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젊은 남자가 버스 좌석에 앉아 멍하니 창밖을 바라본다. 그 곁으로 노인이 다가온다. 남자가 이를 알아채지 못하자 다른 중년 승객이 그를 나무란다. 그러자 남자가 자리에서 일어나 버스에서 내리려다 철퍼닥 바닥에 넘어진다. 이 남자, 다리를 절뚝인다. 머쓱해 하는 중년 승객. 남자는 버스가 멀어지자 아무 일 없다는 듯 발걸음을 빠르게 옮기며 조소를 짓는다. 그는 비장애인이었다.
<유주얼 서스펙트>의 마지막 장면이 아니다. 이시카와 케이 감독의 장편 데뷔작 <우행록: 어리석은 자의 기록>의 도입부다. 인간이 인간을 속일 수 있다는 것을, 영화의 편집이 관객을 속일 수 있다는 것을, 이제 관객이 믿어야 할 주인공도 그러한 인간이라는 것을 함축적이고 매력적으로 드러내는 오프닝 시퀀스라 할 수 있다.
의도하든 의도치 않았든, 그 의도의 크기가 얼마나 됐든 인간은 일정정도 비열함을 지니고 있고 그래서 더 어리석은 선택도 한다.
1년 전 일가족 살인사건을 쫓는 기자 또한 그런 어리석은 인간 중 하나일 뿐이다. 그 기자의 시선으로 일가족 살인사건의 진상을 따라잡는 취재(회고)의 형식을 취한 <우행록>은 그 인간들의 이면으로 채워진 일본사회를 냉정하고 건조하게 바라보는 동시에 앞서 소개한 오프닝 시퀀스만으로 충분히 시선을 잡아 끌만한 미스터리 드라마였다.
이 데뷔작으로 베니스국제영화제 오리종티 부문에 진출했던 그가 본업(?)의 세계로 돌아왔다. 피아니스트의 세계를 그린 <벌꿀과 천둥>(2020), 일종의 SF 드라마이자 국내 미개봉작인 <아크>(2021) 등을 경유한 이시카와 케이 감독의 신작 <한 남자>는 미스터리 소설을 원작 삼아 페르소나라 불릴 만한 츠마부키 사토시가 주연을 맡은 역시나 미스터리 드라마다.
본업의 세계라 표현한 건 살짝 과장이지만 어떤 반가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한 남자>는 강렬한 데뷔작을 통해 입증했던 일본사회와 인간을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이 한층 더 깊어졌고, 원숙해졌음을 또 한 번 증명하는 수작이다. 한국의 주류 영화에서 쉬이 만나볼 수 없는 차분하고 응축된 시선과 사회적인 끊을 놓지 않으려는 결기가 인간의 정체성이란 화두에 단단히 결합돼 있다. 2시간의 상영 시간이 물 흐르듯 흘러간다.
박복한 여자의 남편이 남편이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