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마을학교 숙제 검사 하면서.
▲ 정 아무개 학생 편지 마을학교 숙제 검사 하면서.
ⓒ 이상자, 정아무개 학생

관련사진보기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은 언젠가 필연처럼 찾아오는 것이 인생인 것을 누가 모르랴! 머리로는 알지만, 막상 내가 그 상황이 되니 갯벌에 빠져 점점 깊이 들어가 나오지 못하는 발처럼 무겁다.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한글 수업은 코로나19 기간을 빼면 벌써 4년째였다. 교과서를 모두 끝내고 수업을 종료해도 서운한데, 인원수 부족으로 중단하게 되니 더욱 심란하다. 아마 어르신들도 주 2회씩 공부하던 것을 중도에 그만두게 되면 나보다 더 허전하고 섭섭할 것이다. 수업은 중단하더라도 그분들이 좋아했던 과제를 만들어 심심할(외로울) 때 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았다. 해야 할 일이 많지만 모두 뒤로 미루고 컴퓨터 앞에 앉았다.

어르신 학생들이 좋아하고 재미있어하던 공부는 그림 도안에 색칠한 후 그림의 내용에 어울리는 글짓기였다. 그 모습이 머리에 둥실거려 더 예쁘고 멋진 그림 도안을 찾느라 오랜 시간을 할애했다. 글짓기 할 곳에 정성 들여 선 긋는 작업도 했다. 인원수에 맞게 프린트해 봉투에 담았다. 그리고 80이 훌쩍 넘은 연세임에도 농사일에 노인 일자리까지 하면서 공부했던 학생들에게 일일이 손 편지를 썼다. 그동안 공부하느라 애쓰셨다고.

이 어르신 학생들은 가족들과 함께 살던 넓은 집에 지금은 덩그러니 혼자 살고 있다. 외롭고 쓸쓸할 때가 얼마나 많겠는가. 그럴 때 그림 그리고 글짓기하면 그 순간만은 쓸쓸함 잊고 행복할 수 있을 테니까 평소 했던 과제 준비를 한 것이다.

"훌륭하십니다, 존경스러워요" 진심을 담아 전한 말 

다과 준비를 해 갈까 하다가 하루 수업이 더 남았으니 마지막 날 하기로 하고 손 편지와 과제 만든 것을 들고 수업하러 갔다. 선생도 학생도 표정이 밝지 않지만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평소대로 수업했다. 끝날 무렵 만들어 온 그림 도안과 손 편지를 나누어 드리며 말했다.

"수업이 종료되면 얼마 동안 그림도 그리고 글도 써 보시라고 한 달 치 넘는 숙제를 만들었습니다. 시간 나실 때, 또 잠 안 오실 때 하셔요. 그리고 그동안 일하며 공부하느라 애쓰셨다고 존경하는 마음 듬뿍 담아 손 편지 한 장씩 써넣었어요.

농사일도 바쁘신데 공부하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공부할 때는 알겠는데 문 열고 신발 신는 순간 다 잊어버려서 모른다 하셨지요? 그렇지만 여러분! 콩나물 키워보셨잖아요. 콩나물 키울 때 물을 주면 어때요? 물 주는 즉시 쑥 빠져나가도 콩나물은 자라듯, 여러분 자신도 모르는 새 많이 성장했습니다.

이제 그림도 잘 그리고 하고 싶은 말을 어느 정도 글로 쓸 수 있게 되었지요? 여러분 연세에 자모음부터 배워 이만큼 할 수 있다는 것, 정말 장하십니다. 칭찬 드려요. 항상 말씀드리지만, 맞춤법 몇 개 틀리는 것 괜찮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을 전달할 수 있으면 되니까요.

80이 넘으신 분들이 일주일에 이틀, 그것도 하루 두 시간씩 공부해서 여러분만큼 하실 수 있다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거든요. 아주 훌륭하십니다. 존경스러워요. 6학년 과정만 남았는데 이 과정을 끝마쳐 드리지 못해 아쉽고 죄송합니다. 이제 공부할 날이 하루 남았네요. 오늘은 교재 11권의 '열대야'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다음 시간은 6단원의 삼국시대 나라 중 '백제와 고구려'라는 나라를 배울 겁니다."  


이 어르신들, 내 생전 잊지 못할 겁니다 
 
가방을 여니, 편지가 들어있었다.
 가방을 여니, 편지가 들어있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무거운 마음으로 수업하고 집에 돌아와 숙제 검사를 하려고 가방을 열었다. 숙제 속에 학생들이 쓴 편지가 들어있었다. 놀랍기도 하고 가슴이 따뜻해졌다. '그동안 배운 것으로 마음을 전하려고 편지를 쓰셨구나! 편지를 쓸 수 있다는 것, 그래 이 정도면 됐어. 이만큼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이 어디야. 이렇게 이분들이 글자를 알아 새로운 세상에 살게 되었으니까'라고 혼잣말을 하며 스스로를 위로했다.

편지 내용은 읽지도 않았는데 가슴이 콩닥거리고 한편 흐뭇하기도 했다. 본인 이름도 손을 벌벌 떨면서 쓰던 분들이 아니던가. 다음은 이분들 중 정 학생, 김 학생, 최 학생의 편지 내용이다.
 
"사랑하는 선생님께

선생님 안녕하시지요? 아무것도 모르는 저희들을 가르쳐 주셔서 그림도 그려보고, 글도 지어보고, 편지도 써보았고, 색칠도 해보고, 이것저것 하다 보니 재미가 있고 그리고 책상 앞에 앉아 선생님을 바라보며 공부하는 것이 너무나 행복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학교를 그만둔다 하니 마음이 허전하고 섭섭합니다. 선생님 고맙습니다. 선생님을 평생 있지 않겠습니다. 아무쪼록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선생님 안녕히 계십시요. 이만 줄리겠습니다. 선생님 사랑합니다." - 정OO(88세) 올림


"선생님!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배우지 못한 저희를 위하여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시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괴로우시나 한결같치 시간 어기지 않고 나오시어 열심히 가르치시느라고 고생 많으셨어요. 졸업을 앞두고 더 열심히 하려고 했는데 몸이 아파서 많은 시간 참석 못 해 죄송해요. 앞으로도 선생님을 영원히 있지 안겠어요. 선생님 내내 건강하세요." - 김OO(86세) 올림

 
"선생님 전 상서

세월은 유수하여 어느덧 선생님과 인연을 맺은 세월도 4년여 길다면 길지요. 불과 반년이면 조릅이라는 자격이 코앞에 완는데 청천병력이 저의들을 막고 인네요. 어찌하면 조을까요? 더구나 최 OO씨는 공부에 재미 부쳐서 열심히 하려구 하는되 정말 안타까운 심정이요. 그러나 아십지만 엇쩌겠어요. 안 되는 일인데 서로가 입장만 난처해지는 일이지요. 학생들이 무능한 것 같아 제송합니다. 선생님 우리 선생님, 어찌하면 대책이 있을까요? 혹시 재수가 있어서 조은 일이 있다면 족켔어요. 두서 업는 말을 수 없이 했네요. 선생님 만날 때까지 안녕히 계세요." - 최OO(89세) 올림

'가슴 뭉클하다'는 말은 이럴 때 쓰면 딱 어울리는 말 같다. 맞춤법 몇 개 틀리지만 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얼마나 대단한가. 그동안 글을 몰라 겪었던 설움과 한을 풀 수 있게 되어 나도 기뻤다. 한 분 한 분의 편지를 읽을 때마다 박수를 쳤다.

고마움과 안타까움을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되었으니 사실 박수로는 부족하다. 90세를 바라보는 연세에 한글 배워 편지까지 쓸 수 있게 된 장한 어르신들을 내 생전 잊지 못할 것이다.

내 목에서 자꾸만 이 말이 튀어나왔다.

'노인이라고 소외시키지 말아요. 80대도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좀 늦어요. 사람은 누구나 나이 들면 노인이 된답니다. 노인도 젊은 시절이 있었다고요.'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브런치 스토리에도 발행할 예정입니다.


태그:#마을 한글 학교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찾아가는 마을학교 성인문해교원입니다. 이밖에 웰다잉강의, 청소년 웰라이프 강의, 북텔링 수업, 우리동네 이야기 강의를 초,중학교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할머니는 못하는 게 뭐예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