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호와 혜진은 함께 하면서 각자의 삶에 투사되었던 욕망으로부터 '졸업'한다.
tvN
엄마와 크게 다툰 직후, 준호는 자신이 그동안 공들여 만든 교재를 모두 버려 버린다. 그리고 혜진과 부딪히면서까지 이렇게 주장한다.
"흔해 빠진 방식으로는 아이들이 찜찜함을 없애줄 수 없어요. (...) 읽는 방법을 가르칠 거예요. 텍스트랑 일대일로 맞장뜰 수 있는 근육을 키울 수밖에 없어요. 이런저런 문제풀이 스킬 없이 본질로 가야 해요." (11회)
준호가 이렇게까지 강하게 주장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일치성'을 원하는 강한 심리적 욕구 때문이었을 것이다. 심리학에서 '일치성'은 마음 속 느낌과 생각, 그리고 행동과 말이 일치되는 것을 말한다. 감정과 생각, 행동이 일치할 때 우리는 자기 자신으로 존재한다고 느낀다.
아마도 준호는 '모든 것을 떠 먹여주는' 부모의 양육에 질려있었고, 이를 거부하는 자신이 아이들을 '떠먹여 주는' 방식으로 가르치면 안 된다고 여겼을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그런 강사가 되고 싶었을 테다. 즉, 독립적으로 살아가길 원하는 자신의 마음과 강사로서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를 일치시킨 것이다.
청미(소주연)도 이런 인물 중 하나다. 준호의 입사동기인 청미는 매사에 열정을 다하고 세심하게 노력을 기울인다. 이런 청미를 답답하게 여기는 채윤(안현호)이 "좀 대충해도 된다"고 조언하자, 청미는 이렇게 답한다.
"노력을 폄하하진 마세요. 그런 태도로 어떻게 아이들에게 공부를 가르칠 수 있어요. 무슨 권리로 아이들한테 미래를 걸라고 할 수 있어요?" (13회)
이는 청미 역시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와 언행에 진심을 담는 '일치성'을 추구하는 인물임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시우(차강윤)의 말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현실적인 제안을 거절한 혜진 역시 일치성을 추구하는 인물이었다(
드라마 인물 탐구생활 104).
나는 이런 '일치성' 있는 태도가 아이들을 대하는 어른들 모두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은 말의 내용보다도 태도에서도 많은 것을 배운다. 아이가 잘 살아가길 바란다면 아이의 삶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획득하길 바라는 태도를 직접 보여줘야 할 것이다. 그러면 아이들은 그 태도는 배우고, 삶의 내용은 각자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채워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럴 때 아이 역시 '일치성'을 지니고 진정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의 삶을 책임지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