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상을 견딜 수 있는 힘은 떠나고 싶다는 욕망에서 나온다. 언젠가 지루한 일상을 벗어던지고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말리라는 기대 같은 것 말이다. 삶이 고단해질수록 떠나고 싶은 욕망은 커진다.

그래서일까. 요즘 여행을 가야겠다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 것 같다. 나도 마찬가지다. 엄혹한 세상을 견디다 보면 아무 구속이 없는 곳에서 주야장천 책이나 읽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여행을 떠났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면 금단 현상이 일어난다. 일탈이라는 해방감은 쉽게 떨칠 수 없는 것이다. 아마 여행을 가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간 사람은 없을 것이다. 떠나고 싶다는 마음이 동하는 주기가 점점 짧아진다. 그러다 보면 여행지에서 쭉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해방감이 가득한 저곳에서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다.

제주도는 이러한 욕망이 작동하는 곳 중 하나다. 제주도는 '올레길' 등이 유명세를 타면서 국내 힐링 여행의 메카로 떠올랐다. 이러한 제주도 여행 붐 때문인지 제주도로 이주하는 인구도 급증했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는 2014년 한 해 3569가구가 이주했다. 이는 2013년도(204가구)에 비해 1649% 폭증한 것이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 속해 있지만 이국적이다. 언어나 문화의 차이도 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제주도로 '이주'한다고 표현하기보다 '이민'간다고 말한다. 제주의 삶에 적응하기란 이민이라는 단어의 둔중함만큼 어렵다. 하지만 이민을 결심하는 사람들 대부분 여행의 설렘을 떠올린다. 그러다 여행의 설렘을 지나 삶의 고단함에 부딪히면, 끙끙 앓다가 다시 도시로 떠난다.

<푸른 섬 나의 삶>은 제주의 삶이 마냥 여행의 환상으로 가득 찬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담담하게 풀어낸 책이다. 저자의 제주 생활을 읽다보면 두 가지 느낌을 받는다. 치열한 고민 없이 쉽게 제주로의 이주를 생각하지 말라 엄포를 놓는 단호함. 소주 한 잔 기울이며 함께 삶의 고달픔을 토로할 수 있는 친근한 지인 같은 따뜻함. 제주에 대한 저자의 애착 때문일 것이다.

서울 여자의 제주 착륙기

<푸른 섬 나의 삶>, 책 표지
 <푸른 섬 나의 삶>, 책 표지
ⓒ 오마이북

관련사진보기

"소소하지만 모든 것이 달라진 일상. 불편함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한이 없을 테고, 하나도 불편하지 않다면 그것도 거짓말일 터. 그래서 그냥 즐겁게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마음 편히 살자고 온 제주 아닌가."(31쪽)

오랫동안 살았던 곳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생활 공간을 옮겼을 때는 모든 것이 불편하다. 낯선 공간, 어색한 주변 공기, 어지러운 길들. 이외에도 익숙하지 않음 때문에 짜증이 불쑥 나기도 한다. 더군다나 제주는 다른 곳보다 그 간극이 더 크다. 육지와 제주의 간극만큼, 제주에서 받는 낯섦이나 어색함은 더할 것이다.

저자는 서울에서 누렸던 여러 편의시설과 괜찮은 직장에서 주는 월급을 포기하고 제주에 내려온 만큼 불편함을 즐겁게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음식 재료를 사려면 차를 타고 나가야 하고, 배달 음식은 어불성설인 곳. 위치, 방향에 관한 당황스러운 설명 방식에다 고무줄 같은 영업 시간이 가능한 곳. 저자에게 제주는 당황스럽지만 그만큼 재미있는 곳이다.

같은 상처를 내야 스며들 수 있는 곳

제주는 섬이라는 지형적 특성과 더불어, 해방 직후 벌어진 4·3 사건의 잔상이 남아 있어 외지인을 배척하는 분위기가 있다. 참여정부 시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의 활동으로 진상 규명과 정부의 공식 사과가 있긴 했다. 하지만 때 늦은 사과는 한풀이는 될지언정, 모든 상처를 아물게 할 수는 없는 법이다.

저자 역시 제주로 이주한 이후 이러한 분위기를 감지한다. 서울에서 친구가 내려와 식당에 갔을 때 한라산을 주문하면서 말이다. 한라산 종류를 설명하려는 점원의 말을 자르고 저자가 "하얀 걸(한라산소주는 19.5도짜리 녹색 병과 21도짜리 투명한 흰색 병이 있다)로 주세요"라고 말했을 때, 점원은 "도민이세요?"라고 묻는다. 저자는 "도민이세요?"라는 질문에서 꺼림칙함을 느낀다.

"뭔가 꺼림칙하다. "도민이세요?"라는 질문에는 '도민=토박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꾸 "서울에서 살러 왔고 제주도에서는 아직 얼마 살지 않은 도민입니다"라고 부연 설명을 해야 할 것만 같다. 제주도가 좋아서 살러 온 내가 느끼는 이런 감정은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싶다는 의미이기도 하다."(63쪽)

제주 이주민이 자연스럽게 제주도민으로 스며들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단지 여행지 제주가 좋아서 이민을 결심한 사람이라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 제주도가 겪어온 역사의 상처까지 마음에 새길 수 있는 용기가 없다면 아무래도 진정한 제주도민이 되기는 힘들 테니까 말이다.

그래도 제주는 제주다

저자가 제주의 삶을 마냥 동경하고 있는 이들에게 '현실은 이렇다'고 엄포를 놓고 있긴 하지만 그래도 제주는 제주다. 아름다운 바다와 우뚝 솟아 있는 오름이 있다. 독특한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곶자왈도 있다. 유명한 곳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곳곳의 경관이 눈을 사로잡는다. 알 수 없는 제주만의 맛이 있다.

저자가 '오월이네집'이라는 셰어하우스를 만들어 '제주 이민'을 꿈꾸는 이의 연착륙을 도우려는 것은, 환상적인 여행지 제주의 맛보다 제주 자체의 맛이 더 좋음을 느꼈기 때문이지 않을까. '뭉툭한 경계에 선 서울 처녀'인 저자는 강정마을에 새겨진 글귀를 지도삼아 제주에서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갈 이를 기다린다.

"조상 대대로 제주에 살았다고 하더라도 제주의 자연을 그의 돈벌이로만 여기는 사람은 육지 것이며, 비록 어제부터 제주에서 살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제주를 그의 생명처럼 아낀다면 그는 제주인이다."(140쪽)

덧붙이는 글 | <푸른 섬 나의 삶>(조남희 씀/ 오마이북/ 2015. 3/ 정가 14,000원)

이 기사는 본 기자의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푸른 섬 나의 삶 - 서울 여자의 제주 착륙기

조남희 지음, 오마이북(2015)


태그:#제주인, #제주 여행, #제주 삶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