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공기관 누리집 말씀씀이 살피기
 지난 2009년 9월 2일부터 '한글사랑 지원단'이라는 이름으로 "정부 공공기관 누리집"에서 어떠한 말글을 쓰고 있는가를 살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은 20대 초반부터 30대 중후반 나이이면서 국어학ㆍ국문학 쪽에서 공부를 하거나 했던 분들, 국어교사(외국사람한테 한국말을 가르치는 교사까지)로 일했거나 출판사에서 책 만드는 일을 하신 분들, 번역일을 하신 분들을 두루 아우르며 쉰두 사람이 모여 이루어진 모임으로, 한글학회가 이끌고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국어원)가 돕고 있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에서 살펴보려고 하는 정부 공공기관 누리집 숫자는 무척 많아서, 지자체는 252군데이고 정부기관은 수천 군데가 됩니다. 그렇지만 이 모든 공공기관을 한꺼번에 들여다보면서 "공공기관 인터넷 사용 실태"를 살필 수는 없고, 먼저 571군데를 표본으로 뽑아서(지자체 252군데, 부처와 여러 기관 319군데) 이곳에서 어떻게 말글을 쓰고 있는가를 돌아보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누리집이 우리 말글을 어떻게 다루면서 나라 안팎 사람들한테 정보와 소식을 나누고 민원을 맡고 있는가를 따지는 보고서는 2010년 1월에 내놓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은 2010년 1월에 보고서를 내놓기 앞서, 이번 한글날을 맞이해서 중간보고서로 "전국 16개 시도(광역시와 도청)"와 "17개 부처(2처 15부)"에서 기관 이름과 상징 들을 어떻게 쓰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571군데 기관에서 쓰는 '정책/사업 이름'과 '기관 이름'이 어떠한가를 먼저 밝히고자 합니다.

 1. 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이름과 상징
 2. 중앙부처 누리집 이름과 상징
 3. 지자체와 공공기관 정책/사업 이름
 4. 앞으로 이렇게 달라졌으면

중앙부처 17군데 누리집에서 쓰는 말 몇 가지를 모아 봅니다. 잘 쓰는 곳이 더러 보이는 한편, 얄궂게 쓰는 모습이 여러 곳에서 드러납니다. 공공기관끼리 서로서로 좋은 모습을 배우지 못하고, 아쉬운 모습을 비판하며 고쳐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앙부처 17군데 누리집에서 쓰는 말 몇 가지를 모아 봅니다. 잘 쓰는 곳이 더러 보이는 한편, 얄궂게 쓰는 모습이 여러 곳에서 드러납니다. 공공기관끼리 서로서로 좋은 모습을 배우지 못하고, 아쉬운 모습을 비판하며 고쳐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2. 중앙부처 누리집 이름과 상징

정부 중앙부처 누리집 갯수를 헤아리면 2000군데가 훨씬 넘습니다. '한글사랑 지원단' 실무자들은 이 누리집에 하나하나 들어가 보면서 이 많은 누리집 갯수에 크게 놀랐습니다만, 우리 삶터를 아우르면서 다스리는 부서는 참으로 많습니다. 큰 부서가 있고 작은 부서가 있습니다. 부서마다 사무실이 있어 우리들은 몸소 찾아가 민원을 넣기도 하고, 오늘날에는 모든 부서에서 인터넷으로 민원을 받아 인터넷으로 서류를 받을 수 있도록 짜여 있기도 합니다(아직 인터넷으로 받을 수 없는 서류도 몇 가지 있습니다만).

여느 사람들로서는 교육과학기술부 누리집이나 국방부 누리집이나 여성부 누리집이나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에 들어갈 일이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생각해 보면, 저마다 살고 있는 시군구 누리집이나 읍면동 누리집에 들어갈 일조차 얼마 없을는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요즈음은 시군구뿐 아니라 읍면동 누리집이 하나하나 갖추어져 있습니다. 정부 중앙부처 가운데 누리집이 없는 곳은 없으며, 중앙부처 누리집이고 지자체 누리집이고 '한글'을 비롯해 '영어/일본어/중국어'로도 들어가 볼 수 있도록 짜 놓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어느 공공기관 누리집이든, 첫째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손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누리집을 짜 놓아야 한다"는 큰 줄기가 하나 있고, "나라밖 사람들이 어려움 없이 들어와 볼 수 있도록 누리집을 짜 놓고 있다"는 큰 줄기가 하나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네 공공기관 누리집을 들여다보면, "한글을 아는 사람들이 들어와서 살펴볼 만한 눈높이와 테두리"로 되어 있지 않습니다. 영어를 아는 사람도 고개를 갸우뚱할 만한 말을 쓰는 누리집이 많고, 한문 지식이 많더라도 좀처럼 헤아리기 어려운 말을 쓴 누리집 또한 많습니다. 더구나, 중앙부처 이름을 기관 공무원 스스로도 얼마나 알아들을 수 있을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중앙부처에서 '알림판'과 '팝업존'을 섞갈린 채 그대로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 섞어서 아무렇게나 써야 할까요.
 중앙부처에서 '알림판'과 '팝업존'을 섞갈린 채 그대로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 섞어서 아무렇게나 써야 할까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한글사랑 지원단 실무자들은 정부 중앙부처는 모두 319군데를 뽑아서 살펴보았는데, 이곳 가운데 '한글 기관이름'은 뒤로 밀거나 잘 안 쓰면서 '알파벳으로 적은 기관이름'은 앞에 내세우거나 더 자주 쓰는 기관을 적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kobaco(한국방송광고공사) KSPO(국민체육진흥공단) KOFIC(영화진흥위원회)
  KOSAD(대한장애인체육회) K water(한국수자원공사) KORAIL(한국철도공사)
  TS(교통안전공단) ex(한국도로공사) KTV(한국정책방송) TPF(태권도진흥재단)
  K' ARTS(한국예술종합학교) KPC(신문발전위원회) KAC(한국공항공사)
  NPF(한국연구재단) KIAS(고등과학원) KOPRI(극지연구소) KRA(한국마사회)
  aT(농수산물유통공사) kr(한국농어촌공사) NFIS(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KIET(산업연구원) KINU(통일연구원) KRIHS(국토연구원)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KAIT(한국자산신탁) KHFC(한국주택금융공사)
  KODIT(신용보증기금) KAMCO(한국자산관리공사) RIPC(지역지식센터)
  SBC(중소기업진흥공단) Kbiz(중소기업중앙회) KIBO(기술보증기금)
  NiFDS(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IDP(방재연구소) KFSA(한국소방안전협회)
  KFI(한국소방산업기술원) FLIS(산지정보시스템) KFDA(식품의약품안전청)

아직은 '한글 기관이름'이 낯익다고 느끼는 곳이 있을 텐데, 그렇더라도 이 기관들은 앞으로는 '한글 기관이름'을 버리기로 한 곳들입니다. 그리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NH(농협)'와 'KDI(한국개발연구원)'와 'KITA.NET(한국무역협회)'은 아는 분은 알겠지만 모르는 분은 모를 만한 곳으로, 이 기관들은 아예 '한글 기관이름'을 안 쓰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4일, 주택공사와 토지공사가 하나가 되면서 새 이름을 붙였는데 알파벳 lh가 되었습니다.
 지난 10월 4일, 주택공사와 토지공사가 하나가 되면서 새 이름을 붙였는데 알파벳 lh가 되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농협이 'NH'로 이름을 바꿀 때 비판하는 목소리가 제법 높기는 했으나, 이와 비슷한 짜임새로, 'LH'라는 기관이 며칠 앞서(2009년 10월 4일) 새로 태어났습니다. 한국토지공사와 한국주택공사가 하나가 되면서 새 이름을 붙였는데, '한국토지주택공사'라는 말은 찾아볼 수 없고, 오직 'LH'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dibrary(디브러리)
 ├ koscom(코스콤)
 └ kotra(코트라)

그리고 '디브러리'와 '코스콤'과 '코트라'는 한글로 적는 기관이름마저 아예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이 기관들은 아예 '알파벳으로 적는 기관이름'만 쓰고 있습니다. 이 또한 "아는 분은 잘 알는지 모르"나 '디브러리'라고 하는 공공기관을 아는 한국사람이 얼마나 될는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이곳 디브러리에서 만들어서 쓰는 상징무늬나 상징그림 또한 영어를 짜깁기해 놓아, 책을 좋아하거나 자료를 찾으려는 사람들한테 제대로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없는지 알쏭달쏭하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습니다.

환경부에 딸린 기관인 '숲에on'은 '숲에온'이라고 해도 넉넉하지만, 굳이 '숲에on'처럼 기관이름을 씁니다. 이렇게까지 해야 숲사랑을 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아무래도 공직에 있으신 분들은 우리 말과 글을 알뜰히 아끼지 못하는구나 싶습니다. 공직자들이 몸담은 곳으로 찾아오는 사람들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여느 사람들한테 문턱을 낮추는 데에도 힘쓰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정부 중앙부처에서 쓰는 상징말을 살피면, 'MI', 'CI', '심볼/심벌' ,'심볼마크/심벌마크/마크' 같은 말을 아무렇게나 섞어 쓰는 가운데 'Symbol Mark(교육과학기술부)'처럼 아예 대놓고 알파벳으로만 적는 기관이 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ㄱ(기역)'을 셋을 붙인 상징무늬를 만들어 남달리 모범이 되지만, 이렇게 빚어낸 상징무늬를 가리킬 때에 'MI'와 'Symbol Mark'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이는 지자체하고 크게 다를 바 없이 안타까운 모습입니다. 좀더 생각하고 한 번 더 들여다보았다면 이 같은 아쉬움은 말끔히 털어낼 수 있지 않았을까요.

'찾기'라 쓰는 곳이 있고 '검색'이라 쓰는 곳이 있습니다. 우리는 어느 쪽 말을 쓸 때가 한결 나을까요? '더보기'와 'more' 사이에서는?
 '찾기'라 쓰는 곳이 있고 '검색'이라 쓰는 곳이 있습니다. 우리는 어느 쪽 말을 쓸 때가 한결 나을까요? '더보기'와 'more' 사이에서는?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ㄱ) 교육과학기술부 / 국방부 / 국토해양부 / 기획재정부 / 농림수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여성부 / 외교통상부 / 통일부 / 노동부 /
      법제처 / 국가보훈처
 (ㄴ) mke지식경제부
 (ㄷ) 보건복지가족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한편, 중앙부처 17군데를 살피면, (ㄱ)으로 묶은 열세 군데는 '한글 기관이름' 뒤에 알파벳으로 풀어낸 기관이름을 적습니다. (ㄴ)으로 묶은 한 군데는 알파벳 기관이름을 앞세우고 한글 기관이름은 뒤에 붙입니다. (ㄷ)으로 묶은 세 군데는 알파벳 기관이름은 한 마디도 붙이지 않고 한글 기관이름으로만 적습니다.

앞서 말씀드리기도 했지만, 중앙부처뿐 아니라 읍면동 누리집에도 '한글로 보기'만 아니라 '영어로 보기'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들이 중앙부처이든 지자체이든 누리집에 들어갈 때에는 따로 알파벳으로 적은 이름을 살펴보지 않아도 됩니다. 그래서 (ㄷ)처럼 세 군데 중앙부처에서는 알파벳 기관이름을 따로 붙이지 않습니다. 나라밖 사람들한테 보여주려 할 때에는 알맞게 영어로 적어서 보여주면 될 테지만, 나라안 우리들이 들어가 보는 누리집 자리에서는 한글로 쉽고 알맞고 바르게 적을 때가 가장 올바르고 훌륭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군더더기를 하나 하나 털어내 주어야 비로소 우리 인터넷 문화 또한 아름답고 싱그러운 쪽으로 거듭나거나 발돋움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지자체 누리집을 볼 때와 매한가지로, 중앙부처 누리집에서도 'more'를 쓰는 곳이 있고 '더보기'를 쓰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바기'를 쓰는 곳과 '이동'을 쓰는 곳이 있고, '찾기'와 '검색'이 뒤섞여 쓰입니다. '알림판'이나 '알려드립니다'라고 쓰는 곳이 있는 가운데 '팝업존'과 'popup'과 'popup zone'이라 쓰는 곳이 있습니다. 또한, '스크랩'이나 'scrap' 같은 말을 쓰는 누리집이 있으며, '퍼가기'라고 쓴 누리집(농림수산식품부)이 있습니다. 국방부에서는 '브리핑'과 함께 'Briefing'이라는 말을 섞어 쓰고 있는데, 이렇게 영어를 두 가지 꼴로 써야 할 까닭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guick menu'라고 으레 쓰는 이름을 '바로가기메뉴'라 적은 누리집(법무부)이 있어서, 이런 대목을 보면서는 더없이 반갑다고 느낍니다.

다만, 여러모로 아쉽다고 한다면, 잘 쓰고 있는 모습을 다른 기관에서 찬찬히 살피며 배우지 못하고, 잘못 쓰고 있는 모습을 기관 스스로 깨닫지 못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펴내는 <국어순화자료>에도 버젓이 '다운로드'는 '내려받기'로 고쳐쓰도록 나와 있으나, 정부 중앙부처 스스로 이런 '글다듬기'를 맞추거나 살피지 않고 있습니다.

기관마다 '상징무늬'나 '상징그림'을 쓸 때에 온갖 영어를 뒤섞어 놓고 있습니다.
 기관마다 '상징무늬'나 '상징그림'을 쓸 때에 온갖 영어를 뒤섞어 놓고 있습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뒤이어, "3. 공공기관 정책/사업 이름"을 다루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는 한글학회에서 꾸리는 <한글사랑 지원단> 모둠이끎이(단장)를 맡고 있습니다.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태그:#누리집, #한글날, #한글, #우리말, #국어순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