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석희가, 영화에 출연했다. 지난 5월 초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상영관에 언론인 손석희의 얼굴이 스크린에 떴다. 손석희가 인터뷰이 중 하나로 출연한 영화는 '세월호 참사 10주기 특별전'에 초청된 <침몰 10년, 제로썸>. 영화 속에서 그는 "(세월호 10주기를 맞아) 밝혀져야 하는 건 명확히 두 가지"라며 "구조 방기와 침몰 원인"을 꼽았고,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
방송사 사장 출신 언론인이 독립 다큐멘터리에 출연하는 일 자체가 흔치 않은 일이다. 하지만, 세월호 10주기와 손석희라니. 고개가 끄덕여질 수밖에. 언론인 손석희는 감히 세월호 참사 보도 이전과 이후로 나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이끌던 JTBC <뉴스룸>은 10년 전 87일간의 팽목항(현 진도항) 현지 연속 보도를 이어갔고, 앵커였던 손석희는 참사 열흘 째 현지에서 뉴스를 진행하기도 했다.
참사의, 역사의 기록자로 남을 만했다. 참사 보도의 한 지평을 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세월호 이전까지, MBC를 떠나 종편에 안착한 그를 우려하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업계와 대중의 관심은 그가 삼성 관련 보도를 제대로 할 수 있느냐였다. 당시 <뉴스룸>이 삼성 반도체 백혈병 사망 노동자 사건을 다룬 것 자체가 뉴스가 될 정도였다. 2020년 1월, 6년 4개월 만에 <뉴스룸> 앵커에서 물러난 직후 손석희는 이런 소감을 남긴 바 있다.
"세월호와 촛불, 미투, 조국 정국까지 나로서는 그동안 주장해 왔던 저널리즘의 두 가지 목적, 인본주의와 민주주의에서 벗어나지 않으려 했는데 평가는 엇갈리게 마련이다."
맞다. 그 손석희다. JTBC 사장에서 물러난 뒤 스스로를 "은퇴자"로 여긴다는 손석희. 그의 지난해까지 직함은 JTBC 순회특파원(전 총괄사장)이었고, 현재 일본에 거주하며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 객원교수로 재직 중인 손석희 이름 석 자가 한국 사회에 드리운 외형적 존재감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있는 국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조사 결과가 그렇다. 그는 시사저널의 '영향력 있는 언론인' 조사에서 2004년부터 17년째 1위를 지켰다. 지난해 시사저널 '2023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조사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인' 분야 1위도 손석희였다. 또 시사IN(시사인)과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매년 가을 발표하는 신뢰도 조사에서도 손석희는 지난해 7.7%의 지지율로 1위에 올랐다.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3.5%),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2.3%)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10명 중 7명(71.5%)이 신뢰하는 언론인이 없다고 답한 가운데 나온 이 같은 결과 역시 앞선 시사저널 조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딱히 방송 활동을 하지 않는 그가, 대중의 눈에서 멀어진 그가 1위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가. 그건 여론 형성을 좌우하는 신뢰할 만한 스피커가 현저히 적다는 방증일지 모를 일이다.
그런 손석희가 방송에, 그것도 MBC로 돌아왔다.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절이던 2013년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서 하차한 지 11년 만에 5부작 특집 <손석희의 질문들>(이하 <질문들>)로 돌아왔다. 지난 13일과 20일 방송 모두 이름값에 걸맞게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했고, 언론들이나 대중들도 꽤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손석희는 손석희였다.
손석희의 11년 만의 MBC 복귀, 어땠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