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3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열린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3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열린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사)우리겨레하나되기 경남운동본부(아래 경남겨레하나)는 15일 논평을 통해 "대북제재는 한반도 평화 문제의 답이 될 수 없다"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3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북한의 수소탄 시험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제재가 포함된 가장 강력한 대북제재를 추진하겠다"라고 밝힌 가운데,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낸 것이다.

경남겨레하나는 대북지원 활동과 갖가지 통일운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다. 이들은 남북 사이에 대화와 소통의 창구를 열 것을 촉구했다.

"진정한 방위는 한반도 평화"

이 단체는 "북한이 '수소탄 시험'을 했다고 발표한 이후, 한반도 상공에는 미군의 핵 폭격기가 떠올랐다"며 "대통령은 이를 '한미방위를 위한 결연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하지만, 진정한 방위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 어떤 군사 동맹도 평화에 우선할 수 없고, 그 어떤 최신식 무기가 도입되더라도 전쟁의 참화를 겪을 곳이 한반도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라며 "한반도에 무기들이 몰려오고 서로를 겨눈 압박과 긴장상태가 계속된다는 것은 언제 어떤 불씨가 전쟁으로 비화될지 모른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겨레하나는 "압박과 고립을 목적으로 하는 대북제재가 한반도 평화문제를 풀어갈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은 이미 국제사회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라며 "지난 13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가 언급한 '실효성 있는 대북제재'라는 말은, 역설적으로 지난 시기 대북제재가 핵 실험을 방지하는 데 실효성이 없었음을 드러내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이번 한반도 상황을 이유로 일본과의 군사협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일본과 군사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논한다는 것이 과연 가당한 일인가?"라고 밝혔다.

이어 "식민지배 침략역사를 사죄하지 않고 아직까지도 역사 왜곡 망언을 일삼는 아베 정부와 군사정보를 공유하고, 한반도 운명 문제를 논의하고 협력할 만한 신뢰가 쌓여있다는 것인가"라며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있는 일본의 역사인식과 재무장 움직임에 경고와 우려를 보내기는 커녕, 한반도 문제에 일본이 관여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라고 덧붙였다.

경남겨레하나는 "정부는 다른 나라에 의존해 북한을 압박하고 긴장을 조성할 것이 아니라 남북관계에 적극적으로 나서 대화와 협상의 통로를 열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대북확성기로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의 길을 찾아야 하고, 당장 당국 대화가 어렵다면 민간교류의 창구를 열어 신뢰를 쌓아야 한다"라며 "개성공단을 축소, 통제 할 것이 아니라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개성공단을 통해 남북관계가 건재함을 증명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한반도 평화의 위기에서 우리는 역설적으로 기회를 찾아야 한다, 어렵더라도 '대화'만이 평화를 위한 정답이며, 한반도가 전쟁발화점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라며 "8.25합의를 섣부르게 파기할 것이 아니라 그 합의 정신을 이어가 다시 대화와 소통의 창구를 열어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태그:#대북제재, #박근혜 대통령, #경남겨레하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