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당 정세균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가 3일 오전 서울 영등포 당사에 마련된 6.2 지방선거 개표상황판에 당선 축하꽃을 달고 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가 3일 오전 서울 영등포 당사에 마련된 6.2 지방선거 개표상황판에 당선 축하꽃을 달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유권자들은 여론조사가 아니라 표로 말했다. 6·2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압승할 것이라는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한나라당은 16개 광역단체장 여론조사에서 15~20%p나 앞선 것으로 나타난 서울시장 선거에서조차 피 말리는 시소게임 끝에 간발의 차이로 승리했을 뿐, 5~10%p 앞선 것으로 나타난 곳에서는 모두 졌다.

유권자들은 반대하기 위해 투표장에 갔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몇 차례의 재보선에서 나타난 '숨은 응징표'의 위력은 이번 선거에서도 재확인되었다. 특히 두 달 이상 선거를 휩쓴 '천안함 쓰나미'의 위력을 감안하면, MB정권의 독선과 오만을 심판하려는 '매복표'가 아니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마치 MB정권을 안심시키기 위해 '천안함 쓰나미' 밑에 두 달 동안 매복해 있다가 보란 듯이 들고 일어나 허를 찌른 모양새다.

유권자들은 '산 이명박'이 아닌 '죽은 김대중-노무현'에게 투표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50%를 넘었지만, 김대중-노무현 연합군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야당이 김대중-노무현의 '범야권의 연합' 및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유훈을 지켜낸 '야권 단일화'는 여당 견제 심리와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낳았다.

'죽은 김대중-노무현'이 '산 이명박'을 이겼다

이명박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그렇지 않고서는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50%를 넘고, 집권여당의 정당지지율이 민주당의 곱절에 가까운 상황에서 한나라당이 패배하고 민주당이 승리한 현상을 설명할 수가 없다. 중반까지 상당한 열세였던 강원-충북이 접전지가 된 것도 수도권(인천-경기)에서 점화돼 박빙지역인 경남-충남을 거쳐 확산된 단일화의 심리적 파급효과 덕분이었다.

그 결과로 김대중-노무현 연합군은 이명박을 포위했고, 그 휘하의 수도권의 '풀뿌리 연합군' 또한 자치구와 시-도의회의 2/3를 장악함으로써 오세훈-김문수를 옴짝달싹 할 수 없게 포박한 형국이다. 두 사람은 이제 의회의 동의 없이는 10원 한 푼 쓸 수가 없다.

사실 이번 선거는 역대 어느 선거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집권여당에게 유리한 환경에서 진행됐다. 특히 선거의 한 복판에서 발생한 '천안함 쓰나미'는 4대강 사업, 세종시, 무상급식 등 여당에 불리한 모든 쟁점을 집어삼키는 듯했다. 여당은 물론 야당조차도 이른바 '천안함 효과'로 야당이 10% 가량의 피해를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전국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한나라 6석, 민주 7석, 선진 1석, 무소속 2석)는 여당의 참패로 나타났다. 한나라당은 특히 지난 2007년 대선 승리의 기반이었던 수도권의 총 66개 시·군·구 중 16곳을 얻는 데 그쳤다. 4년 전에 서울 25개 자치구, 경기 31곳 중 27곳, 인천 10곳 중 9곳 등 수도권에서 61곳을 휩쓸었던 것에 비하면 처참한 패배다.

그뿐이 아니다. 한나라당은 강원과 경남 등 전통적인 텃밭조차 민주당 후보와 야권 단일 무소속후보에게 자리를 내줬다. 또 세종시 문제가 걸린 충청권에서는 한나라당이 현직을 차지하고 있던 대전·충남·충북 광역단체장 자리를 모두 야권에 빼앗겼다.

MB의 독선과 오만에 대한 분노와 경고

무상급식에 맞서 '전교조 대 반(反)전교조' 구도로 선거를 몰아간 교육감 선거결과도 여권의 참패로 끝났다. 진보성향의 교육감 후보들은 전교조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전방위적 압박 속에서도 서울-경기와 호남은 물론 강원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전교조 교원 명단 공개에 이은 대규모 해임이라는 현정부의 무자비한 탄압을 고려하면, MB 교육정책에 대한 총체적 불신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결과를 예고하는 경고의 메시지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D-2일인 5월 31일 중앙일보-SBS-동아시아연구원 여론-패널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권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 응답자의 65%가 공감을 나타냈다. 다만, 이명박 대통령의 비교적 높은 국정운영 지지율과 한나라당의 높은 정당 지지율 그리고 오세훈-김문수 후보의 '대세론'에 묻혀 부각되지 않았을 뿐이다.

이번 선거를 통해 '견제와 균형'으로 나타난 민심의 소재는 분명하다.

우선 유권자들은 이명박 정부의 독선과 오만에 대한 분노와 경고의 표시를 분명히 했다. 민주주의와 인권 후퇴, 민생경제 악화, 남북관계 파탄 등 이른바 '3대 위기'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안을 밀어붙이는 이명박식 불도저 국정운영에 대한 '응징'인 것이다. 따라서 집권여당으로서는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및 대북정책의 재검토와 4대강 사업-세종시의 궤도 수정이 일정 부분 불가피해졌다.

그렇다고 유권자들은 야당이 좋아서 표를 주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패색이 짙었던 민주당은 선거 막판에 여권 독주에 대한 견제심리가 발동한 가운데 반사이익을 챙겼을 뿐이다. '심판론'이 우세한 가운데서도 서울-경기의 경우 심판론에 공감한다는 유권자 중 절반 가량이 현직 시-도지사를 긍정 평가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앞서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직에 대한 긍정 평가자의 오세훈 대 한명숙 지지율은 39.7% 대 34.7%, 김문수 대 유시민 지지율은 45.2% 대 36.3%였다). 서울-경기 유권자들은 오세훈-김문수가 행정을 잘못해서가 아니고 MB가 싫어서 야당 후보를 찍은 것이다.

지역주의 균열과 야당의 미래에 투표

(왼쪽부터)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
 (왼쪽부터)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유권자들은 또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여야의 기득권을 인정하면서도 풀뿌리 자치에서는 지역주의의 균열을 가져왔다. 수도권에서 민주노동당이 처음으로 자치구 단체장으로 입성했고, 한나라당의 텃밭인 영남에서 무소속이 선전했고,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에서는 무소속이 돌풍을 일으켰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야권 단일후보인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은 3번 도전 끝에 한나라당의 아성인 경남에서 승리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행자부장관을 지낸 민주당 김정길 부산시장 후보는 부산에서 44.5%를 얻었다.

'리틀 노무현'으로 통하는 김두관 후보의 승리는 말할 것도 없고, 90년 '3당 합당' 당시 부산-경남에서 노무현을 빼곤 유일하게 김영삼을 따라가지 않은 김정길 후보가 얻은 득표율은 '바보 노무현'이 부산에서 3번 도전해 얻은 어떤 성적보다도 높은 것이다. '바보 농사꾼' 노무현이 뿌린 지역주의 극복의 씨앗이 노무현 사후에 비로소 열매를 맺기 시작한 것이다.

유권자들은 또한 민주당의 세대 교체에 손을 들어줌으로써 야당의 미래에 투표했다. 특히 '신40대 기수론'을 내걸고 수도권에 교두보를 확보한 송영길 인천시장 당선자, 중부권에서 '노무현의 부활'을 알린 이광재 강원지사 당선자와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의 등장은 김대중-노무현 사후 '스타'의 부재로 지리멸렬한 민주당의 차기 대권경쟁에 활력을 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97년과 2002년 대선에서 연거푸 패배한 한나라당은 4년 전 지방선거에서 첫 승리한 이후 지난 대선-총선까지 내리 3연승을 거두었다. 반대로 민주당으로서는 전국단위 선거에서 3연패 이후 첫 승리를 거둠으로써 대선 승리의 교두보를 확보한 셈이다. 그 전선의 제1선에 김두관(경남), 송영길(인천), 안희정(충남) 등이 지역별로 고루 포진한 것도 의미심장하다. 아직은 길이 멀지만, 세 사람이 유력한 한나라당 대선후보인 박근혜와 재선에 성공한 오세훈-김문수의 '대항마'로서도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태그:#6.2?지방선거, #천안함, #송영길, #김두관, #안희정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기사는 연재 2010 지방선거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