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심홍재 전국행위예술협회장이 ‘행위예술’을 하고 있다.
 심홍재 전국행위예술협회장이 ‘행위예술’을 하고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부여성왕공원 입구부터 나뭇가지에 주렁주렁 달린 노란 리본에는 세월호 참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이를 그리는 추모하는 글들이 나부낀다. 전시된 작품에서도 아픔이 묻어난다. 이 모두가 부여여고 학생들의 작품이다. 

세월호 참사 1주기 부여군민 추모예술제가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과 박정현 전 충남도 정무지사 등 200여 명의 군민이 참석한 가운데 5월 31일 오후 7시부터 2시간 동안 부여성왕공원에서 열렸다.

이날 예술제는 부여민주단체연합(전교조, 공무원노조, 사회보험노조, 민주한국인삼공사노조, 충남공공부여일반노조, 민주버스노조, 충남건설기계노조, 기아자동차노조, 부여군비정규직노조, 축협노조, 전통문화대학노조, 농민회)이 주최하고 낮은음자리가 주관하여 부여여고 학생들과 자리를 마련했다.

사회를 맡은 계룡고등학교 김대열 선생은 "누구나 살다가 죽는데 우리나라는 너무나 억울한 죽음이 많다, 세월호는 정부가 제대로 대처만 했다면... 잊지 않겠다는 의미로 오늘의 자리를 만들었다"고 시작을 알렸다.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이 참석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이 참석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은 "세월호는 아이들에게 부끄럽고 부끄러운 사고로 어른들의 잘못으로 일어난 사고다, 부여에서 잊고 싶은 5·18 추모제, 노무현 추모제까지 함께 했는데... 아이들 단 한 명도 포기하지 않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추모제는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의미로 풍물, 추모노래, 살풀이 춤, 색소폰 공연 등 추모공연 위주로 진행됐다. 그리고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이자 시인인 전숙자님이 '세월호'란 시를 낭독했다. 참석자들은 다 함께 '아침이슬'을 부르며 마무리했다.

'세월호'
어이 할까 어이 할까 팽 목항에 수장된
못 다 핀 꽃 송이들
세상이 망함이여 차가운 물 속에 묻힌
우리의 꿈 나무들
육십 오년 전 이 아무개 대통령이
몰려오는 적진 속에 서울 시민 내 동댕이 처 놓고
국군이 승승 장구 하고 있으니
임무에 충실하라
거짓 방송 틀어 놓고 저희들만 도망치며
한강다리 폭파시켜
수백명의 서울 시민 한강 물에 젓 담그던
그 정신을 이어 받은 세월호 선장나리
죽음의 물 속으로 빠저드는
이 나라의 새싹 들
동요하지 말고 기다려라

누구의 책임인지 저 높은 양반 들은 아는지 모르는지
이 나라의 희망이여
먼 훗날 네가 어른 되어
외곡된 역사 부정과 부패로 물든 세상
옳 곶이 세워
거짓으로 얼룩진 각설이 누더기 옷
양잿 물로 폭 폭 삶아
백의 민족 새 하얀 두루마기
삼천리 금수 강산에
휘날릴 줄 알았건만 어른들의 썩은 정신 재물이 되어
속절 없이 너희들은 가고 없으니
남은 자여 어이 살까
세상이 망함이여~~

논산 교육 풍물패 ‘두드림’이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제를 알리는 문을 열었다.
 논산 교육 풍물패 ‘두드림’이 세월호 참사 1주기 추모제를 알리는 문을 열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윤세계 명상음악 가수의 추모공연
 윤세계 명상음악 가수의 추모공연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부여여성농민회 회원들이 춤을 선보이고 정부시행령 폐기와 세월호 인양 촉구 피켓팅을 가졌다.
 부여여성농민회 회원들이 춤을 선보이고 정부시행령 폐기와 세월호 인양 촉구 피켓팅을 가졌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오카리나 연주자인 구본중씨와 아이들이 ‘꽃과 어린왕자’를 공연했다.
 오카리나 연주자인 구본중씨와 아이들이 ‘꽃과 어린왕자’를 공연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서천 산너울 마을에 사는 황금성 선생이 신동엽 시인의 ‘껍데기는 가라’를 기타반주에 공연했다.
 서천 산너울 마을에 사는 황금성 선생이 신동엽 시인의 ‘껍데기는 가라’를 기타반주에 공연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서천 산너울 마을에 사는 계순옥 선생이 ‘살풀이 춤’을 췄다.
 서천 산너울 마을에 사는 계순옥 선생이 ‘살풀이 춤’을 췄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심홍재 전국행위예술협회장이 ‘행위예술’을 참석자들이 돕고 있다.
 심홍재 전국행위예술협회장이 ‘행위예술’을 참석자들이 돕고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재능기부 예술단으로 잘 알려진 강흥순, 이관희씨가 ‘봉숭아’를 공연했다.
 재능기부 예술단으로 잘 알려진 강흥순, 이관희씨가 ‘봉숭아’를 공연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윤재민씨가 작사 작곡한 ‘세월호 희생자 추모곡’을 부여여고 학생들과 같이 공연했다.
 윤재민씨가 작사 작곡한 ‘세월호 희생자 추모곡’을 부여여고 학생들과 같이 공연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부여여고 학생들이 '세월호'를 주제로 그린 작품을 전시했다.
 부여여고 학생들이 '세월호'를 주제로 그린 작품을 전시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부여군민 추모예술제가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과 박정현 전 충남도 정무지사 등 200여 명의 군민이 참석했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부여군민 추모예술제가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과 박정현 전 충남도 정무지사 등 200여 명의 군민이 참석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태그:#세월호, #1주기 추모예술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