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든 싫든 우리는 오펜하이머의 세계에 살고 있고, 앞으로도 마찬가지 일겁니다."
지난달 7월 21일 <오펜하이머>의 북미 개봉 직후, 현지 언론과 인터뷰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전언이다. 맞다. 인류는 미국이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해 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킨 이후, 우리는 핵전쟁의 위험과 공포 자장 아래 살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는 원자폭탄을 개발한 오펜하이머(킬리안 머피)의 세계를 영화 관람 전후로 돌아볼 수밖에 없다.
크리스토퍼 놀란이란 현존하는 가장 대중적이고 영향력 있는 거장 중 한명의 신작 <오펜하이머>는 그의 영화 최초로 역사 전기 드라마를 표방하고 있다. <인터스텔라>가 관객들에게 블랙홀을 공부하게 만들었다면, <오펜하이머>는 '원자 폭탄의 아버지'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그가 살았던 20세 중반을 전후한 미국 사회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그것도 아주 진지하게.
'왜, 어째서 '원자 폭탄의 아버지'는 몰락해야 했을까'.
영화를 아무리 곱씹어도, 놀란 감독이 인터뷰에서 어떤 감언 혹은 진심으로 포장을 했어도 <오펜하이머>의 본질적인 질문은 이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이 질문을 탐구하기 위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180페이지짜리 대본을 들고 3시간짜리 IMAX 영화를 찍기 위해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동의하에 1억8천만 달러, 한화로 약 2284억 원을 쏟아 부었다.
그러니까,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투하하는 놀란의 비싼 질문에 제78주년 광복절 당일 극장을 찾은 관객 55만 명이 반응한 셈이다. 물론 질문이 거기서 끝나선 곤란하다. 본인의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놀란 감독은 '과학자의 윤리적 책임은 어디까지인가'와 '당시 미국 정치 상황은 어땠나'에 이어 결국은 '오펜하이머라는 과학자는 어떤 인간이었나'라는 탐구를 확장시킨다.
<오펜하이머>는 놀란의 전작들보다 훨씬 더 지적이고, 근원적으로 암울하며, 체험보다 경험을 요하는 영화다. 시대가 그랬고, 인물이 그랬다. 이러려면 왜 IMAX나 CGI 없는 촬영을 고집했나란 세간의 의문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무엇보다, 끊임없이 관객에게 질문을 해대면서 신경을 건드린다.
관객들은 마치 오펜하이머가 위원회 석상에서 '너가 빨갱이가 아니란 걸 증명해 봐'란 질문을 받았던 것처럼 무수하고 진중한 질문과 마주해야만 한다. <오펜하이머>는 분명 놀란의 걸작이자 <덩케르크>의 전쟁영화 장르를 뛰어 넘는 문제작이다. 일반적으론 그의 영화 중 가장 비상업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본인들의 현대사이자 시대를 풍미한 아이콘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미국 관객들이 아니라면 말이다. 우리 관객들의 반응이 그래서 더 미칠 듯이 궁금하다.
'미국'의 프로메테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