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 네이션 무대댄스 네이션 무대
안정인
무대와 관객석은 하나의 돔처럼 이어져 있다. 두꺼운 부직포를 몇 겹으로 연결해 깊숙한 동굴이나 신체의 내부, 현실과는 동떨어진 시간 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을 준다. 무대 정면의 조각들은 자막을 띄우는 스크린으로도 사용되고, 나머지 조각들은 조명과 어우러져 극의 분위기를 조절한다.
클레어 배런(Clare Barron)이 2018년에 발표한 이 작품에는 십 대 초반인 7명의 댄서가 출연한다. 14~15살 무렵의 소녀 6명과 1명의 소년이다. 그들 중 하나인 주주는 암에 걸린 엄마를 위해 댄서가 되기로 결심한 소녀다. 문제는 단짝 아미나가 자신보다 더 춤을 잘 춘다는 점이다. 댄스 선생님인 펫은 전국대회 우승을 위해 인도의 '간디'를 모티프로 한 새로운 안무를 구상한다. 가장 중요한 배역인 '간디의 영혼'을 따내기 위해 경쟁하는 아이들.
여기까지는 10대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나 이야기의 단골 구조다. 이 10대가 치어리더라면 <브링 잇 온(Bring it on)>이 되는 것이고, 드럼을 친다면 <위플래쉬(Whiplash)>가 되고, 밴드를 한다면 <싱 스트리트(Sing Street)>가 될 것이다. '별 볼일 없던 10대가 각성하여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결말은 너무 뻔하다. 그렇고 그런 이야기가 시작되겠군, 하는 찰나에 이 연극은 살짝 몸을 비튼다. 조금 방향을 틀었을 뿐인데 아주 다른 결론에 도착한다.
당신이 20대이건 70대이건 상관없이 10대보다 나이 먹은 사람들은 모두 이 아이들이 거쳤을 법한 과정을 지나갔다. 그때의 당신이 어떤 생각을 했었는지 혹시 기억하는가? 14살의 아이에게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선생님인 펫은 댄스 대회 무대에 대한 권력을 쥐고 있다. 모두가 원하는 주연 역할이지만 지명하는 사람은 펫 선생님이다. 아이의 기를 꺾지만 말고 재능을 칭찬하며 잘 지도해 달라고 애원하는 주주 엄마의 요청을 펫은 단호하게 묵살한다. <위플래쉬> 속 폭군 '플레쳐 교수'의 재림이다. 주주에게 소리를 지르고 폭력적인 말을 쏟아낸다.
주연으로 뽑힌 주주는 이제 최고의 친구였던 아미나가 거북하다. 어쨌든 아미나보다는 잘하고 싶다. 아미나의 마음도 편하지 않다. 왜 자신이 아니고 주주일까. 아미나 역시 자신이 주주보다 춤을 잘 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다. 주주가 잘하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지만, 내가 선생님에게 뭘 잘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먼저 든다.
다른 아이들의 마음도 단순하지는 않다. 무대에서 뜻밖의 모습을 보여준 아미나를 싫어하고 불편해하면서도 입으로는 사랑한다고 말한다. 이런 친구들의 기분을 맞추며 성공을 향해 달릴 수는 없다. 성공을 위해서는 혼자, 외롭게 가야 하는 것임을 아미나는 직감한다. 대부분의 어른이 인생의 어느 단계에서 얻는 깨달음을 14살의 아미나가 체득하는 중이다.
모두 이런 식의 성공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주주를 짝사랑 중인 루크의 꿈은 소박하다. 비 내리는 밤 차를 타고 엄마와 즐거운 이야기를 하며 달리는 것이다. 모든 꿈이 거창할 필요는 없다. 애슐리는 완벽한 자기애를 드러낸다. 뛰어난 외모와 성적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하지만 입 밖으로 낼 엄두는 내지 못한다. 귀여운 녀석들. 어디선가 만날 법한 모습들이다.
이 아이들이 24시간 춤만 추는 것은 아니다. 14살 아이들의 몸은 성인으로 자라고 있고, 호르몬의 농간이 시작된다. 가족처럼 단순하기만 했던 집단은 학교나 친구들처럼 복잡한 관계로 발전한다.
첫 경험이나 자위, 연애와 결혼처럼 상상 속에서만 가능했던 일들이 하나의 가능성으로 다가온다. 몸은 뜨겁지만 마음은 따라가지 못한다. 그런 아이들의 심리가 그대로 이들의 대화에 녹아 있다. 아마 기억하지 못하겠지만 10대의 당신이 아무도 몰래 생각만 했을 법한 이야기들을 이 아이들은 직접 입 밖으로 떠들고, 자랑하고, 주장한다. 관객의 성향에 따라 거북할 수도, 시원한 웃음과 함께 기특하다고 등을 두드려 주고 싶은 마음이 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