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23일 오후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차려진 간이 분향소에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시민들이 마련한 분향소의 영정사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23일 오후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차려진 간이 분향소에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시민들이 마련한 분향소의 영정사진.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 등이 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시신을 양산부산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봉하마을로 옮기기 위해 운구하고 있다.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 등이 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시신을 양산부산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봉하마을로 옮기기 위해 운구하고 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23일 오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행사가 열렬 예정인 서울 덕수궁 대한문앞을 경찰이 봉쇄한 가운데 한 추모객이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피켓을 들고 경찰들 사이에 앉아 있다.
 23일 오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행사가 열렬 예정인 서울 덕수궁 대한문앞을 경찰이 봉쇄한 가운데 한 추모객이 노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피켓을 들고 경찰들 사이에 앉아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

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서 일부 내용이 공개됐다. 노 전 대통령의 김경환 비서관은 이날 오후 짧은 유서를 공개했다.

노 전 대통령은 이날 산행을 하기 직전인 오전 5시 21분에 사저 컴퓨터에 저장한 유서에서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면서 "건강이 좋지 않아서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다"고 최근 소회를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은 이어 "책을 읽을 수도 글을 쓸 수도 없다"면서 "너무 슬퍼하지 마라"고 밝힌 뒤 다음과 같이 적었다.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이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 화장해라. 그리고 집 가까운 곳에서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

오래된 생각이다."

이 유서의 파일명은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의 고통이 너무 크다'였다.

"담배가 있느냐"... "사람이 지나가네"

한편 노무현 전 대통령은 봉화산 바위에서 뛰어내리기 직전 사저 뒷편에 있는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을 한동안 응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대통령 측근과 관계자가 공개한 투신 직전 경호관에게 들은 1차 보고내용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23일 새벽 오전 봉화산으로 산책을 가서 부엉이 바위에서 사저 등 마을을 한동안 내려다 보았다고 한다.

이어 노 전 대통령은 경호관에게 "담배가 있느냐" 물었고 경호관이 "가져올까요"하고 묻자 노 전 대통령이 "됐다"고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노 전 대통령은 잠시 후 바위아래 사람들을 보며 "사람이 지나가네"라고 말했고 경호관이 노 전 대통령이 응시하는 사람들을 돌아보는 순간 갑자기 추락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 유서 전문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밝힌 노 전 대통령 유서 내용 보도자료.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밝힌 노 전 대통령 유서 내용 보도자료.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다. 책을 읽을 수도 글을 쓸수도 없다. 너무 슬퍼하지 마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이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 화장해라. 그리고 집가까운 곳에서 아주 작은 비석하나만 남겨라

오래된 생각이다."


태그:#노무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