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는 오늘날 한국의 주된 사회문제 중 하나다. 가족이며 친척, 친구들과의 인간관계며 사회활동이 끊긴 상태로 지내다가 아무도 모른 채 죽음을 맞는 일을 이미 많은 이들이 당면한 위기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번영을 누리는 이 때, 너무나도 많은 구성원이 기본적인 존엄조차 갖추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는 사실은 얼마나 참담한 일인가.
사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도 완전히 손을 놓고 있지는 않았다. 2021년 처음으로 고독사 예방과 관련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지난해는 역시 처음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결과는 어떠했나. 2017년엔 2412명, 2018년엔 3048명, 그리고 2021년엔 3378명이 고독사했다는 통계가 작성됐다. 사망자 100명 중 한 명은 고독사하고, 특히 은퇴 직후의 남성이 전체 고독사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는 해석이다.
그렇다고 젊은이들이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건 아니다. 2030 젊은 남성의 고독사도 한 해 수백 명에 달해 관계가 파괴되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이 처한 위협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는 사실을 짐작케 한다. 외신이 한국과 일본 남성의 고독사를 주제로 몇 번이나 심층보도를 냈다는 건 이 사회가 특정한 계층과 집단의 위기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며칠, 몇 주 씩이나 제 죽음이 알려지지 않고 마침내 시체 썩는 냄새로 그 비극이 알아차려지는 죽음을 어떻게 존엄하다 하겠는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