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에무필름즈
로맨스의 핵심
러시아의 예술이론가 블라디미르 프로프가 말한 민담 혹은 옛이야기의 31가지 기능이나, 이것을 압축하여 영화 서사에 맞춰 설명한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의 여정(Hero's Journey)'은 더 명확한 구조화를 꾀한다.
'영웅의 여정'은 ▲일상 세계(Ordinary World) ▲모험의 부름(Call to Adventure) ▲거부(Refusal of the Call) ▲조력자와 만남(Meeting with the Mentor) ▲첫 번째 관문 통과(Crossing the First Threshold) ▲시험, 동료, 적(Tests, Allies, and Enemies) ▲접근(Approach to the Inmost Cave) ▲중대한 시험(The Ordeal) ▲보상(Reward) ▲돌아오는 길(The Road Back) ▲부활(The Resurrection) ▲엘릭서(Return with the Elixir)의 12개로 구성돼 개수가 많은 프로프 이론보다 자주 인용된다.
많은 팬이 이 영화를 '인생 로맨스'로 꼽는다. 그 이유는 스토리가 시원하게 풀려나가고 국면 전환이 빠르지만 내내 로맨스의 핵심을 꽉 붙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의 플로차트에 들어갈 요소를 모두 채워 넣어 관객으로부터 공감을 끌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보글러의 '영웅의 여정'의 요소를 모두 채웠다고 '인생 로맨스'가 되지는 않는다. 요소마다 사랑의 심리나 감정을 잘 버무렸기에, 즉 디테일을 살렸기에 영화 팬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었다.
이 영화의 매력은 시작과 끝에 집중해 극을 전개한 데서 생긴다. 영화에서 두 사람이 사랑한 기간은 별로 길지 않다. 17살의 짧은 첫사랑의 열병과 헤어짐, 24살의 재회와 결합은 구조상 액자영화에 가깝다. 동시에 본 줄거리이기도 하다. 여기에, 치매에 걸린 앨리와 그를 옆에서 지키며 옛날 그들의 사랑을 회고하는 노아 두 사람의 인생 끝자락이 따라붙는다.
회고는 구성상 부수적 줄거리가 돼야 하지만, 의미상으론 그렇지 않다. 두 노인은 같은 날 밤에 함께 늙어 죽는다. 선형으로 배치하지 않았고, 별개처럼 구성했지만 하나인 이 이야기에서 빠진 것은 시작과 끝 사이의, 더는 극적이지 않고 대부분 평범하며 때로 지루한, 사랑으로 표현되지 않는 사랑하는 사람 사이의 삶이다.
플래시백으로 구성해 마치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외양을 취한다. 그리하여 영화는 두 청춘의 사랑이 열매를 맺는 장면으로 끝낼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로 마무리한 셈이다. 어떤 이들에게 이 영화가 '인생 로맨스'로 각인됐다면, 동화에서 "그리하여 두 사람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는 선언만 하고 행복의 실체를 생략한 것과 달리 영화에서 그 실체를 보여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는 행복한 결말에서 열정적인 시작을 추적한다. 결말까지 보여준 셈이다.
그러나 행복한 결말의 선언을 작정하고 보여준 연출은 또 다른 동화적 진술이다. 실화에 바탕했다는, 결과를 제시하는 동화적 진술에 따른 행복의 실체의 제시는 착시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는 식의 사랑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만큼 감독은 같은 시간에 죽는 마무리 설정을 통해 관객에게 그러한 인상을 심어준다.
두 사람 사랑의 실제 삶이 불행했다는 뜻이 아니다. 아무리 행복한 부부의 삶도 사랑의 열정에 휩싸인 순간의 기쁨과는 다르다. 엄밀하게 그것은, 종종 사랑을 완전히 배신하기도 하는, 사랑에서 파생한 삶이다. 즉 둘은 완벽하게 다른 종류의 감정이자 삶의 양태이다. 닉 카사베츠 감독은 다른 두 개를 교묘하게 엮어서 전체로서 하나인 것처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보글러의 '영웅의 여정'의 마지막은 엘릭서(Elixir)를 지니고 돌아오는 것이다. 엘릭서는 마법의 약이나 불로장생의 약을 뜻한다. 연금술에서는 생명을 연장하거나 모든 병을 치유하는 신비의 물질로 간주했다. 서사에서 엘릭서는 상징으로 의미가 확대된다. 영웅이 모험을 통해 얻는 귀중한 보상으로, 물질적인 것일 수 있지만, 지혜, 통찰 같은 추상적인 것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서는 사랑이다.
<노트북>이 영웅서사라면 영웅은 남자 주인공인 노아로 여겨진다. 가부장제에 입각한 서사라는 비판이 가능해 보이는데, 모르는 척 넘어가 줘도 되지 싶다. 가부장제 시대의 사랑을 그렸기에 가부장제의 그늘이 어리는 걸 피하지 못했다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