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개항 후 관문도시 역할, 일자리 찾아 사람들 몰려와

인구 300만을 앞두고 있는 인천광역시는 부산광역시에 이어 국내 3대 도시로 발돋움했다. 인천은 구한말까지만 해도 '제물포'라는 경기만의 조그만 어항 마을에 불과했다. 1876년 일본이 강제로 체결한 강화도조약에 따라 1883년 인천항이 개항했고, 그 뒤 인천은 수도 서울의 관문역할을 하면서 물자와 사람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인천은 1960년대 부평공단과 주안공단 조성, 1970년대 인천항 갑문 설치, 1980년대 중반 남동공단 조성으로 수도권 생산기지 역할과 수출입 교역의 관문 역할을 하며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뤄지면서 인구가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했다.

1970년 당시 경기도 인천시의 인구는 80만 명이었다.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구가 늘기 시작했고, 1981년 7월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로 승격되며 경기도와 분리됐다. 경기도청은 이 때 인천에서 수원으로 이전했다. 1976년 100만을 돌파한 인천의 인구는 직할시 승격 당시 131만 명이었다.

1960~1970년대 부평공단과 주안공단,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발달, 1985년 남동공단 가동으로 인천은 수도권 최대 배후산업도시로 거듭났다. 이후 1980년대 후반 '3저 호황'을 바탕으로 한 한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 그리고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 교역량 증가,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으로 인천의 규모는 더 커졌다.

이 같은 경제성장 흐름에 맞춰 일자리를 찾아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인천은 1992년 인구 200만을 돌파했고, 1995년 1월 민선1기가 시작되면서 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출발, 233만 명을 돌파했다.

2014년 7월 현재 인천광역시의 면적은 1040㎢(국토의 1.23%, 유인도 40개, 무인도 128개)이고, 행정구역은 자치구 8개와 군 2개이다. 거주 인구는 294만5800여 명(전국 인구의 5.64%)이고, 세대수는 112만7860여 세대이다. 주민등록인구는 289만2480여 명이고, 외국인은 5만3350여 명이다.

인천시의 재정규모는 2014년 약 8조1793억 원(일반회계 5조2638억, 특별회계 2조5735억)이고, 이중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1조8580억 원(23.7%)이다.

인천시는 1실 8국 3본부, 12개 직속기관, 1청, 18개 사업소에 공무원 약 5686명을 두고 있고, 자치군·구 10개에는 공무원 751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교육공무원은 약 2만2170여 명이고, 시 소재 전체 공공기관 종사자는 약 5만9000여 명이다.

행정조직의 경우, 아시안게임이 끝나면 대회조직위원회와 대회지원본부에 파견돼있는 공무원 약 300명이 복귀해야하고, 인구 300만 돌파를 앞두고 있어 이를 수용할 수 있게 행정조직을 확대·개편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학교의 경우, 인하대·인천대·경인교대·경인여대·재능대학 등 대학교육기관 12개(대학 8, 전문대 4)가 있고, 초등학교 242개·중학교 133개·고등학교 122개에 학생 수는 36만4000여 명이다. 인구수에 비해 대학교육기관이 적고, 인구 57만의 부평구에는 대학이 하나도 없다. 이는 도시 규모가 비슷한 부산의 대학교육기관이 26개(대학 16, 전문대 10)인 것과 대조를 이루지만,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묶여 대학 개설이 어렵다.

인천에는 국가·지방 산업단지(이하 산단) 약 10여 개가 있으며, 업체 9800여 개가 가동 중이다. 부평·주안·남동 국가산단의 가동 업체 수는 전국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세 번째로 많다.

2012년 말 기준 인천의 산업구조는 서비스업 69.4%, 제조·건설업 30.2%, 농림어업 0.4%로 돼있고, 경제활동인구는 155만9000여 명(취업자 148만 9000여 명, 실업자 7만여 명)이다.

이 같은 토대를 바탕으로 한 2012년 기준 인천의 GRDP(지역총생산)는 약 60조6348억 원으로 전국의 4.8%를 차지한다.

인천지역 산업단지의 가동업체 수는 광역지자체 16개 중 세 번째지만, 업체당 생산액 13위, 수출액 14위, 고용인원 16위로 영세하다. 인천지역 산업단지들은 기반시설이 노후화됐고, 관리 미흡에 따른 경쟁력 약화가 지속되면서 300만 도시에 걸맞은 산업단지 구조고도화를 요구받고 있다.

제물포 개항 당시 인구 1만에 불과헀던 인천은 불과 130여년 만에 인구 300만명을 앞두고 있다. 인천대교와 건너편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최근 10년간 인천의 변화를 상징한다.
▲ 인천대교 제물포 개항 당시 인구 1만에 불과헀던 인천은 불과 130여년 만에 인구 300만명을 앞두고 있다. 인천대교와 건너편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최근 10년간 인천의 변화를 상징한다.
ⓒ 시사인천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300만 도시에 걸맞게 역차별 해소해야 분권 가능

인천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도시 규모가 커졌지만, 여전히 서울 외곽에 위치한 '공장도시'에 불과했다.

자동차산업과 그에 따른 부품산업, 기계와 전기전자 부품산업, 중국과의 교역량 증대에 따른 인천항과 항만산업의 성장, 인천국제공항 개항,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으로 인구 200만 명을 넘어섰지만, 살고 싶은 도시라기보다 돈을 벌면 언젠가는 떠나는 도시다. 돈을 벌면 인접한 경기도 부천과 일산, 서울로 이전하는 게 특징이 된 지 오래다.

인천 인구 중 인천에서 태어난 이들의 비중은 10% 남짓이다. 인구 300만 시대를 앞두고 있지만, 외형적으로만 그 규모가 커졌을 뿐이다.

고등법원이 없어 서울로 가야하고, 부산과 달리 지방국세청이 없어 경기도 수원으로 가야하며, 문화예술을 향유하기 위해 서울로 가야하는 게 현실이다. 교육의 경우 '탈 인천'이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수도권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70% 이상을 생산하며 인천시민은 그에 따른 환경피해를 보고 있고, 또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도 인천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악취가 주거환경을 저해하고 있다. 수도권에 공급하는 LNG 역시 인천에서 생산되기에 인천시민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살아가는 실정이다.

미디어에 있어서도, 인천시민은 방송주권을 상실한 채 살아간다. 2007년 개국한 OBS는 한때 광고매출 등에서 50% 안팎의 급성장세를 보였다. 하지만 미디어랩 제도 도입 이후 10년 전, OBS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iTV'에 비해 절반밖에 안 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iTV의 광고매출액이 개국 7년차인 2003년에 554억 원이었는데, 지난해 OBS의 광고매출액은 300억 원 미만으로 떨어졌다.

SBS는 1990년 서울방송으로 설립됐으며, 수도권 지역과 강원 영서 일부, 충청도 북부를 시청권으로 두고 있다. OBS와 시청권이 겹치는 셈이다. 경기·인천지역 시민사회와 시청자들은 미디어랩 도입 때부터 OBS 광고를 SBS가 대주주인 크리에이트에 배정하지 말 것을 요구했지만,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를 외면했다.

매출 저하에 따른 어려운 조건에서도 OBS는 방송프로그램 100% 자체 편성을 유지하는 민영방송사로서 지방분권시대에 걸맞은 지역방송 모델로 꼽힌다. OBS가 차별 받는 구조를 시정해, 지역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지역의 여론 형성과 의제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해야한다는 주문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 #인천경제자유구역, #지방분권, #제물포, #인천항 개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