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극단 측에서 만든 포스터.

▲ 포스터 극단 측에서 만든 포스터. ⓒ 극단 코너 스톤

 
여행자극장은 우리 집에서 몇 분만 걸으면 바로 닿는 극장인데 어제 동네 친구인 오세혁 작가가 "이 연극 안 보셨으면 얼른 보세요"라고 권하는 바람에 아내가 전화를 해봤더니 현매가 가능하다고 해서 환호작약하며 극장으로 향했다. 좋은 작가와 연출가 등 연극인들이 추천한 극을 놓치지 않게 되었을 뿐 아니라 상연 시간 다 돼서 현매로 사면 티켓값도 저렴한 편이니 행운이 아닐 수 없다. 난 극단 코너 스톤의 작품을 본 적이 없는데 아내에게서 <맹진사 댁 경사>를 각색한 <맹>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다. 

연극이 시작되면 안갯속에서 우울하게 중얼거리며 노래를 하는 배우 다섯 명이 보인다. 뭔가 심각하고 무거운 분위기에 배우들이 정지 화면처럼 서 있으니 타르코프스키의 롱테이크 영화를 보는 것 같다. 그나마 강일 배우나 한철훈 배우가 중심에 서서 진지하게 한 마디 하면 나머지 배우는 그림처럼 굳어서 그냥 서 있다. 특히 윤슬기 배우는 옆모습으로 서서 꼼짝도 안 하고 한참을 서서 극의 긴장감을 더한다.   

이런 균형이 깨지는 것은 건넛마을 상여 나가는 걸 가지고 뭐라 의미 없는 소리를 주고받던 배우들이 갑자기 심심하니 윷놀이나 한 판 하자고 할 때부터다. 윷을 놀려면 윷가락 네 개가 있어야 하고 멍석이나 윷판도 있어야 하는데 이 모든 것을 동작으로만 해결한다. 두 사람이 쩔쩔매며 멍석을 들고 와 까는 모습에 이어 윷판을 분필로 바닥에 그린다. "의이차!" 하고 윷을 던지는 모습이 이어지는데 이게 모두 실체는 없고 시늉만 하지만 관객들은 다 진짜처럼 반응한다. 연극이니까, 연극에서만 가능한 장면이다. 영화를 이렇게 만들면 유치해서 못 본다. 그런데 연극에서는 고속촬영 같은 표정이나 동작도 그날의 분위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표현하며 웃기고 울릴 수 있다. 그런데 석구의 아내가 나와서 자식을 잃은 사연을 털어놓는 장면 빼고는 거의 다 윷놀이 장면인데 이게 이렇게 재밌을 일인가!  
 
커튼콜 연극이 끝나고 찍은 커튼콜 사진.

▲ 커튼콜 연극이 끝나고 찍은 커튼콜 사진. ⓒ 편성준

 
웃음의 비결은 역전에 역전을 거듭하는 윷판의 승부와 배우들의 능청스러운 충청도 말씨, 그리고 과장된 표정연기에 있다. 김봉달 역의 한철훈 배우와 박석구 역의 강일 배우가 나이 든 팀이라면 엄진태 역의 이강민 배우와 송기대 역의 윤슬기 배우는 젊은 팀이다. 그 사이에 장말두 역의 정홍구 배우가 가운데 서서 심판을 본다. 이들은 윷놀이를 온몸으로 표현하고 윷을 던진 뒤 도개걸윷모의 결과는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손바닥을 펼치거나 뒤집는 것으로 재현한다. 그런데 그 모든 장면이 느리고 진지하고 집요해서 연방 웃음을 자아낸다.

게다가 윤슬기 배우는 여성인데도 어쩐 일인지 남성 역을 맡았는데 그게 하나도 이상하지 않다. 연기를 너무 잘하기 때문이고 대사도 진짜 웃긴다. 예를 들어 윷말 두 개를 한꺼번에 업어 가자고 진태를 설득할 때도 할 때 "인생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여!" 같은 현대적 대사도 아무렇지 않게 내뱉는다. 처음엔 진지한 분위기로 임하던 관객들도 마당극처럼 변한 뒷부분에서는 마음 놓고 웃다가 일어섰다. 의외로 재미있는 연극을 한 편 보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작품은 윤조병 작가의 희곡을 원작으로 삼았다는데 윷놀이라는 게임의 상징성을 잘 살린 연출과 배우들의 연기가 어우러져 깔끔한 뒷맛을 남겼다. 연극을 다 보고 나오다가 객석에서 페친이라고 인사를 하시는 분과 잠깐 이야기를 나누었다. 서로 아는 사이인데 실제 얼굴을 보는 건 처음이었다. 그냥 길에서 만났다면 '뭐 페친이라고 인사를 다 해?'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겠지만 연극 공연장이라는 공통분모가 단박에 친근감을 만들어 주었다. 내가 낸 신간 북토크 때 오실 거라고 하시길래 그때 뵙자고 인사를 하고 헤어졌다. 유쾌한 연극 <요새는 아무도 하려 하지 않는 그, 윷놀이>는 2024년 6월 2일까지 여행자 극장에서 상연한다. 며칠 안 남았는데 좋았다는 리뷰들이 지금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인터파크에서 예매해도 되고 극장 현매도 가능하니 한 번 노려 보시라. 

● 윤조병 원작 <윷놀이>
● 이철희 각색 연출
● 강일 곽성은 한철훈 이강민 윤슬기 정홍구 출연 
● 이경구 안무 움직임 
● 장서윤 작창 
● 이승호 음악
● 남경식 무대디자인
● 코너 스톤 작품 @cornerstone_presents
덧붙이는 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포스팅한 글을 조금 수정해서 오마이뉴스에 보냄,
연극리뷰 셰익첵 편성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카피라이터 출신 작가. 『부부가 둘 다 놀고 있습니다』 『읽는 기쁨』 등 네 권의 책을 냈고 성북동에 있는 한옥집을 고쳐 ‘성북동소행성’이라 이름 붙여 살고 있습니다. 유머와 위트 있는 글을 지향하며 출판기획자인 아내 윤혜자, 말 많은 고양이 순자와 삽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