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 동구의회 의원들은 6일 오전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시의 도안 생태호수공원 개발 중단을 촉구하면서 "원도심 회생 정책을 우선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대전 동구의회 의원들은 6일 오전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시의 도안 생태호수공원 개발 중단을 촉구하면서 "원도심 회생 정책을 우선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 대전동구의회

관련사진보기


대전시가 도안 생태호수공원을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히자 동구의회가 개발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지난 5일 '도안 생태호수공원 예정지'가 국토부의 친수구역조성 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히고, 서구 도안동과 유성구 원신흥동 일원 85만6000㎡(약 25만9000평)의 부지에 사업비 4972억 원을 들여 호수공원 및 친환경주거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50만㎡로 조성될 예정이었던 호수공원은 39만2000㎡로 축소하고, 31만6000㎡의 주거단지(4270세대)와 3만1000㎡의 상업용지, 11만7000㎡의 도로 및 주차장 등이 새롭게 조성되는 계획이다.

이러한 대전시의 계획에 대해 대전 동구의회 의원 전원은 6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도안 생태호수공원' 개발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동구의회(의장 김종성)는 성명에서 "대전시의 도안 생태호수공원 조성 사업 착수 소식에 25만 동구 구민은 분노와 실망을 금할 길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월에도 도안 생태호수공원을 50만㎡에서 38만㎡로 축소하면서 사업비 약 2500억 원을 시비와 주변지역 개발이익금으로 충당하겠다는 충격적인 발표를 접한 바 있다"며 "당시 동구의회에서는 국비 확보 없는 졸속 추진은 대전시 발전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하고 사업 추진 시기를 조절해 달라고 요청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특히, 동구와 중구, 대덕구 등 소위 원도심 지역의 낙후된 주거 여건 개선을 위해 해당 지역의 공동주택 개발에 대전도시공사의 참여를 건의했었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요구는 묵살한 채 신도시 개발에만 몰두하는 대전시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대전시는 시비와 주변지역 개발이익금으로 도안생태호수공원을 개발하려는 계획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특히, 그에 앞서 원도심 회생을 위한 정책을 먼저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끝으로 "대전시가 도안 생태호수공원을 빌미로 도안 2단계 개발을 시도하여 대전시민을 동서로 분열시키는 일련의 행정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며 "원도심 회생을 외면한 채 추진되는 신도시 개발 행위를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호수공원을 축소하여 잔여지역을 주택과 상가, 도로 등으로 개발하겠다는 대전시의 계획은 생태적으로 우수한 갑천·월평공원의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어 환경단체들도 강력한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태그:#대전 동구의회, #도안호수공원, #도안생태호수공원, #대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