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현대차 창저우공장 준공식에서 차에 사인하고 있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 중국 현대차 창저우공장 준공식 현대차 창저우공장 준공식에서 차에 사인하고 있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 더드라이브

관련사진보기


현대기아자동차가 지난달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나란히 부진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보복의 영향 등으로 판매량이 '반토막'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중국에서 7만 2032대를 팔아 전년 동월 대비 52.2% 감소했다. 현대차는 5만 6026대(44.3% 감소), 기아차는 1만 6006대(68.0% 감소)를 판매하는데 그쳤다. 현대기아차가 중국에서 월간 판매 10만 대 이하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2월 9만 5235대 이후 처음이다.

업계는 판매 급감의 원인으로 중국의 사드 보복을 지목했다. 사드 배치로 중국 내 반한 감정이 커지며 한국 제품 불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특히 일부 경쟁사는 한국차를 주문했다가 취소하면 '애국 선물'을 주는가하면, 폭스바겐은 한국차를 팔고 자사 차량을 구매하면 3000~1만6000위안(50만~260만 원)을 할인해주며 상황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가 중국을 겨냥해 발표한 현지 모델 뉴 위에동
▲ 현대차 위에동 현대차가 중국을 겨냥해 발표한 현지 모델 뉴 위에동
ⓒ 더드라이브

관련사진보기


이런 영향으로 현대차는 일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야간 조업 시간을 조절해 감산에 들어갔고, 기아차도 근무 및 공장 가동시간을 줄여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글로벌 전체 판매량의 23.5%(114만 2016 대)를, 기아차는 21.5%(65만 6000대)를 중국에서 팔았다. 

미국 시장도 중국보다는 덜하지만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미국에서 11만 8694대를 팔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영향이 있고, 이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대자동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
▲ 현대차 미국 앨라바마 공장 현대자동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
ⓒ 더드라이브

관련사진보기


현대차는 6만 9265대로 지난해(7만 5310대)보다 8% 감소했는데, SUV는 증가한 반면 세단의 판매량은 급감했다. 

차량별로는 싼타페가 전년 동기 보다 75% 증가한 1만 1446대, 투싼은 15% 증가한 8986대를 팔았다. 반면 쏘나타는 전년 동기보다 47% 감소한 1만 5357대에 그쳤고, 액센트와 벨로스터도 각각 45%, 41% 줄었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1755대를 팔아 지난 1월(1818대)·2월(1582대)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기아차도 4만 9429대로 지난해(5만 8279대)보다 15.2% 감소했다.

기아차 미국 조지아 공장 전경
▲ 기아차 미국 조지아 공장 기아차 미국 조지아 공장 전경
ⓒ 더드라이브

관련사진보기


미국에서 인기가 높은 쏘울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8426대를 팔았고, 스포티지는 18.3% 감소한 5560대, 쏘렌토는 21.7%% 감소한 7751대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3월까지 미국에서 누적 판매 26만 6520대를 기록해 지난해(31만 9651대)보다 7.2% 감소했다. 현대차는 2.6%(16만 8792대), 기아차는 12.7%(12만 7728대) 줄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는 "중국의 사드나 미국의 트럼프 정부 문제는 앞으로 최소한 1년은 갈 것이다.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에 '암흑의 시대'가 왔다고 볼 수 있다"면서 "이제라도 변수가 많은 두 나라에 의존하기 보다는 제3의 시장에 눈을 돌리고 수출 다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더드라이브(www.thedrive.co.kr)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현대기아차 , #현대기아차 수출 , #트럼프 보호무역 , #중국의 사드 보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