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7월 내린 집중호우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원인을 놓고 주민과 관련 기관과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가 원인규명을 위해 전문용역기관에 의뢰하기로 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2일 오전 충남도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달 집중호우로 인해 충남지역에서는 210억 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호우피해로 인해 발생한 주민의 고통과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충남도에서 취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농작물 대파대와 농약대 등 정부 지원은 기본이고, 보다 더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 농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며 "더 나아가 정부와 상의해서 농민을 돕기 위한 예산확보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지사는 "현재 호우피해 원인을 두고 '인재냐' '천재냐' 하는 논쟁이 있다, 이에 대해 우리 도에서는 도 감사위원회의 감사 결과보고서에 머무르지 않고 수해 농민과 함께 전문용역기관에 사고 원인을 규명하도록 의뢰할 계획"이라며 "원인규명과 농민지원 두 가지를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충남 호우 피해, 천재인가 인재인가

 

충남도가 이처럼 호우피해 원인 규명을 명확히 하려는 데에는 주민들이 이번 호우피해의 원인을 충남도가 발주한 4대강 사업으로 지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충남 논산시 성동면 주민은 지난 달 9,10일 내린 집중호우로 비닐하우스 등이 침수돼 막대한 피해를 봤다면서 충남도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주민은 특히, 이번 침수피해 원인은 충남도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발주한 '금강 3공구 개척지구'의 배수문 공사가 계획보다 늦게 완료되어 침수피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전북 익산시 망성면과 용안면 주민들도 충남도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발주한 '금강3공구'의 중포 배수문 공사가 완료예정일 보다 늦어져 침수피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면서 충남도의 피해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들의 주장에 대해 배수문 관리를 맡고 있는 농어촌기반공사와 시공사 등은 이번 호우피해는 엄청난 양의 호우로 인한 '천재'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부의 4대강 사업을 반대하면서도 대행 사업을 진행하며 공사를 발주한 충남도의 입장이 난처하게 됐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충남 논산과 전북 익산 주민들이 충남도청을 찾아 항의집회를 열자 직접 주민을 만나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호우피해 원인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에 원인규명을 의뢰했으니 그 결과를 지켜보자"며 즉답을 피했었다. 이에 주민들이 중앙정부의 조사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고, 결국 충남도가 전문용역기관에 원인규명을 의뢰하기로 한 것이다.

 

4대강 사업이 올해의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줄였는지, 또는 더 키웠는지를 놓고 정부와 환경단체 등의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과연 이번 금강에서의 호우피해 원인이 충남도가 발주한 4대강 사업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가 또 다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이날 안 지사는 이번 8월을 2012년 국비확보를 위한 달로 정하고 청와대와 정부, 국회 등을 방문해 현안 사업에 대한 예산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도청이전 사업비와 서해유류피해사고 관련 지역경제활성화 사업 예산, 또 구제역과 호우피해로 인한 복구 사업비 등 시급하고 중요한 현안이 많이 있다"며 "이러한 사업의 예산확보를 위해 여야 충남도당위원장들과도 협조를 구하는 등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또 월 1회 도지사가 직접 상담에 나서는 '충남 테크 비즈존(KTX 천안아산역사 2층 소재)' 운영과 관련 "충남에 투자한 기업들의 토착화, 충남기업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직접 들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러한 경제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정책에 있어서도 보다 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유성기업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아서 마음이 무거운데, 민주노총이나 한국노총 등 노동계와 경총 등 사업자, 또 교수와 시민사회 등이 골고루 참여하는 논의구조를 만들어 충남을 안정적이고 좋은 노동시장으로 만드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노사의 자율합의와 교섭이 원칙이다, 더 이상 정부는 20세기처럼 부당하게 한 쪽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안정적인 일자리가 안정적인 소비자를 만들고, 안정적인 소비자는 안정적 생산활동의 기반이 된다, 이러한 선순환 지역경제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 안정적인 기업정책이고, 혁신적인 노동정책의 목표다"라고 강조했다.


태그:#안희정, #충청남도, #호우피해, #4대강, #금강살리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