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는 8일 오전 교육부 정문 앞에서 국립학교 비정규직노동자 현실 고발 및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는 8일 오전 교육부 정문 앞에서 국립학교 비정규직노동자 현실 고발 및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 홍근진

관련사진보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회계직연합(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는 지난 8일 오전 세종시에 있는 교육부 정문 앞에서 국립학교 비정규직노동자 현실 고발 및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국립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을 교육부장관이 책임지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전국의 공립과 사립학교 비정규직들은 2014년 3월부터 장기근무가산금이 1년에 2만 원씩 올랐지만, 국립학교에서 일하는 우리들은 여전히 2년을 근무해야 고작 1만 원이 올랐을 뿐"이라며 "교육부는 올해 3월로 소급하여 최소한 교육부가 발표한 장기근무가산금을 1년당 2만 원과 기본급 1.7% 인상안을 즉각 적용하라"고 주장했다.

또, "2011~12년에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대책 시행으로, 장기근무가산금, 교통보조비,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명절휴가비, 맞춤형복지비, 위험수당, 자격·직무수당이 도입되었지만, 국립학교 비정규직들은 아예 못 받거나 같은 지역의 공사립학교 비정규직들이 받는 수당보다 낮은 금액을 받고 있다"며 "국립학교 비정규직들에게도 각종 수당을 시도교육청 평균 수준이상으로 개선해 달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성명서를 통해 "교육부는 국립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문제를 올해가 끝나가는 지금까지 여전히 방치하고 있으며, 전국의 국립학교들에 공문을 발송하여 처우개선 조치를 일체 중단할 것을 지시하였고 이미 지급된 수당을 7월 월급지급일에 전액 환수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고 밝혔다. 이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학교 급식실 인건비의 경우 이미 지역 공립학교 기준으로 교육청이 국립학교들에 지급해 놓은 상황에서 집행이 안되고 있는 것은 예산이 문제가 아니라 교육부의 의지없음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태의 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장은 기자회견에 앞서 취지발언을 통해 "비정규직이라서 정규직과 비교하여 차별받는 것도 서러운데, 또한 '국립'학교에서 일한다는 이유만으로 바로 옆의 공립과 사립학교에서 일하는 같은 비정규직 동료들과 비교해도 차별을 받고 있다"며 "황우여 교육부장관은 국립학교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은 교육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리는 관계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설훈 위원장 등 소속 의원들이 집회 현장을 찾아 격려하기도 했다. 또, 이날 오후 4시에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서 교사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영양사와 사서 등에 대한 차별철폐를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덧붙이는 글 | 세종뉴스 (http://www.sjenews.com/)에도 올렸습니다.



태그:#HTTP://WWW.SJENEWS.COM/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