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희은 <고운노래 모음> 표지.
유니버살레코드사
지금을 사는 청춘에게 1990년대 태동한 인디 음악 혹은 인디 문화가 조금 더 입에 달라붙겠지만, 홍대발(發) '인디'가 있기 전에 신촌에 근원지를 둔 언더그라운드 청년 문화가 존재했다. 때는 1970년대. '청바지, 통기타, 생맥주'로 집약되던 그때 그 시절 대학가는 군사 독재의 서슬 퍼런 압력 속 젊음의 일부를 억누른 채 흘러갔다.
이 때 젊음의 해방구 역할을 한 것이 바로 포크 음악이다. 1969년 송창식과 윤형주가 함께 꾸린 그룹 트윈폴리오를 시작으로 김민기, 한대수, 이장희, 어니언스, 조동진, 정태춘과 같은 많은 아티스트들이 우후죽순 쏟아져 나왔다. 줄지어 남자 가수들의 음악이 울려 퍼지던 이 때, 맑고 청아한 목소리로 대중의 귀를 단숨에 사로잡은 양희은이 세상에 나왔다.
양희은의 첫 번째 독집 <고운노래 모음>은 김민기가 쓴 '아침이슬', '그 날'을 비롯해 고은 시에 멜로디를 붙인 '세노야 세노야' 등 단 3곡의 창작곡과 다수의 번안곡을 포함한 작품이다. 외국곡의 가사만 새로 붙여 노래를 부르는 것이 많았던 시절이었던 것을 염두에 둬도 신곡의 수가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앨범은 3차례에 걸쳐 진행된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에 매번 선정되며 역사적 의의를 인정받는다.
'아침이슬'이 가진 힘 덕택이다. 곡을 만든 김민기는 '저항적 의미보다는 그저 아침이슬 이미지로 노래를 만들었을 뿐'이라며 사회 정치적 메시지를 덧대는 것을 거부 했지만 이 노래는 군부독재, 독재정권이란 암울한 시대 속 청년을 연대하게 해준 시대의 송가다. 탁함 없이 맑은 목소리로 힘주어 '나 이제 가노라 저 거친 광야에 / 서러움 모두 버리고 나 이제 가노라'라 외치는 양희은의 가창은 답답한 시대를 잊게 할 순수하고 당찬 아우라가 녹아 있다.
나를 거쳐 '우리'로, 우리를 거쳐 다시 '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