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가장 애정하는 감독 키릴 세레브렌니코프의 신작이 개봉한다는 소식에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들떠서는 극장으로 달려온 걸음이었다. 영화 시간이 조금 남아 대기하고 있던 중 친구로부터 문자 한 통이 들어왔다. 누군가의 부고가 실린 한 토막 기사 링크였다. 지금으로부터 십 수 년 전, 그러니까 내가 고등학교에 갓 입학했던 시절 처음 접했던 어느 어른이 그날 세상을 떠난 것이다.
그 시절 나는 신문을 읽지 않았다. 이제 신문에는 멋진 문장을 쓰는 이도, 시대를 앞서 민중을 이끌만한 이도, 탁월한 이도, 치열하게 부닥치는 이도 없지 않느냐고 나는 무엇도 제대로는 알지 못하는 애송이의 치기로써 외면하고 지내었던 것이다. 도서관에 틀어박혀서는 이미 죽어버린 작가의 글들만 탐독하면서, 이제 이 세상에는 읽을 만한 글도 배울만한 어른도 모조리 멸종되고만 것이 아니냐며 혐오에 가까운 비난을 퍼붓고는 하였다.
그때 친구가 건넨 건 어느 신문에서 오려낸 칼럼 하나였다. 네 말대로 멋진 언론도 탁월한 기자도 없는 건지 모르겠다. 너도 나만큼 많은 글을 읽었고 신문 또한 열심히 보았으니까. 하지만 그 허접한 신문에도 가끔은 이런 글이 실려.
그렇게 받아든 것이 한국 교육의 야만성을 일깨우는 한 편 칼럼이었다. 하루 열댓 시간씩 공부만 하다가 마침내는 스스로 목숨을 버린 초등학교 5학년 아이의 이야기로부터 소수의 승리자와 다수의 패배자만 양산할 뿐인, 노름판이며 장사판으로 전락하고만 한국의 교육현실을 맹렬히 질타하는 글이었다. 얼마나 통렬했는지! 어찌나 출중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