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직접 시나리오를 쓴 작품이 KBS <독립영화관>에서 방영됐다. 가문의 영광이었다. 대개의 독립영화 운명이 그러하듯, 극장에서 채 1만 명이 보지 못한 독립예술영화가 지상파를 통해 방영되는 일은 영화 자체의 지평이 무한히 확장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극장이 적어서 때를 놓쳤거나 독립영화에 관심이 없는 일반 관객들의 접근성이 넓어지는 것이다.
KBS <독립영화관>의 역할이 거기에 있다. 누구는 추상적이라 할지 모르지만, 한국 독립예술영화들의 접근성을 넓히는 것. 2011년 1월 출발한 <독립영화관>이 딱 그랬다. 앞서 2001년 <KBS 단편영화전>이란 프로그램으로 시작한 이후 2006년 폐지가 결정됐을 때 한국독립영화협회 등 20여 개 문화예술단체들이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반발했던 데는 다 이유가 있었다.
쉽게 한국독립영화는 두 가지로 나뉜다. <독립영화관>에 방영된 영화와 아닌 영화. 공감하는 영화인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한해 제작되는 한국 독립영화(장·단편 포함)는 1300~1400편에 달한다(2019년~2023년 영화진흥위원회 2023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 그 중 극장에서 개봉하는 한국 장편 독립영화는 고작 100편을 넘는 수준이다.
이중 <독립영화관>이 1년 52주 동안 방영하는 영화들이 몇 편이나 되겠는가. 특히 <독립영화관>이 주로 방영하는 한국 장편 영화들은 영화진흥위원회가 독립예술 영화로 인정한 작품들이다. 영화계에서 작품성을 인정받고 나름 인지도가 있는 작품들이 약 500만 원이란 방영료를 받고 공영방송이란 문턱을 넘을 수 있는 것이다. 대중 상업 영화 위주인 명절 특선 영화와는 차원이 다른 접근이란 얘기다.
최근 KBS는 최근 광복절 기획으로 이승만 미화 다큐멘터리 '기적의 시작'을 <독립영화관>에서 방영키로 했다. 일부 독립영화인들이 아쉬움을 토로하는 이유다.
따져 볼 문제는 크게 두 가지다. 영화와 방송이라는 문화적 접근, 그리고 더 큰 논란을 불러온 역사적 접근.
멀쩡한 <독립영화관> 망가뜨린 KBS 그리고 박민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