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유토피아> 스틸컷
롯데엔터테인먼트
재난과 함께 시작하기에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얼핏 재난영화처럼 느껴진다. 재난영화 하면 <샌 안드레아스>(2015년)나 <얼라이브>(1993년) 같은 영화가 쉽게 떠오른다. 특히 <샌 안드레아스>는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동일하게 대지진 이후 상황을 그렸다. 두 영화는 지진 말고는 별다른 공통점이 없는 듯하다. <샌 안드레아스>와 <얼라이브>를 종합했다고 하면 억지로 수긍할 수 있겠다만, 영리한 관객이라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확실히 결이 다르다는 사실을 파악할 것이다.
왜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관객은 이질감을 느끼게 될까. 재난영화라고 할 때의 그 재난은 지진, 쓰나미, 홍수 등 자연재난과 화재, 붕괴, 폭발 등 사회재난으로 법률상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주지하듯 초고층 건물의 화재나 비행기 추락처럼 인류문명의 산물과 관련한 재난이 종종 영화 소재로 활용된다. 일단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을 소재로 했으니 재난영화 범주에 들어야 할까.
엄태화 감독은 "대지진 속에서 아파트 한 채만 무너지지 않고 남았다는 설정을 관객들이 믿을 수 있도록 리얼함에 가장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엄 감독이 말한 '설정'에 주목해야 한다. 이 영화의 원작은 김숭늉 작가의 <유쾌한 왕따> 2부 '유쾌한 이웃'이다. 웹툰 혹은 만화가 원작이라는 뜻으로 영화의 설정이 만화적이다. 만화적 설정이라는 게 꼭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았겠지만, 만화적 설정이라는 말 자체로 리얼리즘과 거리가 느껴진다. 게다가 대지진 속에서 아파트 한 채만 무너지지 않고 남았다는 '설정'이 선입견을 확증한다.
전면적인 파괴를 초래한 상상을 불허할 대지진 속에서 무너지지 않은 건물이 있을 수 있지만, 이 넓은 세상에서 혹은 범위를 줄여 서울에서 그 많은 아파트 중에서 단 한 동만 남은 설정은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이 설정을 관객이 '리얼함'으로 믿는 건 불가능하다. 여기서부터 스텝이 꼬였다.
영화는 만화만큼이나 자유로운 상상을 펼칠 수 있는 곳이기에 엄 감독이 말한 '설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상을 관객과 제작진이 공통분모로 받아들이며 영화를 전개하는 '상상의 리얼리즘'이 좋은 영화에서 종종 목격된다. '상상의 리얼리즘'은 리얼리즘의 상상력과는 다르다. 보통 재난영화는 후자에 속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전자에 가깝다.
인간 또는 지구 역사에서 존재한 재난을 현실감 있게, 감독 말대로 리얼하게 그리고 그 속에서 곤경을 헤쳐나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는 게 통상의 재난영화라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미증유의 재난 속에서 살아남은 한 공간을 제시하며 그 공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인간사를 묘사한다. 재앙에서 유토피아를 찾아가는 대신 주어진 유토피아를 지키려 애쓰는 정반대 스토리이다. 재난영화가 흔히 휴머니즘이란 수식어를 소환한다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사회과학이라는 용어와 더 친해야 하지 싶다. 이 영화가 재난영화가 아닐, 양보하여 재난영화 비중이 낮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이다.
리바이어던의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