국의 경화된 사회상이 어떤 수준인지를 짐작케 한다.
최근 개봉한 장이머우의 <만강홍: 사라진 밀서>나 첸카이거의 <장진호>같은 영화를 보자면 이들이 시진핑 체제와 얼마나 가까이 붙어 있는지를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다. 이 뿐인가. 성룡을 비롯한 여러 홍콩 스타들 또한 중국 자본으로 강성한 중국의 면면을 알리는 애국영화를 거듭 찍어내는 것이 오늘날 중국 영화판이다. 거장이라 불러도 부족하지 않은 이들이 자유보다는 통합을, 민주보다는 성취를 이야기하는 상황은 반대로 중국 내 소장 작가들의 목소리가 나오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어렴풋이나마 알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