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
"나와 생각과 사상이 다르고 (성·인종 등) 정체성이 다르면 이 세상에서 나와 함께 살 가치가 없는가?" 이렇게 물을 때 맨 정신으로 "예"라고 태연히 대답할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 같다. 그러면 질문을 좀 바꾸어보자. "나와 생각과 사상이 다르고 (성·인종 등) 정체성이 다른 사람들 때문에 내가 고통받고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감정이 좀 복잡해지는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1999년 런던 테러: 네일 보머의 진실(아래, 네일보머의 진실)>은 바로 위의 질문 "고통받고 있는가?"에 대해서 (개인의 주체적 판단이 아니라 집단적 정서에 편승해) "예"라고 응답한 어떤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1990년대 영국에 '나와 다른 사람들'을 향한 극도의 불편감, 좌절감, 패배감을 느끼는 사람들 무리가 나타났다. 그들은 인종말살정책을 구조적·체계적(?)으로 시행했던 히틀러의 나치를 추종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극우정당 BNP(브리튼국민당)의 집회에 참석했으며, 자기들의 심란한 마음을 읽어주고 억울한 감정을 오냐오냐 알아주는 극우 정치적 선동에 기꺼이 휘말려들었다.
BNP 집회에서 백인 청년들은 '고통받는다'는 자기 감정을 집단적으로 정당화했다. 생각과 사상과 성&인종 정체성이 나와 다른 사람들이 내 고통의 원흉이라는 생각을 집단적으로 공유했다. 원인과 결과를 엉성하게 연결한 것이었지만, BNP 집회에서는 차분히 그걸 따져볼 마음의 여유를 낼 수 없었다. 흡족한 직장도 없고 다정한 친구도 없이 지내던 젊은이들이 갑자기 무리로 모여 서로를 바라보니 열등감과 소외감이 커지면서 고통도 커져갔다. 나에게 고통이란 건 없을수록 좋다는 이기적 욕망은 고통에 대한 분노로 상승되며 타인들을 향해 발사됐다. 분노는 곧 폭력으로 나아갔고, 그들은 폭도가 되어갔다.
분노
BNP 집회 참석자들은 당시 극우 정치인이자 BNP의 당수 존 틴들(John Tyndall)이 자기들의 분노와 폭력을 정당화해준다고 믿었다. 자기들의 분노와 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멍석'을 깔아준다고 느꼈다. 취업 및 부의 축적에서 실패와 패배의 경험을 전연 공유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집회 뒤의 폭력사태에도 거의 수수방관하기만 하는 극우 정치인 틴들의 진짜 정체에 대해서는 별로 비판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저 흥분된 상태에서 나치 깃발을 들고 길거리로 나가 과격한 시위를 벌였고, 행인들을 위협했고, 나아가 행인들을 붙잡아 두들겨 패기까지 했다. 때로 자기들끼리 부딪혀 피를 볼 때까지 싸우기도 했고, 그들의 시위를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대응폭력을 당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