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일보 23일자 A3면 보도 내용.
 조선일보 23일자 A3면 보도 내용.
ⓒ 조선일보PDF

관련사진보기


오세훈과 곽노현의 점심 투표. 요즘 누리꾼들 사이에 화제가 된 이야기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세훈과 곽노현이 점심을 먹으러 식당에 갔다.
오세훈 : 냉면 먹자
곽노현 : 국수 먹자
오세훈 : 아 그래? 그럼 투표로 결정하자.
- 비냉
- 물냉
사정이 이러니 곽노현은 "투표 문안에서 '국수'는 넣지 않고 왜 냉면만 넣었냐"고 발끈했다. 나쁜투표거부시민운동본부의 주장도 마찬가지다.

주민투표안 놓고 왜 시교육청안이라고 보도할까

주민투표를 하루 앞둔 23일 <조선일보>와 <문화일보>는 주민투표 문안에 대해 보도했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시청이 주도한 이번 주민투표의 문안은 다음과 같다.

- 소득 하위 50%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실시
- 소득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부터, 중학교는 2012년부터 전면적으로 무상급식 실시

이에 대해 학교급식법에 따라 학교 급식 계획과 집행을 맡고 있는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주민투표에는 교육청안이 없다"고 밥 먹듯이 밝혀왔다. "주민투표 1안과 2안 어느 것도 서울시교육청의 정책과 다르다"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 홈페이지 첫 화면에도 이 같은 글귀가 적혀 있다.

이에 대해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지난 8월 12일자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다음처럼 말했다.

"오해부터 풀어야 할 것 같다. 시교육청의 무상급식은 2011년 초등학교에서 전면 실시하고 2012년 중1, 2013년 중2, 2014년 중3 등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주민투표 문안에는 시교육청의 안이 없다."

문제는 이런 사정을 모를 리 없는 보수신문이 억지 부리기식 보도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냉'이 곽노현이 주장했던 것이라고 줄줄이 보도하는 게 그렇다.

문화일보 23일자 2면 보도 내용.
 문화일보 23일자 2면 보도 내용.
ⓒ 문화일보PDF

관련사진보기


<조선일보>는 23일자 A3면 보도에서 그래픽을 곁들여 다음처럼 제목을 달았다.

"위 칸은 '단계적 무상급식, 吳시장案...아래 칸은 '전면 무상급식' 시교육청案."

같은 날 나온 <문화일보>도 <조선일보>와 거의 비슷하게 보도했다. 그래픽도 비슷하다. 2면 "'구청 투표참여 감시' 집중 단속"이란 제목의 기사에서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펄쩍 뛰었다. 이들은 이날 하루에 두 차례나 보도자료를 내어 "<조선일보>와 <문화일보>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진화에 나섰다. 시교육청이 낸 자료를 살펴보자.

시교육청 "의도적인 일부 신문의 술수"

"조선일보 종합3면 기사 제목은 유권자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잘못된 보도임. 이와 같은 신문제목은 주민투표에서 시민들의 합리적 선택을 현저히 왜곡할 우려가 있음."

"문화일보 종합2면 기사에서 주민투표 안으로 제시된 그래픽 내용 중 2안의 내용이 '서울시교육청의 안'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님. 이 그래픽은 유권자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잘못된 보도이며, 주민투표에서 시민들의 합리적 선택을 현저히 왜곡할 우려가 있음."

이들 신문은 왜 이런 보도를 하고 있을까? 시교육청 공보담당관실 관계자는 "내용을 모를 리 없는 신문들이 의도적으로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술수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주민투표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