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버트에게 예치금 인출을 맡기는 1909년 10월 20일자 고종황제의 위임장. <파란 눈의 한국 혼, 헐버트>에 실린 사진.
저작권자 없음
고종은 비자금을 찾아 미국 은행에 넣어두라고 헐버트에게 지시했다. 이에 따라 헐버트는 상하이로 건너갔다. 그런데 거기서 청천벽력 같은 상황을 목격했다. 덕화은행에 가보니 통장 잔고가 0이었다. 고종이 모르는 새, 모조리 인출돼 버렸던 것이다. 인출된 시점은 전년도인 1908년이었다.
그 예금은 고종황제의 명령에 의해서만 인출될 수 있었다. 고종의 명령을 조작해 돈을 인출해간 사람이 있었다. 궁내부대신 이윤용이 그 주인공이다. 이윤용의 동생이 바로 이완용이다. 이윤용 역시 훗날 일본으로부터 훈장과 남작 작위를 받았다. 그에게 돈을 빼오라고 지시한 사람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다.
국제금융인인 김동진은 위 책에서 그 비자금이 대한제국 1년 총세입의 1.5%에 상당할 거라고 추정했다. 최근 4년간 대한민국 중앙정부의 1년 세입 총액이 400조원 내외였다.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재정 규모는 다르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1년 세입의 1.5%는 적은 금액이 아니다. 그런 거액이 이완용의 형에 의해 불법 인출돼 일본의 수중으로 들어간 것이다.
<미스터 션샤인>의 구동매는 예치금 상당액을 소녀한테 요구하고, 고애신은 자기가 갚아주겠노라고 나섰다. 그 금액이 대한제국 1년 예산의 1.5%나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드라마 속 인물들이 그런 상황을 연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돈은 사라졌지만, 헐버트는 포기하지 않았다. 예치금을 되찾고자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고종의 명령을 끝까지 지키기 위해서였다. 1919년에 고종이 죽은 뒤에도 예치금을 찾기 위한 헐버트의 노력은 달라지지 않았다.
1922년에는 이승만과 프린스턴대학 동창인 킴버랜드라는 인물을 통해 거물급 변호사인 윌콕스와 접촉했다. 윌콕스는 대통령선거 때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낸 인물이다. 헐버트는 킴버랜드에게 예치증서를 위탁하고 법적 해결을 부탁했다.
일제강점기 내내 헐버트는 예치금 때문에 분투했다. 하지만, 아무런 성과도 없었다. 그러던 중, 뜻밖의 난관에 직면했다. 예치증서를 보관한 킴버랜드가 태도를 바꾼 것이다.
오랫동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헐버트는 예치증서 반환을 요구했다. 뜻밖에도 킴버랜드는 거절했다. 이 때문에 헐버트는 워싱턴 시내 한복판에서 킴버랜드와 난투극까지 벌였다. 1942년의 일이다. 헐버트의 나이 79세 때였다. 80이 다 된 나이에 고종의 명령을 지킨다며 난투극까지 벌인 것이다.
그런 소동까지 벌였건만, 킴버랜드는 절대로 내놓지 않았다. 잘 보관하고 있다며 "최근에 이승만 부부랑 저녁식사를 했다"는 말로 헐버트를 누르려 했다. 공금 문제로 말썽이 많았을 뿐 아니라 임시정부에서 탄핵된 뒤에도 여전히 대통령 행세를 하는 이승만을 거론하면서 증서 반환을 거부한 것이다.
그런 상태로 헐버트는 1945년 해방을 맞이했고, 이번에는 이승만한테 문제 해결을 부탁했다. 헐버트한테는 킴버랜드에게 넘긴 서류 말고도 관련 문건이 더 있었다. 덕화은행이 고종으로부터 예금을 받았음을 확인하는 영수증, 일본측이 독일 정부에 예금 인출을 요청하는 서한, 자신이 킴버랜드로부터 받은 서한 등이 있었다. 헐버트는 이 문서들을 변호사를 통해 이승만 측에 넘겼다.
이 서류들을 모두 넘긴 뒤 헐버트는 1949년 8월 5일 눈을 감았다. 만약 몇 년 더 살았다면, 그는 훨씬 더 분통 터지는 상황에 직면했을지도 모른다. 킴버랜드보다는 이승만이 더 잘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나머지 서류를 그쪽에 넘겼을 것이다. 좀 더 살았다면 이승만에 대해서도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주미대사에게 비자금 문제 조사를 지시하는 1951년 11월 15일자 외무장관의 공문. <파란 눈의 한국 혼, 헐버트>에 실린 사진.
대한민국
서류를 인수한 이승만은 비자금 환수 작업에 착수했다. 외무부, 주미대사관, 재정부가 동원됐다. 그런데 그 뒤 어떻게 됐는지 알 길이 없다. 비자금을 찾지 못했다면 찾지 못했다는 기록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것마저도 기록이 없다. 환수 작업에 착수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이번에도 사건이 오리무중이 돼버린 것이다. 김동진은 이렇게 말한다.
"필자는 정부 문서를 구석구석 뒤져봤으나 내탕금 문제에 관한 우리 정부의 후속 조치에 대해 어떠한 기록도 발견할 수 없었다." -위의 책에서.
<미스터 션샤인>에서는 유진 초이의 동포애 덕분에 비자금 문제가 명쾌하게 해결됐다.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일본 측이 비자금을 가로챘을 뿐 아니라, 그 뒤 비자금 환수에 나선 사람들마저 모호한 행동으로 일관했다. 예치증서를 손에 넣은 킴버랜드는 시간을 질질 끌며 증서마저 반환하지 않았다. 그러더니, 해방 뒤에 서류 일부를 확보한 이승만은 국가기관을 동원해 문제 해결에 착수했지만, 12년간 재임하며 반일의 구호를 소리 높여 외치면서도 그 결과에 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는 중에 이 문제는 자연스레 잠잠해지고 말았다.
▲헐버트의 묘비. 서울시 마포구의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있다. 김종성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사람이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는 일에 관심이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오마이뉴스 유지영입니다. alreadyblues@gmail.com
'미스터션샤인' 이병헌이 돌려준 고종황제 비자금? 실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