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틸컷미샤의 이야기가 담긴, 여러 언어의 책들
넷플릭스
제인의 예측대로 미샤의 책은 미국 내에서 잘 팔려나갔고, 이후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다. 디즈니 영화사와 오프라윈프리 쇼 제작진도 미샤의 책에 관심을 보였다. 미샤와 제인이 떼돈을 버는 건 시간문제였다. 그런데 미샤의 책이 오프라윈프리 쇼를 통해 전국으로 소개되려던 찰나(베스트셀러가 되는 최적의 경로), 웬일인지 미샤는 망설였다. 제인은 이해할 수 없었다.
그 무렵 제인과 미샤의 관계가 눈에 띄게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1년 뒤 책 판매가 시들해지고 인세가 줄어들자, 미샤는 경제적 어려움의 원인을 제인으로 지목했다. 책 판매에서 나오는 경제적 이득을 제인이 독차지한다는 게 미샤의 주장이었다. 두 사람은 합의에 이르지 못해 결국 법정에서 시비를 다투게 되었다. 결과는 제인의 패소였다. 제인은 배상금으로 2250만 달러(한화 약 260억 이상)를 선고받았다. 졸지에 제인은 무고한 홀로코스트 생존자를 고통스럽게 만든 사람으로 등극했다.
그때 제인은 지푸라기라도 잡아야겠다는 심정에 사로잡혔다. 제인은 미샤의 말에서 앞뒤가 미세하게 어긋나는 지점에 멈추어 새삼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어머니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다 했는데, 정작 본인의 은행 계좌번호에 첨부된 신상명세에는 어머니 이름이 버젓이 적혀있어 수상쩍었다. 그것 말고도 몇 가지 짚이는 게 있어서 제인은 사실을 대조하거나 분류하는 조사에 들어갔다. 그런 다음 그 내용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렸다. 누군가 반응해오리라 거의 기대를 하지는 않았지만, 제인의 블로그를 보고 계보학자(genealogist) 샤론 서전트가 연락을 해왔다.
농부였다는 할아버지가 미샤가 펴낸 책의 자료사진 속에서는 전연 농부의 행색이 아니었고(중산층 복장), 기르던 개도 농장에 사는 개 같지 않았으며, 일곱 살 때의 사진으로 내놓았지만 서너 살 유아의 얼굴로 보인다는 점 등, 여러 가지가 샤론이 보기에 아귀가 잘 들어맞지 않았다.
샤론은 제인과 의논하여, 벨기에에 살고 있는 친구 이블린 헨델(계보학자)을 호출했다. 이블린은 과거 카톨릭 가정으로 위장입양된 유대인 소녀였다. 자신이 유대인인 줄도 모르고 성인이 된 이블린은 마흔이 넘어서야 자신이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입양가정에서의 성장'이라는 점에서 미샤와 이블린은 닮은꼴이었기에 이블린은 미샤의 이야기에 관심을 보였다. 이제 이블린까지 뛰어들어 미샤의 이야기가 얼마나 사실인지, 얼마나 거짓인지 뒤쫓는 작업이 시작됐다.
마침내 이블린은 미샤의 이야기가 전부 거짓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샤는 유대인이 아닐 뿐 아니라, 이름도 미샤가 아니라 모니크였다. 모니크는 독일군에게 레지스탕스 조직원의 이름을 다 말해버린 (조직을 배신한) 아버지를 둔 벨기에 사람이었다. 모니크 아버지는 배신의 대가로 혜택을 받으리라 기대했지만, 기대와 달리 그는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었고, 결국 거기서 죽었다. 그의 배신경력은 레지스탕스 활동경력을 완전히 상쇄할 만큼 치명적이어서 이후 벨기에 당국은 그를 레지스탕스 조직원 명단에서 과감히 삭제해버렸을 정도다. 전쟁 이후 그를 아는 사람들은 모두 그를 '배신자'로만 지칭했다. 어린 모니크는 그러니까 '배신자의 딸'이었다.
처음에 미샤, 아니 모니크는 자신을 뒷조사하는 제인, 샤론, 이블린의 활동에 대해 대응할 가치조차 없다는 듯 행동했다. 그 와중에도 프랑스와 벨기에로 날아가 강연을 하고, TV에 출연하고, 각종 행사에 얼굴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실들을 증거로 내세우며 바짝 압박하자, 결국 언론에 성명을 내고 자신의 거짓말을 인정했다. 그러고는 끝이었다.
모니크는 다큐멘터리 제작진의 인터뷰에도 응하지 않았다. 헌데, 다큐멘터리에는 처음부터 자기가 미샤라면서 인터뷰에 응한 나이든 여성노인이 등장한다. 그러나, 그 여성노인은 미샤도 모니크도 아니었다. 그 여성노인은 미샤의 대역배우였다. 다큐멘터리 제작진은 의도적으로 시청자를 처음부터 속인 것이다. '제가 미샤랍니다'라며 나서는 어떤 여성을 미샤로 여기지 않을 수 없었던, 그녀를 신화적 동화 속 소녀로 인식하지 않을 재간이 없었던 여러 나라의 평범한 남녀노소 사람들의 심정을 작품의 전개과정에서 잠깐이나마 시청자들이 직접 느끼도록 의도했다면 그 의도는 적중했다.
물론 모니크(미샤)의 대역배우가 분장을 지우는 모습을 볼 때는 씁쓸한 느낌이 들 것이다. "어허, 이게 뭐란 말인가? 누굴 놀리나?" 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그 씁쓸함 가운데 미샤를 둘러싼 여러 현상들이 얼핏 이해가 될 수 있다. 당대에 여성노인 한 사람의 거짓말 몇 마디에 책 제작자, 방송 제작진, 뉴스 제작자 및 아나운서들, 심리학자, 학교 선생, 미샤의 사연을 소재로 하여 온갖 창의적 예술작업을 감행한 학생들, 미샤의 이야기를 영화화한 감독과 배우들까지 모두가 하나같이 속아넘어갔다는 사실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