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철수 서울대 융학과학기술대학원장이 4일 탈북자 강제북송 항의 촛불집회에 참석했다. 지난달 6일 안철수재단 운영방향 발표 기자회견 이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철수 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효자동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해, 11일째 단식중인 '탈북 여성 1호 박사' 이애란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장을 찾아 위로했다.

 

안 원장은 "많이 힘들겠지만 조그마한 위로가 되지 않을까 싶어서 방문했다"면서 "전부터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편지를 받아보고 마음이 많이 아팠다"고 전했다. 이애란 원장은 지난 2일 '북한 주민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집회 현장을 방문해 달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안 원장에게 보낸 바 있다.

 

안 원장은 또한 "인권과 사회적 약자 보호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가치"라며 "여기에 있는 다른 분들도 같은 생각일 것이다, 인권과 사회적 약자보호는 이념과 체제를 뛰어넘는 가치"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이애란 원장은 "안 원장이 탈북자에게 많은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면서 "젊은 세대들의 관심이 많아지면 이 나라가 변화하고, 그러면 중국이 변할 것"이라고 답했다. 안철수 원장은 5분가량 이애란 원장과 대화를 나눈 후, 자리를 떴다.

 

한편,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에 대해 비판했다.

 

조국 교수는 이날 오후 "박선영 의원의 노선과 정책은 나와 다르다, 그러나 탈북자 북송저지를 위한 진정성은 인정한다"며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나라와 세력이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이념과 체제를 떠나 인권의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은 국제난민협약 가입국이다, 유엔난민기구(UNHCR)는 '난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사람은 난민협약상 난민으로 간주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며 "중국 정부가 UNHCR과 협의해 '묘안'을 안출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태그:#안철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