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체된 견고함 VS 불안한 확장성
▲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정체된 견고함 VS 불안한 확장성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각 당의 대선후보가 결정되자 각종 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진다. '문재인-안철수 양강구도'가 모든 조사결과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보수후보의 지지율 부진 ▲안철수 후보 지지율 급등 ▲문재인 후보 지지율의 '박스권' 형성 등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박근혜 이슈'의 수혜자는 안철수

매주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자료를 분석해보면 박 전 대통령 검찰조사와 구속 수감, 각 당 후보 확정 등 굵직한 이슈가 집중돼 있던 3월 하순부터 4월 초까지 지지율이 급등한 쪽은 안철수 후보다. 박근혜 이슈'의 최대 수혜자는 안 후보란 얘기다.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은 이런 이슈에 별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영장청구, 영장실질심사, 구속수감이 집중됐던 3월 마지막 주. 문 후보의 지지율에는 큰 변화(리얼미터 전주 대비 +0.5%, 한국갤럽 -3.3%)가 없었다. 그러나 안 후보의 경우는 달랐다. 지지율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전주 대비 6.1%,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6.4%나 상승한 것으로 나왔다.

박 전 대통령 구속 반대 집회가 폭력양상을 띠던 4월 첫 주, 각 당의 후보가 확정된다. 당 후보로 결정되면서 문 후보의 지지율은 7% 정도 상승(한국갤럽, 리얼미터)하는데 그친 반면, 안 후보의 지지율은 16~19% 급등하며 30%대로 진입했다. '컨벤션 효과'를 감안한다 해도 안 후보의 지지율 상승은 폭발적이었다.

3월 5주부터 20% 이상 급상승한 안철수 지지율.
▲ 문재인-안철수 지지율 추이(자료: 리얼미터) 3월 5주부터 20% 이상 급상승한 안철수 지지율.
ⓒ 육근성

관련사진보기


안철수 지지율 중 20%는 '어부지리'

이즈음 보수후보(유승민, 홍준표, 황교안, 김진태) 지지율은 조사대상에 오른 2~3인의 지지율을 합해도 9~11%(한국갤럽)에 그치는 극심한 부진을 보였다. 정당 유보층은 여전히 20%를 웃돌았다. 집 떠난 '보수 집토끼들'의 회귀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해 주는 대목이다. 30%대를 기록했던 보수정당(옛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두 보수정당(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을 합해도 15%조차 안 될 만큼 곤두박질쳤다.

반토막 난 보수정당의 지지율(15% 정도)을 누가 흡수했을까? 안 후보다. 3월 중순 10% 정도의 지지율에서 불과 두 주 만에 30%대까지 급등한 그가 수혜자다. 안 후보에게 얹혀진 20%는 어디서 왔을까? 2/3 정도가 보수층에서, 나머지는 민주당 경선을 거치는 동안 감정이 상한 '안희정-이재명 지지층'으로부터 온 것으로 파악된다.

보수정당 후보(유승민, 황교안, 홍준표, 김진태 등) 합산 결과
▲ 보수정당 후보 지지율 추이(자료: 한국갤럽) 보수정당 후보(유승민, 황교안, 홍준표, 김진태 등) 합산 결과
ⓒ 육근성

관련사진보기


지지율이 30% 후반에 머무는 문 후보. 10%대에서 단박에 30% 중반까지 치솟은 안 후보. 문 후보 지지율은 견고한 대신 비확장적이다. 안 후보의 지지율은 진폭이 큰 대신 확장성을 보인다. 문 후보 지지율은 안정적인 반면, 안 후보 지지율은 유동적이다. 이번 대선은 '정체된 견고함'과 '불안한 확장성'의 대결인 셈이다. 

선거일까지 4주... 두 가지 변수

누가 이길까? 앞으로 남은 4주가 중요하다. 문 후보는 '정체'를 극복해야 하고, 안 후보는 '불안'을 제거해야 승산이 있다. 두 가지 변수가 중요하다. 아직도 지지자를 정하지 않고 있는 무응답층의 향배와, 얼마든지 지지자를 바꿀 수 있는 '가변성 유권자'들의 움직임이 당락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응답층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ARS조사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나지만, 면접조사에서는 크게 높아진다. 조사방식에 따라 3.9%(리얼미터)에서 20%(코리아리서치)까지 출렁인다. 친박 유권자들 중 상당수도 '무응답층'에 속한다.

조사방법, 조사기관마다 널 뛰기하는 무응답층 비율
▲ 무응답층 비율(4곳 여론조사 결과) 조사방법, 조사기관마다 널 뛰기하는 무응답층 비율
ⓒ 육근성

관련사진보기


무응답층에서는 안 후보를 선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봐야 한다. 그렇다고 안 후보에게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위험요인도 있다. 이 층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우클릭을 강화하는 발언이 안 후보 입에서 나와야 한다. 이 경우, 안 후보를 지지하는 진보-중도적 성향(예를 들어 애당초 안희정-이재명 지지자 등)의 지지자들은 안 후보 지지를 철회할 수도 있다. 

이성적으로는 문재인, 감정적으로는 안철수

또 하나. 당선가능성과 실제지지율을 비교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문 후보와 안 후보가 극명하게 대비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문 후보의 경우 모든 여론조사에서 실제지지율보다 당선가능성이 훨씬 높게(10~20%) 나온다. 그러나 안 후보는 당선가능성이 지지율에 비해 3~8% 낮다.

이성적으로는 '대통령 적임자는 문재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감정적으로는 문 후보를 기피하는 유권자가 상당하다는 얘기다. 반대로 '안 후보가 대통령감은 아니다'라고 판단하면서도, 감정적으로는 안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 역시 적지 않다는 분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모든 여론조사에서 당선가능성이 지지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 당선가능성 VS 실제지지율(문재인 후보) 모든 여론조사에서 당선가능성이 지지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 육근성

관련사진보기


'감정'에 의존했던 유권자들의 판단이 선거일에 임박해 판단이 '이성'으로 돌아설 경우, 문 후보는 자신의 지지율보다 10~20% 높은 당선가능성 비율의 상당부분을 실제 지지율로 치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안 후보는 불리해진다. 지지율이 당선가능성보다 높게 나온다는 건 곧 '거품이 있다'는 얘기다. 거품은 걷힐 가능성이 높다. 선거 막판엔 더욱 그렇다.

모든 여론조사에서 당선 가능성이 지지율보다 낮게 나온다.
▲ 당선가능성 VS 실제지지율 (안철수 후보) 모든 여론조사에서 당선 가능성이 지지율보다 낮게 나온다.
ⓒ 육근성

관련사진보기


어느 쪽이 쉬울까?

안 후보가 자신의 강점인 '확장성'을 살리려면 이제부터 '모험'이 필요하다. 위험부담을 안고 우클릭을 강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 후보에게는 유권자들의 '이성'에 호소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자신의 지지율을 당선가능성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면 이게 바로 '정체성 극복'이자 '확장력'이다. 또 안 후보에게 얹혀 있는 3~8%의 '거품'을 공략할 방도도 찾아내야 한다.

어쨌든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이런 진단이 가능하다. '문 후보에겐 일굴 땅이 이미 확보돼 있지만, 안 후보에겐 그런 땅이 없어 먼저 산을 개간해야 한다.'

누가 이길지 결과를 예측하는 건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도 이런 질문에 답을 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당선가능성 높은 문 후보가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쉬울까? 아니면, 지지율에 '거품'이 있는 안 후보가 지지율을 높이는 게 쉬울까? 여기서, 답은 전자다.


태그:#5.9대선, #안철수 당선가능성, #문재인 당선가능성, #안철수 거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치, 시사 분야 개인 블로그을 운영하고 있는 중년남자입니다. 오늘은 어제의 미래이고 내일은 오늘의 미래입니다. 그래서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미래를 향합니다. 이런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민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