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왼쪽부터 이선아, 장효료, 왕시아 씨
 왼쪽부터 이선아, 장효료, 왕시아 씨
ⓒ 송하성

관련사진보기


왕시아씨와 장효료씨 그리고 이선아씨는 김포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생활을 시작했다. 중국에서 한국에 온 시기는 각각 다르지만 항상 센터에 나와 한국어를 수강하고 컴퓨터 자격증을 취득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검정고시 공부를 했다.

이젠 서포터즈로 봉사까지 하는 이들이 최근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이들은 올해 160시간의 이론, 실기 교육과 80시간의 현장실습과정을 모두 마치고 지난 7월 시험에 응시해 당당히 합격했다.

내국인 합격률이 87%로 떨어지는 사람이 적지 않은데 한국어가 완전치 않은 이민자가 합격한 것은 대단한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10일 오전 김포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이들을 만났다.

- 요양보호사 시험에 도전하게 된 이유는?
왕시아 : "요양보호사는 한국생활에 도움이 많이 되는 자격증이다. 시아버지가 4년 동안 침대에 누워 계시다 작년에 돌아가셨다. 그때 요양보호사가 와서 시아버지를 돌봤다. 가족도 돕고 일자리도 얻을 수 있는 직업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공부하는 자격증 중에 요양보호사가 제일 좋은 것 같다."
이선아 : "요양보호사는 실생활에 도움이 많이 된다. 시어머니가 길에서 넘어지셔서 깁스를 하고 요양원에 계셨는데 이제 그런 일이 발생하면 내가 도와드릴 수 있다. 이주민들은 언어문제 때문에 취업이 쉽지 않은데 이 자격증이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 공부하면서 기억에 남는 일은?
장효료 : "요양보호사 공부가 의사, 간호사 공부와 똑같다(웃음).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아서 늘 중국어 사전을 옆에 두고 보며 공부했다. 한국인들은 몇일 수업에 빠질 수도 있지만 우리는 하루라도 빠지면 진도를 따라갈 수 없다. 그래서 결석하지 않고 열심히 했다. 주말 빼고 매일 공부했다. 이주민 13명과 내국인 23명 등 모두 36명이 수업을 들었고 그 중에서 이주민은 10명이 합격했다."

왕시아 : "현장실습 때 요양원에 가서 어르신들을 직접 만났는데 누워 계신 모습이 너무 불쌍했고 마음이 좋지 않았다. 젊었을 때 능력이 있건 없건 부자였든 아니든 늙어서 아프면 다 똑같은 것 같다. 시간이 되면 요양원에 가서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

장효료 : "요양원에 가서 처음에 치매 어르신을 보고 어떻게 도와드려야 할지 몰라 당황했다. 어르신들을 만나니 역시 마음이 아팠다. 어르신들이 사투리를 쓰는 경우가 많아 알아듣기가 어려웠고 이가 빠지면 또 발음이 새니까 알아듣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아예 말씀을 못하는 분들도 많았다."

-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어떤 도움이 될 것 같나?
왕시아 : "어린 아이가 있어서 당장 취업을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자신감이 생겼다. 늙더라도 건강하기만 하면 요양보호사로 일 할 수 있다. 큰 돈은 아니지만 아이들 눈치 안보고 생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는 능력 있는 사람이 됐다는 자부심이 생겼다."

장효료 : "요즘 한국사람들 취직하기도 얼마나 어렵나. 다문화가족은 남편과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많다. 남편이 은퇴하면 아내가 나가서 돈 벌어야 하지 않나. 친구들 보면 공장에 가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데 당장 취업할 계획은 없지만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것이 든든하다."

이선아 : "그동안 노인복지관 등에서 틈틈이 봉사활동을 해왔다. 김포에는 노인 관련 기관이 많고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어서 요양보호사는 매우 장래성이 있는 직업이다. 당분간 요양보호사로 파트타임 알바를 할 생각이다. 취업은 2~3달 뒤에 할까 계획 중이다."

- 센터에서 많은 공부를 했는데 어떤 도움이 됐나?
왕시아 : "한국어를 하지 못하면 아이 교육에 가장 큰 문제가 된다. 센터에서 집으로 방문해 자녀교육, 부모교육을 해준 것이 특히 큰 도움이 됐다. 아이들 언어교육도 감사하다. 한국어를 열심히 공부해도 복잡한 표현은 내가 가르칠 수 없는데 그런 부분을 센터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잘 지도해 주셨다."

이선아 : "컴퓨터를 배워서 자격증을 땄다. 취업을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교육이 이주여성 취업의 기본이다."

장효료 : "검정고시 공부를 통해 한국역사를 배웠다. 초등학생 아이들이 질문을 해도 답할 수 있어 기쁘다."

- 앞으로 계획이 있다면?
장효료 : "시험에 합격하고 격려의 말을 많이 들었다. '우리도 힘든데 다문화가족이 어떻게 자격증을 땄는지 놀랐다'고 하더라. 뿌듯했다. 한국생활에 큰 욕심은 없다. 가족 모두 행복하고 건강하기를 바란다. 한국 엄마들처럼 아이들 키우며 살면 좋겠다. 아이를 잘 키우고 싶다. 그러면 제일 행복한 일일 것이다."

왕시아 : "한국에서는 여성이 취업하는 것이 불리하다. 우선 남녀 급여 차이가 많이 난다. 중국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월급을 비슷하게 받는다. 또 중국에서는 친정 부모님과 시부모님이 자녀 양육을 많이 도와주신다. 며느리도 젊었을 때 나가서 돈 벌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여자가 집에서 아이나 키우지 밖에 나가서 일한다'고 안 좋아한다."

이선아 : "최종적으로는 한국어를 열심히 배워서 중국어 강사가 되고 싶다. 그동안 여러 가지 공부를 했기 때문에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고 자부한다. 그러면 한국 사람들에게 중국어를 더 잘 가르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경기다문화뉴스에 함께 게재되었습니다.



태그:#요양보호사, #김포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열심히 뛰어다녀도 어려운 바른 언론의 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