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2TV <고려거란전쟁>의 한 장면
KBS
<요사>를 기록한 주체는 몽골족 원나라 조정이다. 요나라 조정이 강조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 전쟁에 관한 자료를 남겼기에, 원나라 조정 역시 같은 방향으로 기술했으리라 볼 수 있다.
요나라는 강조의 이름을 거론하며 전쟁을 일으켰고, 강조는 이 전쟁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이 때문에 강조 1인이 주목을 끌다 보니, 외교·국방의 시너지 작용이 관심을 덜 끄는 측면도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종시대 역사를 담은 <고려사> 현종세가에 따르면, 제2차 때 요성종이 지휘한 병력은 40만이다. 압록강을 막 넘은 이 대군을 일주일 간이나 묶어놓은 부대가 있다. <고려거란전쟁>에서 배우 지승현이 연기하는 양규 부대가 바로 그 주역이다. 이 부대의 활약은 거란군의 군사작전이 초장부터 꼬이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흥화진 점령에 실패한 요성종은 이 성에 대한 포위를 풀고 다음 작전에 착수했다. 하지만 흥화진을 그대로 둔 채 무작장 남하할 수는 없었다. <고려사> 양규열전은 요성종이 20만 명은 압록강 주변에 주둔시키고 나머지 20만 명만 지금의 평북 선천군인 통주(通州)로 진격시켰다고 설명한다. 양규 부대가 거란 대군의 절반을 묶어놓은 셈이다.
이 일은 전쟁의 전체 구도에 영향을 끼쳤다. 거란군은 남하하면서도 압록강 쪽을 흘끔흘끔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거란군은 앞만 보고 싸우는 데 집중할 수 없었다. 거란군이 개경에 침입해 궁궐을 불사른 뒤 도로 퇴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양규 부대의 전공은 그 정도로 그치지 않는다. 흥화진에서 뛰어나가 거란군에 장악된 고려 백성과 고려 땅을 되찾는 작전에서도 발군의 기량을 발휘했다. 양규는 강조가 잃은 통주를 되찾았다. 또, 거란군에 넘어간 곽주성(평북 정주)을 기습해 적군 6천을 섬멸하고 그곳 백성 7천을 통주로 이거시켰다. 개경을 침범했다가 퇴각하는 거란군 2천여 명을 압록강 근처에서 격퇴하고 백성 3천 명을 해방시키는 성과도 거뒀다.
양규는 목숨을 다해 이 전쟁에 임했다. 독립운동가 겸 역사학자 안확은 <조선무사 영웅전>에서 양규가 김숙흥 장군과 함께 벌인 최후의 전투를 이렇게 묘사했다. 개경을 침범하고 돌아오는 거란군을 격퇴한 뒤의 일이다.
"3일 후에 적의 원병이 크게 이르러 대전(大戰)이 열릴새 양(楊)이 소수의 병사로써 1일에 3회를 승첩하였으나 병력이 점차 고갈되어가매 양과 숙흥이 모두 역전 끝에 드디어 죽게 됐다. 그러나 적 또한 큰 비를 만나 수습치 못하고 퇴주하게 되니, 최후에 후(後)장군 정성(鄭成)이 추격하여 압록강에서 섬멸하였다."
양규는 거란 대군의 발목을 묶어놓고 이들의 작전에 차질을 줬을 뿐 아니라 본거지를 뛰쳐나가 적군을 기습하고 고려 백성들을 해방시켰다. 이런 방법으로 거란군의 제2차 고려 침공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양규 부대를 비롯한 정부군만 이 전쟁에 기여한 것은 당연히 아니다. 이 전쟁 1세기 뒤인 1123년에 송나라 사신단의 일원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남긴 <고려도경>은 고구려 조의선인 및 신라 화랑을 계승한 고려 승군들의 역할을 언급했다.
고려가 요나라에게 거짓말을 했던 까닭
▲KBS 2TV <고려거란전쟁>의 한 장면KBS
승군들은 서긍의 기록에서 재가화상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서긍은 "이전에 거란이 고려에 패배한 것도 바로 이들 때문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임진왜란 승병장인 사명대사 등으로 계승될 고려 승군의 전통이 거란족과의 기나긴 전쟁에서도 빛을 발했던 것이다.
양규 부대나 승군들이 거둔 군사적 성과에 더해, 고려 조정의 외교도 한몫을 했다. 요성종이 회군을 결심한 것은 고려 군사력을 당해내기 힘들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고려 조정이 철군의 명분을 제공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는 외국에 가서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욕 먹을 일이 아니지만, 과거 동아시아에서는 이것이 치욕으로 간주됐다. '친히 찾아가 알현한다'는 의미의 친조(親朝)는 제후가 천자에게 예의를 표시하는 예법으로 인식됐다. 그래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강대국과 사대관계를 맺더라도 친조만큼은 최대한 기피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형식상으로는 제후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주국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제2차 전쟁에서 고려는 친조 문제를 역이용했다. 요성종에게 '일단 돌아가 계시면 저희 군주가 직접 찾아가 알현하겠다'는 식의 거짓 약속을 해줌으로써 요성종이 덜 부끄럽게 철군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 뒤 요나라가 약속 이행을 촉구했지만, 고려는 무시해버렸다. 높이 평가할 만한 방법은 아니지만, 거란족이 흔쾌히 철군하게 만든 고려의 외교도 이 전쟁에 영향을 끼쳤다.
양규 및 승려들의 희생과 더불어 그런 외교작전도 요나라 군대를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제2차 고려·거란 전쟁과 관련해 강조에게만 지나치게 시선을 집중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