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 교장의 운전병이었던 한 일병이 어느 날 아침 사체로 발견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해당 군인은 전날 육사 교장의 차와 권총을 탈취했다. 그리고 그날 밤 냇가 옆에 차를 세운 후 차 안에서 자기 머리에 총을 쏜 후 냇가로 내려가 옷을 벗고 다시 차로 올라와 심장에 쏴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걸 누가 그대로 믿을 수 있을까?

지난 11일 MBC < PD수첩 >에서는 '군 의문사 : 내가 죽은 이유' 편이 방송되었다. 이날 방송에서는 군 사망사고진상규명위가 조사한 3가지 의문사들을 중심으로 진실을 추적하고 군 사망사고진상규명위 종료 순간도 담았다. 취재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해당 회차를 연출한 임다솔 PD를 지난 12일 서울 상암 MBC 사옥에서 만났다. 다음은 임 PD와 나눈 일문일답 정리한 것.

"머리에 총 쏘고 냇가에서 헤맸다? 말이 안 된다"
 
 < PD수첩 >의 한 장면

< PD수첩 >의 한 장면 ⓒ MBC

 
- 군 의문사에 대한 걸 취재하셨잖아요. 이건 어떻게 하게 됐나요?
" 제보자의 제보로 시작한 거죠. 제보자분께서 예전 의문사위에서 일하셨는데 그 당시 가지고 계셨던 군 사망사고 기록을 저희한테 주셨어요. 저희가 봐도 이상하더라고요. 그래서 저희는 그걸 가지고 취재하게 됐고요."

- 처음에 취재는 뭐부터 했나요?
"제보 온 사건 중 임재홍(가명) 일병 사건부터 시작했어요. 총 5개의 사건이 있었거든요. 모두 자살로 처리된. M16으로 턱과 복부를 쏘고 사망한 건, 대퇴부와 턱을 쏘고 사망한 건, 이마와 관자놀이를 쏘고 사망한 건. 권총으로 심장과 머리를 쏘고 죽은 건이에요."

- 그러면 제보 받았을 때 어땠나요?
"저는 총에 대한 관련 지식이 없으니까, 심장을 쏘고 머리를 다시 쏠 수가 있나라는 정도의 가벼운 의문이었어요. 그런데 M16 사건 경우에도 총상 위치만 보고도 다들 이상하다고 하고, 권총도 일병이 안 다룬다고 하길래 이거 자살 아니겠다고 생각했죠. 취재 중 법의학자분들이나 전문가분들이 봤을 때 그게 정말로 불가능한 일이고 너무 어렵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놀라기도 했고요."

- 임 일병 사망에 쓰인 총이 육사 교장 거라고 나오던데 육사 교장과는 무관한가요?
"일반적으로 권총은 사병이 접근하기 어려운 총이라고 해서, 저희도 취재 처음 시작할 때 의심했는데 교장의 전속 부관 등의 인터뷰 통해서 들어보니 관련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 당시에 출장 중이셨고, 전속 부관의 기억에 교장이 돌아가서 보고받으셨을 때 굉장히 화를 내셨다고 하더라고요. 왜냐면 자기 차를 끌고 자기 총이 사용된 사건이니까 자기를 죽이려고 한 건가라고 생각하셔서 더 수사하라 했는데, 자신을 노린 게 아니니까 빠르게 마무리됐다고 얘기해 주셔서 교장과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임 일병이 권총을 훔친 걸까요?
"일단 기록상으로는 훔친 거예요. 왜냐면 그건 본인의 총이 아니잖아요. 그분이 당번병이었잖아요. 그분이 당번병이어서 총에 접근이 가능하셨대요. 그리고 몰고 나간 차도 당번병이다 보니까 교장이 심부름 시키잖아요. 그래서 그 차도 일단 접근이 가능했다는 거예요. 휴가 때마다 차를 쓰셨대요. 그래서 사실 총과 차에는 접근이 가능한 분이셨던 거죠. 그래서 총과 차만으로 의심하기보다 발견이 됐을 때 시신은 차에 있는데, 거기서 7.8m 떨어진 냇가에 혈흔 묻은 옷들이 있었다는 게 가장 의심스럽죠."

- 방송에 보니 냇가에서 옷을 벗은 후 이마에 총 쏘고 올라와 심장에 총을 쐈다고 나오던데 심장은 어디에서 쏜 건가요?
"기록상으론 차 안이요. 머리에 총을 쏘고, 차 밖으로 나가서, 냇가에서 옷을 벗고, 다시 차로 돌아와서 심장을 쏘고 죽었다고 나와 있어요. 근데 머리에 총을 맞은 채로 헤매고, 옷도 벗고, 다시 돌아와서 심장까지 쐈다는 게 말이 안 되죠.

일단은 맨 처음에 현장을 1번으로 보잖아요. 현장에서는 차 안에 총과 탄두 2개가 있었고 시신이 옷 벗은 채 차 안에 있었어요. 근데 혈흔이 묻은 옷이 차 안에 없고 냇가에 떨어져 있었어요. 머리와 심장을 쏴서 죽었는데 어디가 먼저 쏜 건지 법의학적으로 밝혀보니까 머리부터 쐈대요. 그래서 순서상으로는 일단 명백한 증거로는 차 안에 시체가 있고 탄두 2개, 그리고 총기가 거기 놓여 있었고 차 안에 신발-단화가 있었다고 나와 있고요.

그리고 총을 쏜 순서는 머리를 먼저 쏘고 그다음에 심장을 쐈다는 거죠. 근데 피가 지금 냇가에 있잖아요. 그러나 이분들은 자살로 마무리를 지어야 되잖아요. 제 생각에 그걸 마무리 짓기 위해서는 차에서 총을 쏘고 냇가에 가서 어쩌고저쩌고하다가 다시 차에 돌아와서 심장을 쐈다고 증거에 맞게 짜맞춘 것 같아요."

- 기록엔 차에서 머리에 총 쏘고 냇가 가서 옷 벗고 올라와 심장 쐈다는 거예요?
"맞아요. 수사 기록에는 차를 정차하고, 신발 벗고, 차에서 머리 쏘고 양말만 신은 채 내려가서 냇가에서 헤매다가 다시 올라와서 총을 집어 들고 심장을 쐈다고 돼 있는 거죠."

- 차에서 총 쏘면 차에 혈흔이 있어야잖아요.
"차에 피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기록에 정확히 없어서 모르겠는데, 차에서 발견됐을 때 머리에 총을 맞은 상태잖아요. 부검 기록을 보면 총알이 눈을 건드렸어요. 뇌 아래쪽으로 지나갔어요. 그럼, 코나 입에서 피가 울컥울컥 나와서 얼굴이 지저분했어야 된대요. 근데 그 목격자가 기억하기로는 얼굴이 깨끗했다고 해요. 총기라는 게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잖아요. 그래서 더 충격이었던 건지 모르겠지만 그분이 아직도 기억하시더라고요. 양말만 신고 있었고 상의는 안 입었었던 걸 기억하고 계시고. 얼굴은 되게 깨끗했던 기억이라고 하셨어요."
 
- 일단 머리에 총 맞은 건 맞는데 왜 깨끗할까요?
"저희의 추측으로는 냇가에서 일이 벌어졌고 사실은 냇가니까 피 같은 게 씻겨 나갔고 그러고 시체를 끌고 와서 차에 누인 것 같아요. 왜냐면 끈 흔적이 몸에 있으니까요. 그러면 얼굴이 깨끗했던 게 말이 되죠. 왜냐하면 피를 굉장히 많이 흘렸다고 되어 있거든요."

- 추측해 보자면 임 일병은 냇가에서 누군가로부터 가격 당하고 총 맞은 걸까요?
"저희가 가지고 있는 정보는 시신, 수사 기록 그리고 사건 현장과 현장을 발견했던 목격자의 얘기인데요. 사실은 생각했을 때 그걸 다 추측하면 일단 말이 안 돼요. 무엇도 저희가 시나리오를 세울 수가 없고. 냇가에서 뭔 일이 있었고, 시신을 끌어서 가져왔다는 정도의 시나리오겠죠. 사실 다 맞는 가설이 불가능하더라고요. 그중에 하나가 뭔가 잘못됐다거나 기록이 이상하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었죠."

- 수사 기록에 의하면 시신으로 발견되기 전날 임 일병은 육사 교장 총을 훔치고 서울 가서 친구 만나 내 몫까지 살라고 했다는데 친구는 그런 말 못 들었단 거죠. 그럼 내 몫까지 살라는 말의 출처는 어디인가요?
"군 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 조사관 한 분이 해주신 말인데요. 군인이 죽었을 때 3종 세트가 있대요. 자해 사망이든 뭐든 간에 3종 세트로 애인 변심, 가정불화 그리고 염세 비관을 든다고. 근데 염세 비관적인 말해서 자살했다는 게 되게 이유로 쓰기 좋은 멘트잖아요. 이분의 경우에도 친구를 만난 건 사실이거든요. 그러니 그날 염세 비관적인 말하고 자살이 됐다고 마무리하려면 그 멘트가 필요한 거겠죠."
 
"가족에겐 너무 큰 상처, 군에 대한 신뢰 있을 수 있을까?"
 
 임다솔 PD

임다솔 PD ⓒ 이영광

 
- 신원식 장관이 중대장으로 있던 시절에 발생한 사망사고도 나오던데 대략적인 설명해 주세요.
"승진훈련장이라는 곳에서 콥 스트라이크 훈련이라는 게 있었어요. 그 당시에 여러 부대가 참여하는 거예요. 근데 한 병사가 사망한 거죠. 당시 군 기록에는 M203 불발탄을 밟고 죽었다고 기록이 되어 있어요.  근데, 지나고 나서 부대원들이 '그거 불발탄 아니었다 박격포가 날아와서 죽은 거다. 재조사해달라'라고 군 사망 사고위원회에 진정을 넣었고, 군 사망 사고위원회에서는 조사해야 되잖아요. 그래서 여러 부대원을 만나고 그 당시 승진훈련장도 가보고 무슨 일이었을까 조사했더니 너무 오래된 사건 38년 전이니 많이 사라졌는데 부대원들의 진술들이 다 동일해요. 기억하고 계신 분들이 공통적으로 증언하는 게 포탄이 날아왔고 죽었다. 그리고 당시 남아있는 기록과 진술을 바탕으로 결정문을 냈죠.

당시 수사관은 불발탄 파편을 육안으로 비교했더니 맞았다는 기억인데, 당시에 불발탄이 많았으면 포탄이 날아와도 그 불발탄의 파편이 있을 수도 있는 거잖아요. 그 파편에 대한 검사를 했었어야 되는데 그 당시에는 부검이나 폭발물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어요."

- 부검하지 않았다고요? 원래 부검 다 하지 않나요?
"원래는 기본적으로 부검을 하는데, 그 당시에  유가족의 요청이 있었다면서 부검 안 했다고 기록이 되어 있고 그 헌병 수사관 분의 말도 유가족이 요청해서 부검 안 한 거라고 하고 있어요. 근데 유가족분의 말로는 사실 그럼에도 의문이 있었다는 거죠. 근데 그 당시 군대 분위기라는 게 부검 부동의서를 냈어도 사실은 그럴 수 있잖아요. '부검 안 하셔도 됩니다'라고 하면 '네' 하며 입 다물 수 있고, 부모 입장에서 부검을 꺼려하시는 분도 많고요. 여러 가지 상황이 있었겠지만, 일단 부검은 안 했다고 해요."

- 당시를 기억하는 동료 군인들은 박격포로 인한 사망이라고 하는데 당시 수사는 불발탄으로 인한 사망으로 한 거 같은데 왜 다를까요?
"거의 40년이 지난 기억이라 저는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저희는 공통적인 증언이랑 믿을 만한 증언을 기반으로 군 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 조사관님이 보고하셨다고 생각해요. 특히 당시 수사관의 말과 위원회 결정문 두 개를 비교했을 때. 사실 근거 1번이 파편이에요. 가장 큰 건 그 당시에 파편이 있었는데 유탄이 어디로 날아갔는지 폭탄이 어디로 날아갔는지가 조사가 안 되었다는 게 문제가 있다고 봤어요. 그리고 포탄이 날아가서 죽었어도 M203 유탄이 발견될 수 있잖아요. 여러 가지 증언이 다르죠.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그래서 양쪽 의견을 실어주려고 했고요. 

대신 취재를 하면서는 이렇게 공통적인 증언이나 공통적인 기억들이 있는데 그리고 40년이 지나서 저희가 이것만 들은 게 아니라 그 당시의 기억들을 듣잖아요. 군대 얘기를 하시는데 너무 잘 기억하세요."

- 그 사람들은 어느날 모여서 말 맞춘 게 아닌 거잖아요. 그러면 어느 정도 신빙성 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요?
"그래서 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에서도 그렇게 판단한 것 같고 특히 그 당시 서류들이 있잖아요. 남아 있는 서류가 조금 있는데 그거 플러스 군사방송하고 진상규명위원회에서는 조금 더 조사를 많이 하셨죠. 결정문을 봤을 때는 폭탄 전문가라든가 그런 분들한테도 물어보고 누구한테도 물어보고 하면서 긴 결정문이 나왔죠."

- 신 장관은 말에 근거가 있나요?
"일단 신원식 장관이 당시 장관 후보였을 때랑 의원일 때부터 이 위원회 결정문에 대해서 입장을 굉장히 여러 차례 냈고 거의 100쪽이 넘는 입장문을 냈어요. 그중에 저희가 다 담을 수는 없으니까 신 장관님 주장의 핵심으로 본 게 13시에 포격이 끝났다길래 그 근거를 저희도 달라고 했죠. 그러니까 답이 온 게 남아있는 게 없대요. 기본적인 군대 돌아가는 시스템이 그렇다고 하셨습니다."

- 취재하며 느낀 점이 있을까요?
"처음에 시작할 때는 솔직하게 말하면 군대에 대해 잘 모르고, 옛날 일 아닌가 생각했어요. 군이라는 거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에 조사관님들과 유가족들도 만나 뵈었죠. 형제자매들은 당시 기억이 있잖아요. 그 죽음 이후로 집에서 형 얘기를 꺼내지 않고, 혹은 모든 사진을 지워버리고. 이민하신 유가족들도 있고. 가족에게 너무 큰 상처로 남아있는 거예요. 근데 자기 자녀가 군대에 가게 되었다? 너무 걱정이죠. 군에 대한 신뢰가 있을 수 있을까요? 이게 과거가 아니라 현재 일이라는 게 와닿았죠.

그러면서 위원회 조사 과정을 보게 됐는데 너무 열심히 하시는 거예요. 어떤 유가족분은 그런 말을 하셨어요. '살아 돌아오는 것도 아닌데 마음이 이상하다. 이렇게 진실이 밝혀지고 했을 때 망인이 살아 돌아오지 않지만 그래도 나는 진상규명을 원한다'라는 거죠. 근데 살아 돌아오지 않더라도 그 유가족들이 명확한 진실을 알게 되는 거에 대한 의미가 있고 특히 이게 국가기관이 이걸 재조사해서 그리고 유가족들과 군인들한테 사과한다는 게 저는 와닿더라고요. 국가가 책임지고 말하는 거잖아요. 그래서 그 부분을 취재하면서 많이 공감하게 됐죠."
덧붙이는 글 '전북의 소리'에도 중복게재 합니다.
임다솔 PD수첩 군 사망사고 신원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와 이영광의 '온에어'를 연재히고 있는 이영광 시민기자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