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0년 6월 이후 공사가 중단된 부산 초읍동 어린이대공원 내 '더 파크' 동물원 사업 부지.
 2010년 6월 이후 공사가 중단된 부산 초읍동 어린이대공원 내 '더 파크' 동물원 사업 부지.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장기간 표류하던 부산 유일의 동물원 건설 사업이 새로운 시공사 선정으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하지만 막대한 부채와 부산시의 특혜 의혹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다. 거기다 공무원을 상대로 한 민간사업자의 로비 정황까지 포착되며 사업 진행의 또 다른 변수가 될 전망이다.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어린이대공원 내 5만3000㎡가량의 면적에 조성될 예정이던 동물원 '더 파크'는 2010년 6월 시공사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며 사실상 방치되다시피 했다. 이후 지난해 9월 도시계획시설 사업기간 만료와 참여 의향 기업들의 연이은 사업 포기에 사업 추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건설업체 삼정기업이 동물원 조성사업에 뛰어들면서 일단 숨통은 트이게 됐다.

3일 찾은 사업부지는 오랜 시간 공사가 중단되며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모습이었다. 입구의 홍보관은 문이 굳게 닫혀 있었고, 정리되지 못한 집기가 흩어져 있었다. 잡초가 무성한 부지에는 골조만 세워진 건물이 우두커니 서 있었다.

이곳을 혼자서 관리하고 있는 관리인은 "공사가 중단되며 오가는 사람이 없다"며 "이번에 공사가 진행이 된다고는 하는데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곳을 자주 찾는다는 등산객 신 아무개(56)씨는 "매번 사업 추진 이야기만 나오고 성과는 없다 보니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이번만큼은 빈틈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각오다. 일단 9월 중 부산시는 삼정기업과 더파크 등이 참여하는 3자 간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또 지역은행인 부산은행이 대주단으로 참여하며 사업비를 조달하기로 결정해 큰 틀의 사업추진에서는 성과를 보게 됐다.   

부산시, 사실상 '지급보증'까지 서주며 사업강행

도보형 사파리 동물원을 표방하는 '더 파크'는 장기간 표류하며 사업 추진을 장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새 시공사가 나타나며 사업 재추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산시는 민간운영이 되지 않을 시 동물원을 인수하는 부담의무를 지기로해 특혜 논란이 일고있다.
 도보형 사파리 동물원을 표방하는 '더 파크'는 장기간 표류하며 사업 추진을 장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새 시공사가 나타나며 사업 재추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산시는 민간운영이 되지 않을 시 동물원을 인수하는 부담의무를 지기로해 특혜 논란이 일고있다.
ⓒ 더 파크

관련사진보기


이를 바탕으로 더파크가 조성되면 시공사·시행사·대주단이 지정하는 자가 3년간 동물원의 운영을 맡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민간운영이 되지 않을 경우 시가 동물원을 인수하는 부담의무를 떠안기로 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액수는 최대 500억 원에 달한다. 부산시 공원유원지 재정비추진단은 이런 무리한 결정의 배경을 "하루빨리 동물원이 조성되기를 원하는 시민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사업 추진을 원하는 부산시의 입장을 고려하더라도 시가 사실상의 지급보증을 서면서까지 사업을 추진하는 데 따른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부산시는 과거 몇몇 업체가 사업 추진에 관심을 보일 때마다 사실상의 지급보증을 자처하며 사업 추진을 강행하려 했다.

부산시는 "동물원 준공 후 3년 이내에 민간운영자가 직접 운영을 하거나 제3자에 매각할 경우 부산시의 매수 의무는 면제된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리 호락호락하지는 않다. 680억 원을 쏟아 붓고 70%가량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더 파크의 채무 청산을 위해서는 수백억 원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막대한 재정 부담을 느낀 K사와 J기업 등이 부산시의 부담 의무 약속에도 사업 추진을 무산시켰다.

이런 와중에 더파크 시행사가 관련 공무원들에게 금품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사업 추진의 변수로 등장했다. 2일 <노컷뉴스>에 따르면 부산지방검찰청 특수부가 더 파크 측이 공무원 20여 명에게 회삿돈을 건넸다는 문서를 확보하고 수사에 들어갔다. 이 문서에는 부산시와 부산진구청, 부산시설관리공단 소속 공무원들의 신상과 건네진 돈의 액수까지 나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부산시는 새로운 시공사의 참여를 기회로 보고 시의회 의결을 거쳐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부산시가 떠맡기로 한 부담 의무와 금품 로비 정황까지 드러나면서 시의회 내부의 기류도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태그:#더파크, #동물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