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대학교가 시민사회와 함께 구성한 '인천공공성플렛폼'의 1차 토론회가 28일, 인천대 본관에서 진행됐다
 인천대학교가 시민사회와 함께 구성한 '인천공공성플렛폼'의 1차 토론회가 28일, 인천대 본관에서 진행됐다
ⓒ 인천대학교

관련사진보기


인천대학교가 시민사회와 함께 지역의 이슈와 현안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구성한 '인천공공성플렛폼 추진단'의 1차 토론회가 28일 인천대 본관에서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는 '지역사회와 상생을 위한 인천대학의 역할과 방향'이라는 주제로, 남승균 인천학연구원 상임연구의원의 사회로 진행됐다.

김철홍 인천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와 김민수 대전 시민참여센터 운영위원장이 발제를 진행했고, 토론자로는 양준호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와 이희환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공동대표가 나섰다.

이날 토론회의 주된 내용은 공공성플렛폼의 추진방향이었는데, 참가자들은 지역과 지식의 공공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대학과 시민사회가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철홍 교수는 과거 선인재단 산하의 사립 인천대시절부터 지금의 국립인천대가 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한 과정을 설명하며, 지역의 국립대학으로 사회적 책무를 지기 위해 공공성플렛폼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과학상점'(scinece shop)의 개념을 도입해 시민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공공재로서 대학이 독립적인 참여와 연구 지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과학이라는 개념은 자연과학과 공학,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문과학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김민수 운영위원장 역시 과학상점의 개념을 논한 뒤 "사회적 약자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참여연구가 이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양준호 교수도 "과학상점 시스템을 도입해 영리를 위한 위탁연구만이 아닌 시민사회, 비영리단체들과 함께 공공의 영역에서 비영리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희환 대표는 "지역과 지식의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공공성플렛폼을 대학과 시민사회가 함께 구성·발족 한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라며, "한국사회에서 예를 찾아보기 힘든 지식 공공성의 성과를 창출해 내고, 인천사회에 건강한 공론장을 만들어내야 하는 과제가 있다"라고 말했다.

인천대는 1979년 개교해 선인재단의 사립대학으로 운영 되다가, 비리 등 재단의 많은 문제로 학내 분쟁이 이어졌고 1994년 인천 시립대학으로 전환됐다.

이후 2006년 인천대 국립대 전환에 인천시민 130만명이 서명운동을 하는 등 시민들과 함께 국립화 요구를 했고,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됐다.

인천대 관계자는 "지역에서 유일한 국립대이니만큼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대학이 갖고 있는 전문성을 공유하는 역할을 해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게시 되었습니다.



태그:#인천대, #시민사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