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드라마 <악귀> 스틸 이미지
SBS
귀신을 보는 염해상은 악귀 때문에 죽은 어머니의 비밀을 캐다 할머니 나병희를 비롯한 집안의 거대한 탐욕과 마주하게 된다. 구산영은 반대의 경우다. 5살 이후 얼굴 한 번 못 본 아버지의 부음 이후 악귀가 씐다. 이후 악귀와 연관된 과거가 보이고, 정신을 잃을 때마다 주변 사람들이 죽어나가며, 제 안의 욕망과 정의 사이에서 번민하게 되는 복합적인 존재다. <악귀>는 대를 이어 이 자본가의 정도와 악귀와의 악연으로 얽힌 자식들의 귀신 막는 살풀이다.
과거나 현실과의 알레고리를 즐기는 김은희 작가답게 자본주의나 그에 대한 탐욕으로 결부된 귀신들이나 피해자들을 상정한 것도 흥미롭다. 자살귀들에 씐 피해자들은 불법 대출에 시달리던 청춘들이다. 구산영의 동창은 남의 것을 탐해도 탐해도 부족한 아귀에 시달린다. 시골 마을에 찾아온 객귀마저 어릴 적 돈 벌러 도시로 떠났다가 십수 년을 집에 돌아오지 못했던 딸이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이 여성들이다.
악귀의 연원은 어떤가. 여자 아이 이목단은 자본가의 탐욕을 위한 제물이었다. 무속의 힘을 빌린 나병희와 염승옥이 주범이었고, 이들 자본가들이 나눠 준 콩고물을 집어삼킨 마을 주민 전체가 공범들이었다. 김은희 작가는 1958년도 벌어진 유사한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밝혔다. 언제나 그렇듯이, 귀신보다 사람이, 사람의 탐욕이 현실에선 더 무서운 법이다.
악귀는, 귀신들은 그렇게 인간의 가장 약한 고리를 숙주 삼아 인간을 공격하게 사회에 균열을 낸다. 공포 장르물의 귀신이나 유령, 괴물이 사회나 구조에 희생된 자들이거나 권력과는 거리가 먼 타자들로 상정됐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저 멀리 <전설의 고향> 속 가부장제에 희생된 며느리가, 조선시대 <장화홍련전> 속 장화와 홍련이 그러했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