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효원굿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학생 공동대책위 기자회견이 20일 오전 학교 정문에서 열렸다. 학생들은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민간 사업자를 대신해 이자를 대납해야 할 위기에 놓인 학교에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특히 학생들은 기성회비를 대출 변제에 이용해서는 안된다고 촉구했다.
 효원굿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학생 공동대책위 기자회견이 20일 오전 학교 정문에서 열렸다. 학생들은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민간 사업자를 대신해 이자를 대납해야 할 위기에 놓인 학교에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특히 학생들은 기성회비를 대출 변제에 이용해서는 안된다고 촉구했다.
ⓒ 부산대학교 대책위

관련사진보기


무리하게 추진된 수익형 민자사업(BTO)에 부산대학교가 시름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업시행자가 빌린 대출을 학교가 학생들의 기성회비로 충당하려한다고 알려지면서 학생들이 반발하고 있다.

문제가 된 부산대학교의 BTO사업인 '효원굿플러스'는 학내에 들어선 쇼핑몰로 현재 심각한 재정 위기에 놓여있다. 더욱이 건물이 압류될 정도의 재정난 속에서 금융권으로부터 대출받은 400억 원 가량의 대출금 상환도 2014년 초로 다가왔다. 당장 한국투자신탁에서는 밀린 이자 20억 원 가량을 21일까지 갚으라는 공문을 BTO 당사자 측에 발송한 상태다.

더 큰 문제는 사업시행자인 효원 E&C를 대신해 학교가 대출을 상환해야 할 의무를 진다는데 있다. 학교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민간 사업시행자에게 학생 등록금으로 충당한 기성회비를 담보로 제공했다. 이 같이 석연치 않은 계약 체결 과정에서 김인세 전 총장은 사업시행자로 부터 1억4천만 원 가량의 뇌물을 받았다. 김 전 총장은 현재 구속 기소된 상태다.

부산대학교의 방만한 운영은 이달 초 감사원의 감사 과정에서도 불거졌다. 감사원은 학교가 애초 25% 이상은 돼야하는 민간사업자의 자기자본비율을 5%까지 낮춰줘 부적격 민간사업자가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했다고 지적했다.

학생들 "기성회비, 빚 갚는데 못 써"...학교 "변제할 여력이 전혀 없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낸 기성회비가 BTO 대출 변제에 쓰인다는 의혹에 크게 분노하고 있다. 20일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와 차기 총학생회장 출마 후보들은 학교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당국을 거세게 비판했다.

학생들은 "(BTO가) 애초에 학내 구성원들의 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진했던 사업이고, 모두에게 계약 내용도 공개되지 않아 문제였던 효원 굿플러스 문제가 이제 그 빚더미까지 학내로 끌어들였다"며 "더 큰 문제는 급한 불을 끈다고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이자를 낼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생들은 "기성회비는 학우들에게 돌아가야만 하는 돈"이라며 "단 한푼의 기성회비도 빚을 갚는데 쓰이게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생들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적극 지원했던 BTO 사업에 대해서는 (교과부가) 더더욱 책임을 져야한다"며 교과부에 관련 예산 편성을 주문했다. 덧붙여 학생들은 BTO와 관련한 모든 정보 공개와 학생들의 참여 보장을 요구했다.

학생들의 이 같은 반발에 학교 당국은 명확한 방침을 내놓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부산대학교 캠퍼스재정기획과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기성회비로 지급되어서는 안 된다는 학생들의 의견에는 공감한다"는 의견만 내놓았다.

하지만 학교의 재정 상황도 좋지 못해 학교 당국의 걱정은 깊어지고 있다. 이 관계자는 "기성회비와 학교 예산에서 이자를 변제할 여력이 전혀 없다"며 "국고 지원을 받는 방안도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부는 부산대 책임으로 진행된 사업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어서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태그:#민자사업, #BTO, #부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