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노동조합총연맹(아래 한국노총)과 국민노동조합총연맹(아래 국민노총)이 대통합해 노동계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한국노총(위원장 김동만)과 국민노총(위원장 정연수)은 3일 오전 11시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식 통합을 선언했다.

한국노총-국민노총 대통합

3일 김동만 한국노총위원장과 정연수 국민노총위원장이 통합을 선언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
▲ 대통합 3일 김동만 한국노총위원장과 정연수 국민노총위원장이 통합을 선언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
ⓒ 김철관

관련사진보기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국민노총 정연수 위원장과 조직들이 연대 정신으로 함께해줘 감사하다"며 "1국가 1노총을 지향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통합으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연수 국민노총 위원장은 "통합을 통해 국민에게 꿈과 희망이 되는 새로운 노총으로 거듭 태어나야 한다"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노동을 폄하하는 상태에서는 국가 발전이 안 된다. 경제 주체로서 노동자를 인정하는 그런 정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한국노총과 국민노총은 한국 노동 운동의 새로운 역사를 쓰려고 한다"며 "노동계 분열을 종식하고 1국 1노총 시대를 열기 위한 시작을 한국노총과 국민노총이 함께 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3일 오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양대 노총 통합을 발표하고 있다.
▲ 기자회견 3일 오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양대 노총 통합을 발표하고 있다.
ⓒ 김철관

관련사진보기


이어 "양 노총의 통합은 양 노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역량은 극대화하면서 더 많은 동지와 더 크게 연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분열보다 대통합과 대동단결로 노동 운동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시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노총은 당면한 현안 문제로 ▲ 온전한 노동기본권 쟁취 ▲ 비정규직 차별 철폐 ▲ 청년, 이주노동자 등 미조직노동자 조직화 ▲ 통상임금범위 확대 ▲ 노동시간 단축 ▲ 사회양극화 해소 등 해결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합 노총은 한국노총 94만 명 조직에 국민노총 2만조직을 합쳐 96만 조직이 됐다. 한국노총이 제3노총인 국민노총과의 통합으로 이제 노동계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양대 체제가 됐다.


태그:#한국노총- 국민노총 통합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미디어에 관심이 많다. 현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