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6년 전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1호기. 그러나 고리2·3·4호기는 줄줄이 수명연장(계속운전) 절차를 밟고 있다.
 6년 전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1호기. 그러나 고리2·3·4호기는 줄줄이 수명연장(계속운전) 절차를 밟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영구정지 6년을 앞두고, 지역의 환경단체가 고리2·3·4호기의 가동 중단을 촉구했다. 부산지역의 수십 개 단체로 이루어진 탈핵부산시민연대는 15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핵발전은 기후위기 해결책이 아니다. 고리1호기처럼 2·3·4호기도 영구정지를 결정하라"라고 목소릴 냈다.

"고리1호기가 완전히 가동 멈춘지 6년이 됐지만..."

탈핵부산연대는 "다가오는 18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핵발전소가 완전히 멈춘 날"이라며 "800만 부산·울산·경남의 시민이 함께 이뤄낸 쾌거였지만, 핵 없는 안전한 세상은 아직도 요원하다"라고 현재 상황을 짚었다. 설계수명이 다한 원전을 계속 가동하려는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의 방침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최근 한수원은 고리2호기에 이어 3·4호기의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주민 공람 과정을 차례대로 이어가며 계속운전 절차를 밟고 있다. 여러 손팻말을 든 환경단체 소속 회원은 노후원전 사고를 우려했다. 강언주 부산에너지정의행동 활동가는 "경제성을 따지지만 과거 여러 사고를 보라. 수명연장이 가져다준 건 되레 위험과 비리, 경제적 손실이었다"라고 주장했다.

다른 단체와 정당 대표는 기후위기 시대의 원전을 걱정했다. 김영진 정의당 부산시당 위원장, 이영미 연제가족도서원 관장, 전위봉 부산민중연대 집행위원장은 "빈번하고 위력적인 태풍 등 기후재난에 끄떡없이 완전한 안전을 담보할 방호벽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핵발전소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고리1호기 폐쇄 과정도 언급됐다. 이들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고리1호기 폐쇄 당시엔 정치적, 이념 성향 차이없이 모두가 노후원전의 위험을 말해놓고 지금은 왜 다르냐. 후쿠시마 핵사고, 경주·포항의 지진에서 얻은 교훈은 어디로 갔느냐"라며 날 선 질문을 던졌다. 포화 상태에 이른 사용후핵연료(고준위 핵폐기물) 논란 역시 원전 영구정지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1호기는 30년 설계수명을 훌쩍 넘긴 2017년 6월 18일 운전을 멈췄다.노후원전을 둘러싸고 지역의 120여 개 단체가 반대운동에 나섰고, 여야 정당과 부산시까지 힘을 실으면서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5년 폐로 결정을 끌어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7년 6월 19일 0시 고리원전에서 '탈핵시대'를 선포하는 상징적 장면을 연출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책은 정반대로 달라졌다. 탈원전을 폐기한 윤 대통령은 원전부흥을 내세웠고, 한수원도 줄줄이 수명연장을 추진 중이다. 고리2·3·4호기를 포함해 전체 원전 20여기 중 7기의 운영허가가 5년 내에 만료되기 때문이다. 현 정부 에너지 정책에서 원전의 비중을 다시 늘려가겠단 기조다. 
 
고리1호기 영구정지 6년을 맞아 부산지역 수십 개 단체로 이루어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15일 부산시청 광장을 찾아 고리2·3·4호기의 가동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고리1호기 영구정지 6년을 맞아 부산지역 수십 개 단체로 이루어진 탈핵부산시민연대가 15일 부산시청 광장을 찾아 고리2·3·4호기의 가동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태그:#고리원전, #영구정지, #수명연장, #계속운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