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의 한 장면.
SBS
"불나면 경찰도 소방이 구해줘야 살아, 알아?" (소방 봉도진)
"소방도 범죄 당하면은 경찰이 구해줘야 살아." (경찰 진호개)
"둘 다 다치면 내가 구급 처치해야 살거든요?" (구급 송설)
경찰과 소방, 그리고 응급의 관계를 재치 있게 풀어낸 무릎을 치게 되는 대사다. 예상 외로 너른 소방과 관계된 사건을 다루는 만큼 소방과 경찰 간의 대립과 화합이 키포인트일 터. 이를 성공적으로 그린 <소방서 옆 경찰서>는 개인적으로 근래 SBS 금토드라마 히트작 중 비교적 저평가 받은 작품으로 기억된다.
<모범택시> 시리즈를 필두로 일련의 SBS 금토드라마는 하나의 계보를 구축해 왔다. 유쾌한 선인이 액션과 코미디를 곁들여 권선징악에 나서는 활극들 말이다. 선악 구도나 편집의 리듬, 흡사한 배경 음악까지 시청률을 향한 제작사의 일관된 의지가 아니라면 설명하기 힘든 유사성의 세계라 할 만했다. 심지어 <법쩐>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는데 주인공의 직업이나 악당, 주요 배경을 금융맨과 검사, 검찰로 바꿨어도 유사성에서 비롯된 묘한 기시감이 들 정도였다.
<소방서 옆 경찰서>는 다르다. 형사·수사 드라마로서의 미덕과 매력을 밀어붙이는 가운데 소방이란 신선한 소재를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 데 성공했다. 매 회 새로운 사건을 해결하면서도 최종 빌런과의 대결을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서사구조도 나무랄 데 없었다. 일종의 삼각관계인 경찰과 소방, 응급을 대변하는 세 남녀 주인공의 적절한 긴장감도 매력적이었다.
무엇보다, 속도감이 남달랐다. 그러기 위해선 군더더기가 없어야 한다. 형사는 범인을 잡고 수사를 하며, 소방은 불을 끄고 화재 원인을 분석하며 응급 구조에만 매진하면 된다. 방영 시간을 늘리는 회상이나 고속 촬영 장면을 남발하는 애정신, 시시껄렁한 코미디의 삽입 같은 곁가지? <소방서 옆 경찰서>엔 없다.
웰메이든 장르 드라마는 그래야 한다. 군더더기나 곁가지를 제거하고 덜어내는 순간, <소방서 옆 경찰서>의 속도감은 동종 한국 드라마 중 최강이라 할 만했다. 실제 60분이 넘는 한 회당 분량 중 대체로 40분에서 45분이면 에피소드 별 사건이 해결되는 식이었다.
지상파에서 방영되는 장르드라마의 어떤 성취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았다. 그것이 고 이힘찬 PD 사망 사건과 같은 스태프들의 희생 위에 구축된 성취라 할지라도 말이다. 그리고, 1년 반 만에 시즌2인 <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가 당도했다. 헌데, 4회까지 전개가 살짝 수상하다. 그건 비단 주인공 중 한 명인 봉도진(손호준)을 죽여서가 아니었다.
특유의 매력이 반감된 초반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