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한 장면.
롯데엔터테인먼트
'눈 뜨고 일어나보니 세상이 망했습니다, 우리 아파트만 빼놓고.' 어느 웹소설이나 웹툰의 제목 같겠지만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거두절미 직진으로 밀어붙이는 설정이 딱 이렇다. 아니나 다를까 김숭늉 작가 <유쾌한 왕따> 2부 '유쾌한 이웃'이 원작이다. 넷플릭스 < D.P. >와 <지옥>을 제작한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작품이다.
주인공인 민성(박서준)과 명화(박보영) 부부는 황궁아파트 602호 자가 소유자다. 민성은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여유 없이 살다보니 공무원이 돼 있었다. 명화는 아이도, 환자도 돌볼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의 간호사다. 이 둘이 세상 모르게 자고 일어났더니 세상이, 건물들이 죄다 무너져 내려 버렸다. 재난 그 자체다. 주위에 남은 건 이들이 살고 있는 황궁아파트 뿐이다.
자 이제 벌어질 법한, 동종 장르영화에서 친숙하게 목격해왔음직한 광경들이 연쇄적으로 펼쳐진다. 생존 본능과 패닉 사이. 공황에 빠질 법도 한데 이 아파트 주민들은 꽤나 침착하다. 물물 교환도 하고 식량도 비축하며 나름 질서 유지에 힘쓴다. 그래도 외부인의 침입은 막을 수 없다. 조직이, 대표가 필요하다. 이때 1층에서 발생한 화재를 영웅적 활약으로 막아낸 영탁(이병헌)이 시선을 한몸에 받는다. 그는 이제 황궁아파트 대표다.
'아파트는 주민의 것 주민만이 살 수 있다', '주민은 의무를 다 하되 배급은 기여도에 따라 차등 분배한다'. 바로 공동 생존의 원칙이 세워진다. 일명 '바퀴벌레'라 불리는 외부인들을 무력으로 추방시킨다. 명화가 집으로 거뒀던 모녀도 쫓겨날 운명이다. 이 모두는 아파트 주민들의 합의로 이뤄진다. 가차 없다. 내가, 내 가족이 먼저 살기 위해서다. 게다가 계절은 바깥에서 얼어 죽기 딱 좋은 한겨울이다.
보급대가, 방범대가 결성되고, 의료시스템이 갖춰지며, 배급제가 실현된다. 그렇다. 잠시 잠깐 디스토피가 아닌 유토피아가 찾아 온 듯 보인다. 바퀴벌레들은 철저히 차단했다. 그들 말로, 서울 그 어디에서도 이런 공간은 존재하지 않을 듯 보인다. 연말 파티를 열고, 술판을 벌이고, 리더십을 인정받은 영탁이 노래 '아파트'를 불러 젖힐 때까지만 해도 이 평온이 오래 지속될 줄 알았다. 균열은 집 나갔던 혜원(박지후)이 원래 자기 집인 영탁의 옆집으로 돌아오면서 시작된다. 혜원의 귀환 이후 또 다른 불청객들이 찾아 온다.
콘크리트는 현대사회의 은유이지만 그 자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인 아파트를 직유한다. 그런데 여기는 대한민국 서울이다. 부동산 공화국이자 아파트 공화국이다. 2018년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그리는 재난 상황 속 아파트 주민들의 상황은 관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여지가 충분하다.
그래서 이 황궁아파트 주민들의 대처는 이중성을 띤다. 일반 보편적인 인간의 생존 본능을 상징하는 동시에 아파트 공화국 구성원들의 집단 이기심을 아우르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더 나아가 이념의 광기에 휩싸인 인간들의 끝 간 데 없는 폭력성을 연상시킨다.
<콘크리트 유토피아> 속 이념은 내 아파트를, 황궁 아파트 한 동 전체를 지켜야 한다는 생존본능의 광기다. 직설화법보다는 곳곳에 배치된 대사 등으로 유추할 정도이지만,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자가나 전세 여부로, 강남인지 강북인지로, 서울인지 경기권인지, 수도권인지 비수도권인지로 계급을 나누는 부동산과 아파트 공화국의 광기를 은유를 한 것만큼은 확실해 보인다.
이때 가장 무서운 존재가 바로 사람이다. 아파트를 지켜내기 위해 살인까지 마다않는 그 사람 말이다. 영화에서 가장 무시무시한 존재는 다름 아닌 리더이자 아파트 대표인 영탁이다. 이 영탁을 바로 이병헌이 연기했다.
아파트 공화국을 대표하는, 이병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