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공기관 누리집 말글 씀씀이 살펴보기
지난 2009년 9월 2일부터 '한글사랑 지원단'이라는 이름으로 "정부 공공기관 누리집"에서 어떠한 말글을 쓰고 있는가를 살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은 20대 초반부터 30대 중후반 나이이면서 국어학ㆍ국문학 쪽에서 공부를 하거나 했던 분들, 국어교사(외국사람한테 한국말을 가르치는 교사까지)로 일했거나 출판사에서 책 만드는 일을 하신 분들, 번역일을 하신 분들을 두루 아우르며 쉰두 사람이 모여 이루어진 모임으로, 한글학회가 이끌고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국어원)가 돕고 있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에서 살펴보려고 하는 정부 공공기관 누리집 숫자는 무척 많아서, 지자체는 252군데이고 정부기관은 수천 군데가 됩니다. 그렇지만 이 모든 공공기관을 한꺼번에 들여다보면서 "공공기관 인터넷 사용 실태"를 살필 수는 없고, 먼저 571군데를 표본으로 뽑아서(지자체 252군데, 부처와 여러 기관 319군데) 이곳에서 어떻게 말글을 쓰고 있는가를 돌아보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누리집이 우리 말글을 어떻게 다루면서 나라 안팎 사람들한테 정보와 소식을 나누고 민원을 맡고 있는가를 따지는 보고서는 2010년 1월에 내놓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은 2010년 1월에 보고서를 내놓기 앞서, 이번 한글날을 맞이해서 중간보고서로 "전국 16개 시도(광역시와 도청)"와 "17개 부처(2처 15부)"에서 기관 이름과 상징들을 어떻게 쓰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571군데 기관에서 쓰는 '정책/사업 이름'과 '기관 이름'이 어떠한가를 먼저 밝히고자 합니다. (글쓴이 말)

 1. 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이름과 상징
 2. 중앙부처 누리집 이름과 상징
 3. 지자체와 중앙부처 정책/사업 이름
 4. 앞으로 이렇게 달라졌으면


열여섯 군데 광역시와 도청 가운데 열세 군데 상징말을 모아 놓았습니다. 이 상징말을 보면서 '대한민국 지자체'인지 알아볼 수 있을까요?
 열여섯 군데 광역시와 도청 가운데 열세 군데 상징말을 모아 놓았습니다. 이 상징말을 보면서 '대한민국 지자체'인지 알아볼 수 있을까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1. 지방자치단체 이름과 상징

지방자치단체는 시와 군과 구까지 통틀어 252군데입니다. 이 가운데 특별시는 하나(서울), 광역시는 여섯(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울산)이고, 도청은 아홉(경기, 강원, 제주, 충청북, 충청남, 전라북, 전라남, 경상북, 경상남)입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은 252군데 지자체 가운데 16군데 광역시와 도청을 먼저 살펴보았습니다.

 ┌ 상징글씨 : 로고(3), 로고타입(6), 디자인(1), CI(1), 시로고(1)
 ├ 상징무늬 : CI(3), 심벌마크(6), 심볼마크(3), 심벌(2), 상징심벌(1), 상징마크(2), 브랜드마크(1), 시로고(1)
 ├ 상징말 : BI(2), 브랜드슬로건(6), 슬로건(6), 도시브랜드(1), 브랜드그래픽(1), 워터마크(1), 브랜드마크(1), 엠블럼(1), 엠블렘(1), 월드브랜드(1)
 ├ 다짐말 : 슬로건(1), 지표(1), 도정목표(1), 비전(1), 시정구호(1)
 ├ 상징그림 : 캐릭터(11), 시캐릭터(1), 마스코트(4), 캐리커처(1)
 └ 상징모양 : 시그니춰(2), 시그니처(2)

지자체에서 쓰는 말을 살피면 같은 상징글씨나 상징무늬를 놓고 가리키는 낱말이 저마다 다를 뿐더러,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쓰기도 합니다. 인천광역시는 상징말을 'BI, 도시브랜드, 워드마크, 슬로건' 네 가지 낱말로 가리킵니다. 충청북도는 '브랜드슬로건, 브랜드마크' 두 가지 낱말을 함께 씁니다. 충청남도는 '엠블렘, 월드브랜드' 두 가지 낱말을 씁니다.

처음부터 통일을 할 만한 낱말이 없었다고 할 수 있으나, 지자체 스스로 알맞고 올바르게 말마디를 추스르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광주광역시는 'CI, 심볼마크' 두 가지를 함께 썼는데, 부산광역시는 상징글씨를 'CI'로 가리키기도 했습니다. 또한, '심벌'과 '심볼'을 뒤섞어 쓰고 있으며, '엠블럼'과 '엠블렘'으로 쓰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말씀씀이를 돌아본다면, 지자체에서 누리집을 마련하면서 우리 말과 글을 옳게 바르게 쓰려고 하는 생각이 거의 없거나 하나도 없지 않았느냐고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대전광역시는 이렇게 대문에 아예 '대전시'라는 말을 찾아볼 수 없도록 꾸며 놓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이 대전시민뿐 아니라 우리 나라 사람들한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대전광역시는 이렇게 대문에 아예 '대전시'라는 말을 찾아볼 수 없도록 꾸며 놓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이 대전시민뿐 아니라 우리 나라 사람들한테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광역시와 도청에서는 '영어로 된 슬로건을 알파벳으로 내세우는 모습'을 어디에서나 엿볼 수 있기도 합니다. 서울특별시는 'Hi Seoul'을 쓰며 말썽이 되지만, 누리집 화면에는 한글로만 '서울특별시'로 적습니다. 부산광역시는 처음부터 'Dynamic BUSAN'이라 크게 적고 옆에 한글로 '부산광역시'를 적습니다. 이는 대구광역시도 마찬가지로, 'Colorful DAEGU'를 크게 먼저 적은 다음에 한글을 적습니다. 이와 달리 광주광역시는 한글로만 시 이름을 적습니다. 다만, 광주광역시에서도 영어로 된 '슬로건'이 있어 "Your Partner GWANGJU"라고 쓰고 있습니다.

세 군데 광역시 인천과 대전과 울산은 아예 한글 이름을 쓰지 않습니다. 인천은 "Fly Incheon", 대전은 "It's DAEJEON", 울산은 "Ulsan for you"라고만 적어 놓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누리집을 보면, '한글/영어' 또는 '한글/영어/일어' 또는 '한글/영어/일어/중국어'로 누리집을 볼 수 있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러므로 기관이름이나 지자체이름을 따로 알파벳으로 밝혀서 적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지자체에서는 지나치게 영어를 마구 쓰고 있으며, 지자체 주민들이 알아볼 수 없거나 지자체 주민하고는 거의 상관없는 이름을 너무 손쉽게 붙이고 있습니다. 이런 이름 씀씀이는 경상북도에 이르러서는 어디에서도 '경상북도'라는 이름을 찾을 수 없고 "pride Gyeongbuk"이라고만 되어 있어, 이곳을 찾아올 한국사람한테 어떻게 도움이 될까를 알 수 없기까지 합니다.

광주광역시는 '유어 파트너'라는 상징말이 있으나 대문에는 이 말을 넣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로 밑에서 시장 인사를 하면서 집어넣고야 맙니다.
 광주광역시는 '유어 파트너'라는 상징말이 있으나 대문에는 이 말을 넣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로 밑에서 시장 인사를 하면서 집어넣고야 맙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그나마 광주광역시는 대문에 알파벳 상징말을 넣지 않습니다. 광주광역시가 쓰는 상징말은 "Your Partner Gwangju"인데, 이 말은 안쪽에 숨어 있습니다. 다만, 누리집 대문 아래쪽에 곧바로, "Your Partner 박광태입니다." 하고 적어 놓습니다. 그 밑에는 "Progress 광주"라고 적으면서 한껏 멋을 부리지만, 이런 멋부리기가 광주사람과 다른 곳 사람들한테 얼마나 멋스럽게 보일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 밑에는 "광주생각"과 "시장에게 바란다"라 적어 놓았습니다. 이 대목에서도 영어로 발라 놓을 수 있었는데, 그래도 이곳은 알맞게 살려 놓았습니다.

한편, 광주광역시 누리집을 살펴보면 '관련기관 홈페이지'에 들어갈 때에 '바로가기'라고 적으며 옆에는 '이동'이라 적어 놓습니다. 부산광역시는 알파벳으로 'go'를 쓰고 있습니다. 그나마 '사이트맵'이라고 한글로 적어 놓은 대목을 눈여겨보아야 한달까요. 요사이는 "열린 시장실"처럼 흔히 쓰는데, 부산광역시만큼은 "굿모닝 시장실"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대구광역시와 인천광역시에서는 '더보기'라는 낱말을 쓰지만, 서울특별시에서는 'more'를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도 '공지사항 more'라고 하면서, 한 누리집에서도 뒤죽박죽으로 쓰고 있는 모양새를 털어내지 못합니다. 더욱이, 대구광역시는 "What's news"라는 이름으로 '새소식'을 가리킵니다. 광주광역시와 서울특별시는 이 대목에서 깔끔하게 '새소식'이라고만 쓰고 있습니다. 인천광역시는 "Media Incheon 미디어인천"처럼 쓰면서 영어를 군더더기로 앞에 붙여놓고 있는 가운데, '로그인센터/마이스크랩/마이페이지' 같은 말을 쓰고, 'MOBILE'과 'SITEMAP'은 아예 알파벳으로 적어 놓습니다. 제대로 된 소통과 민원을 생각한다면, 영어로 멋을 부리는 누리집 만들기가 아니라, 누리집을 찾아오는 누구나 손쉽게 알아보고 찾아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

서울과 울산과 대전 누리집 가운데 한 대목씩. 우리는 조금만 더 마음을 쏟으면 한결 알차고 아름답고 맑게 글을 쓰고 누리집을 꾸밀 수 있습니다. 'more'를 쓰는 곳과 '더보기'를 쓰는 곳이 갈립니다.
 서울과 울산과 대전 누리집 가운데 한 대목씩. 우리는 조금만 더 마음을 쏟으면 한결 알차고 아름답고 맑게 글을 쓰고 누리집을 꾸밀 수 있습니다. 'more'를 쓰는 곳과 '더보기'를 쓰는 곳이 갈립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 Hi Seoul (서울특별시)
 ├ Dynamic BUSAN (부산광역시)
 ├ Colorful DAEGU (대구광역시)
 ├ Fly Incheon (인천광역시)
 ├ Your Partner GWANGJU (광주광역시)
 ├ It's DAEJEON (대전광역시)
 └ Ulsan for you (울산광역시)

 ┌ Global Inspiration (경기도)
 ├ 강원도 중심, 강원도 세상 (강원도)
 ├ Only Jeju (제주도)
 ├ BIG 충북 (충청북도)
 ├ RENOVATE Chungnam (충청남도)
 ├ 천년의 비상 (전라북도)
 ├ 녹색의 땅 전남 (전라남도)
 ├ pride Gyeongbuk (경상북도)
 └ feel GyengNam (경상남도)

지자체에서 쓰는 상징말(슬로건/브랜드/BI)을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오직 세 군데(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만이 알파벳으로 상징말을 붙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는 토씨 '-의'를 넣었습니다. 전라북도라면 "천년을 날다"나 "천년을 나는"으로 붙일 수 있었고, 전라남도라면 "푸른 땅 전남"이나 "푸른 삶터 전남"이나 "풀빛 꿈터 전남"처럼 적을 수 있었습니다. 전라남도가 쓴 '녹색(綠色)'이라는 한자말은 일본 한자말이라서 정부 공공기관에서는 쓰지 말도록 국어순화안이 내려진 지 퍽 여러 해가 지났으나, 전라남도는 이 낱말을 외려 도청을 나타내는 낱말로 버젓이 쓰고 있는 셈입니다.

지자체를 좀더 멋스럽고 남달리 나타내고 싶어하는 뜻은 알겠지만, 이와 같은 뜻을 이 같은 말마디로 담을 수밖에 없었을까 싶어 안타깝습니다. 적잖은 돈과 품을 들여서 이 같은 상징말이며 상징글씨며 상징무늬며 만들었을 텐데, 우리 넋과 얼을 좀더 깊이 헤아리려는 마음씨가 모자랐으며, 우리 터전과 삶을 한결 애틋하게 사랑하거나 보듬으려는 매무새가 얕았구나 싶습니다.

인천광역시 또한 '인천시'라는 이름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누리집(인터넷 홈페이지)를 꾸며 놓고 있는 모습은 누구 보라고 하는 일일까요? 모든 공공기관은 영어와 일본어로도 보여주고 있는데, 굳이 한국사람이 들여다볼 누리집에 한글을 안 넣는 까닭이 있을까요?
 인천광역시 또한 '인천시'라는 이름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누리집(인터넷 홈페이지)를 꾸며 놓고 있는 모습은 누구 보라고 하는 일일까요? 모든 공공기관은 영어와 일본어로도 보여주고 있는데, 굳이 한국사람이 들여다볼 누리집에 한글을 안 넣는 까닭이 있을까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와 인천광역시 누리집에서 한 곳씩 따와 봅니다. 저마다 쓰는 말이 다른데, 알맞게 쓴 말은 서로 배우고, 얄궂게 잘못 쓴 말은 서로 걸러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와 인천광역시 누리집에서 한 곳씩 따와 봅니다. 저마다 쓰는 말이 다른데, 알맞게 쓴 말은 서로 배우고, 얄궂게 잘못 쓴 말은 서로 걸러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뒤이어, "2. 공공기관 누리집 이름과 상징"을 다루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 광역시와 도청 상징무늬 씀씀이를 더 낱낱이 살펴보실 분은 '첨부파일'을 열어 보셔요.

- 글쓴이는 지금 <한글사랑 지원단>에서 모둠이끎이로 일하고 있습니다.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태그:#국어순화, #한글, #한글날, #우리말, #영어, #말글 씀씀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