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로야구가 2011년, 서른 번째 시즌을 맞게 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울고 웃고 환호하고 분노했던 그 서른 해를 기념하고 되새겨 보고자 한다. 해마다 함께 기억할 만한 경기의 한 장면을 뽑고, 그것을 단면 삼아 그 시대의 한국야구를 재조명해보고자 기획을 마련했다.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했던 1982년부터 시작해 한 주에 한 해씩, 30주 동안 이어진다. - 기자말"허리가 아파오기 시작했을 때, 나는 그동안 너무 게을렀던 게 아닌가 하고 반성했어. 그래서 더 열심히 뛰었지. 뛰면 뛸수록 더 아팠지만, 그럴수록 더 강하게 뛰어야 이겨낼 수 있다고 생각했어. 그렇게 나 자신과 어리석은 대결을 벌이다가, 결국 제대로 쓰러지고 말았던 거지."'불사조' 박철순은 1982년 겨울의 한순간을 이렇게 회상했다. 프로원년이었던 그 해 24승을 올리며 팀의 원년 우승을 이끌었지만 곧 심각한 허리 디스크로 쓰러진 그의 지긋지긋한 15년간의 사투가 시작되던 순간이었다. 그리고 '몸이란 결국 정신의 지배를 받기 마련'이라는 시대적인 신념 속에 숨어 있던 치명적인 오류의 덫에, 한국프로야구가 배출한 첫 번째 별이 크게 걸려 넘어지던 순간이었다.
한국야구가 '몸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프로출범 이전까지 야구선수들은 흔히 '몸 관리'보다도 '인간관계 관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고, 그래서 운동보다는 경조사를, 보약보다는 술자리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서른 넘어서까지 유니폼을 입는 것은 고달픈 신세라고 생각하던 실업야구 시절에는 선수의 몸 역시 '썩어지면 흙이 될 것'에 불과했고, 굳이 몸을 아껴가며 한 해라도 더 오래 뛰는 것보다는 '화끈한 투지와 책임감과 희생정신'을 발휘해 조직과 주위의 인정을 받는 것이 곧 시작될 본격적인 직장생활에 보탬이 되는 요소였기 때문이다.
야구를 단지 은행이나 대기업에 취업하는 도구 이상으로 생각해 어깨에 보험을 든 최동원이나, 술 담배는커녕 커피조차 입에 대지 않았던 이만수 같은 젊은이들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야망은 종종 물정 모르는 풋내기의 철없는 짓으로나 여겨지곤 했다. 반면 '하면 된다'는 시대적 슬로건은 운동선수들에게 더 깊이 영향을 미쳐 먹고 자고 쉬고 치료하는 일의 중요성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프로야구가 출범한 이후로도 상황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었다. 연봉협상이 시작되면서 '몸이 재산'이라는 인식이 생기긴 했지만, 그 재산을 지키고 불려줄 노하우까지 뚝딱 생길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일교포 투수들이 '얼음찜질'이라는 것을 전수해주기 전까지는 경기를 마친 투수들이 열이 올라 벌겋게 충혈된 어깨를 뜨끈한 열탕에 담가 모세혈관들을 두 번 죽이는 미련한 짓을 되풀이하기도 했던 것이다.
프로야구, 몸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