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안산시의회 해외연수에 동행했던 경인지역 일간지 <K일보> 안산주재 K기자의 여성의원 숙소 추태 사건 등 부적절한 행태와 관련해 전국공무원노조 안산지부는 2일 K일보 절독운동에 돌입했다. 사진은 안산시청 전경.
 안산시의회 해외연수에 동행했던 경인지역 일간지 안산주재 K기자의 여성의원 숙소 추태 사건 등 부적절한 행태와 관련해 전국공무원노조 안산지부는 2일 K일보 절독운동에 돌입했다. 사진은 안산시청 전경.
ⓒ 김한영

관련사진보기

 
안산시의회 해외연수에 동행했던 경인지역 일간지 K일보 안산주재 K기자의 여성의원 숙소 추태 사건 등 부적절한 행태에 대한 파문이 K일보 절독운동으로 번졌다.

전국공무원노조 안산지부(지부장 고태균)는 2일 K일보 절독운동에 전격 돌입했다. K기자의 추태 사건 이후 가장 초강수 대응이다. 노조는 이날 홈페이지에 'K일보 절독운동에 우리 모두 동참합시다'란 제목의 공지문을 올려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공무원단체가 특정 기자의 잘못된 행태를 문제 삼아 소속 언론사의 신문 절독운동에 나선 것은 초유의 사건으로, 이에 대한 K일보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시청과 시의회 전체 부서에 'K일보 절독운동 동참서'를 배포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으며, 4일엔 대대적인 선전전을 벌일 계획이다. K일보 절독운동이 위력을 발휘할 경우 해당 언론사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K일보 절독운동 동참서'에는 지난 7월 14일부터 21일까지 안산시의회 해외연수단에 동행한 K기자의 여성의원 숙소 추태사건과 지난 3월 공무원 폭행 의혹사건 및 여성 시의원에 대한 협박과 폭언 사건을 규탄하는 내용과 절독운동 배경 등이 담겨 있다.

노조는 "공무원과 시의회를 무시하고 겁박한 해당 기자는 반성은커녕 오만불손한 행동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K일보의 책임 있는 사과와 해당 기자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이뤄질 때까지 K일보 절독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절독운동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더욱 주목되는 부분은 K일보 절독운동이 안산시만 국한된 게 아니라 인근 지역으로까지 추진되고 있는 점이다. 노조 측은 이날 "K일보 절독을 위해 안양·군포·의왕·과천·시흥 등 5개 자치단체 공무원노조와도 연대하겠다"고 밝혀 파란을 예고했다.

박기한 노조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전화통화에서 "며칠 후 인근 5개 지역 공무원노조 지부장들과 모임을 갖고 K일보 절독운동 연대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노조가 K일보 절독운동에 나선 이유는 해당 언론사 측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공무원노조 안산지부가 2일부터 K일보 절독운동에 전격 돌입한 가운데 노조는 이날 홈페이지에 ‘K일보 절독운동에 우리 모두 동참 합시다’란 제목의 공지문을 올려 절동운동 사실을 알렸다. 사진 붉은 선 안쪽.
 전국공무원노조 안산지부가 2일부터 K일보 절독운동에 전격 돌입한 가운데 노조는 이날 홈페이지에 ‘K일보 절독운동에 우리 모두 동참 합시다’란 제목의 공지문을 올려 절동운동 사실을 알렸다. 사진 붉은 선 안쪽.
ⓒ 김한영

관련사진보기

 
 
K기자 추태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9일 안산지방자치개혁시민연대 대표들과 공무원노조 안산시지부 관계자들은 K일보사를 항의 방문해 회사 관계자에게 “K기자의 해임과 재발방지대책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K기자 추태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9일 안산지방자치개혁시민연대 대표들과 공무원노조 안산시지부 관계자들은 K일보사를 항의 방문해 회사 관계자에게 “K기자의 해임과 재발방지대책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 공무원노조 안산지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박 위원장은 이어 "지난 3월 K기자의 공무원 폭행사건과 여성 시의원에 대한 폭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철저한 재발방지를 약속했던 K일보사는 K기자가 이번에 또다시 물의를 일으켰는데도 신속한 대응을 못한 채 불분명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지난달 19일 K기자의 해외 추태 사건 이후 규탄성명 발표(7월 25일), 안산시청 내 규탄 펼침막 게시 및 피해사례 모집공지(7월 28일), 시민단체와 K일보사 항의방문(7월 29일) 등 계속해서 대응수위를 높여왔다.

고태균 지부장은 이날 K일보 절독운동 동참 호소문을 통해 "이제 공무원 노동자는 인사와 업무, 외압 등 불공정한 게임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시민을 위한 공무원으로 다시 태어나려고 한다"며 "K일보 절독운동에 모든 부서의 참여를 호소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노조 측은 K기자 추태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29일 안산지방자치개혁시민연대 대표들과 K일보사를 항의 방문해 "K기자의 해임과 재발방지대책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하고 "이런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K일보 구독거부운동을 전개할 것"라고 경고한바 있다.

이에 대해 안산지역 K일보 독자관리 총책임을 맡고 있는 관계자는 전화통화에서 "현재 안산시청 일부 부서에서 잇따라 신문 구독중단을 요구해 와 알아본 결과 공무원노조의 절독운동 때문이었다"면서 "본사와 협의해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14~21일까지 안산시의원들의 북유럽 해외연수에 동행했던 K기자는 지난 19일 밤, 한 여성의원의 숙소를 찾아가 술을 마시자고 요구하며 소란을 피우다 이를 제지하는 의원에게 여성을 비하하는 막말을 하는 등 추태를 부려 물의를 일으켰다.

이와 관련해 K일보사 측은 지난 7월 29일자로 K기자를 본사 지역사회부로 전보발령을 낸 데 이어 이번 주 K기자에 대한 징계수위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론보도]

본지는 2011년 7월~9월, <지방지 기자 "술 마시자" 여성의원 숙소에서 소란> 등 6건의 기사를 통해 'K일보 기자가 안산시의회 해외연수 동행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켰다'는 취지로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K기자는 "여성의원에게 술 마시자고 추태를 부린 사실도 없음은 물론 오히려 사전에 전화통화로 허락을 받고 여성의원 방을 방문했다. 여성의원들 앞에서 여성비하적인 막말도 한 적이 없다. 남성의원과의 대화는 지극히 사생활 얘기를 했을 뿐이고, 소동으로 현지 경찰이 출동한 적도 없다. 연수기간 공무원과 시의원을 폭행한 사실이 없고, 폭행혐의 유언비어를 퍼트린 악성댓글러들을 수사해달라고 본인이 검찰에 고소한 바 있고, 조사결과 폭행 혐의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라며 "안산지역 권력기관과의 친분으로 안산시 공직사회에서 권력자로 행세한 적도 역시 없다. 여성의원의 고소로 형사 처벌을 받은 적이 없고, 도리어 여성의원 스스로 검찰에 고소를 취하했다"고 밝혀왔습니다.

태그:#기자 추태 , #K일보, #절독운동, #공무원노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수원을 비롯해 경기지역 뉴스를 취재합니다. 제보 환영.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