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쓰레기를 식수원 낙동강 속으로 

엇, 저것이 무슨 장면인가요? 지난 10월 30일 합천창녕보를 갔다가 눈을 의심케하는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합천창녕보 관리소 직원으로 보이는 이들이 보 청소를 하면서 보 수문 위에 쌓인 쓰레기들을 강으로 그대로 투기하는 장면을 목격한 것입니다.
보에 걸린 쓰레기를 식수원 낙동강으로 무단 투기하는 수자원공사
 보에 걸린 쓰레기를 식수원 낙동강으로 무단 투기하는 수자원공사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수자원공사 직원 두명이 합천창녕보의 수문을 열심히 청소하더니, 그 위의 쓰레기를 식수원 낙동강으로 버리고 있다
 수자원공사 직원 두명이 합천창녕보의 수문을 열심히 청소하더니, 그 위의 쓰레기를 식수원 낙동강으로 버리고 있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이미 상당한 쓰레기를 강으로 투기한 상태여서 강물 표면에 페트병과 유기물이 둥둥 떠다니며 길게 띠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두 눈으로 목격을 하고도 의심이 되는 저 모습이 어떻게 해서 가능할까요? 설상가상 관리소 직원들은 쓰레기 무단 투기를 항의하는 기자의 말에 일언반구도 없이 하던 일을 계속하는 배짱도 보여주었습니다.  

저 유기물들은 그대로 낙동강의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이 될 것이고, 3년 연속 창궐하고 있는 녹조라떼 현상의 한 원인이 되겠지요. 녹조 현상은 원인은 이렇듯 작은 곳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강에 무단으로 버리는 각종 오염원들이 녹조 현상의 원인물질인 것이지요.

투기한 쓰레기가 강물 위를 둥둥 떠다니고 있다
 투기한 쓰레기가 강물 위를 둥둥 떠다니고 있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낙동강 강물 위를 둥둥 떠다니는 쓰레기
 낙동강 강물 위를 둥둥 떠다니는 쓰레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4대강 보를 관리하는 곳은 수자원공사입니다. 수자원공사는 말 그대로 이 나라의 '수자원'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수자원이란 무엇을 말하는가요? 1,500만 경상도민의 '식수원 낙동강'보다 더 중요한 수자원이 또 어디 있을까요? 수자원공사 합천창녕보 관리단은 수자원 낙동강보다는 4대강 보의 관리가 더 중요한가 봅니다. 보를 청소한 쓰레기를 저렇게 태연히 강으로 무단투기하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4대강사업이 얼마나 엉터리 사업이면 4대강사업으로 확보한 막대한 수자원에 저렇게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지요? 이 나라의 한심한 수자원 관리의 현주소가 아닌가 싶습니다.

4대강 보의 수문을 열든가, 저 무용한 보를 하루빨리 해체하는 것이 옳다. 낙동강과 그 안의 뭇생명들을 위해서. 우리 인간을 위해서라도.
 4대강 보의 수문을 열든가, 저 무용한 보를 하루빨리 해체하는 것이 옳다. 낙동강과 그 안의 뭇생명들을 위해서. 우리 인간을 위해서라도.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늦가을까지 녹조가 창궐하고, 큰빗이끼벌레라는 낯선 생물체는 아직도 낙동강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강은 흐르지 않고, 서서히 그리고 점점 더 썩어가고 있다는 것을 그대로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수자원공사도 그 사실을 잘 알고 있나 봅니다. 강을 저렇게 아무렇게나 대하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하루 빨리 저 거대한 보를 해체해 강을 원래 그대로 흐르게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강은 관리의 대상이 아닙니다. 강은 흘러야 합니다. 스스로의 힘으로.

덧붙이는 글 |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으로 낙동강의 수생태환경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태그:#합천창녕보, #4대강사업, #쓰레기, #수자원공사, #낙동강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은 깎이지 않아야 하고, 강은 흘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모색합니다. 생태주의 인문교양 잡지 녹색평론을 거쳐 '앞산꼭지'와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 사람들'을 거쳐 현재는 대구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