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남 순천시 승주읍 조계산 동쪽에 자리하고 선암사는, 백제성왕 5년인 527년에 현재의 비로암지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당시 지금은 조계산이라고 부르고 있는 산명을, '청량산'이라고 했으며, 절 이름도 '해천사(海川寺)'라 하였다. 그 후 도선국사가 현 위치에 절을 중창하고, 1철불 2보탑, 3부도를 세워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의천대각국사가 대각암에 주석하면서 선암사를 중창할 때는, 법당 13, 전각 12, 요사 26, 산암 19개 소 등의 방대한 규모였다고 전한다. 이렇게 오랜 고찰로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 선암사는 많은 문화재들이 자리하고 있으며, 홍매화 등의 천연기념물도 경내에 있는 호남의 중심사찰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산으로 오르는 길에 바위가 있다

 

선암사를 들어가려면 선암교 옆을 지나 일주문을 향해 걸어야 한다. 일주문 가까이 가면 길이 갈라진다. 일주문 방향과 좌측 대각암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계단을 오르면 대각암으로 올라가는 숲길이 보인다. 지난 3월 5일 선암사를 답사하는 날, 바삐 경내를 촬영하고 선암사 마애불을 찾아 나섰다. 경내에서 만난 스님께 마애불의 위치를 물으니, 숲길로 조금만 올라가면 보인다는 것이다.

 

숲은 아직 잎이 나지 않아 조금은 스산하다. 하지만 그 냄새야 어디로 갈 것인가? 심호흡을 하면서 산길로 접어들었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스님들의 '조금'은, 조금이 아니다. 어느 때는 한 시간 이상을 걸어야 할 때도 있다. 그 '조금에' 참 많이도 곤욕을 치렀는지라, 단단히 마음을 먹고 숲길을 걷기 시작했다.

 

한 20여m나 걸었을까? 좌측으로 큰 바위가 보인다. 산 중에 바위가 있는 것이 별스럽지는 않다. 그저 보기보다는 큰 바위가 있어 쳐다 보니, 무엇인가 그림이 있는 듯하다. 앞을 보니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준비를 단단히 하고 찾아 오른 선암사 마애불이다.

 

7m 높이의 암벽에 새겨진 고려시대 마애불

 

여러 조각으로 난 커다란 바위에 음각으로 새겨진 거대마애불. 이런 거대마애불은 대개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이다. 선암사 마애불도 고려시대의 거대마애불의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선각으로 처리를 한 것이나, 모든 형태가 큼직한 것이 고려 마애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선암사 마애불은 높이 7m 정도의 암벽에 마애불의 높이는 4,8m 정도이다. 이 마애불은 머리에 나발의 머리에 육계가 솟아있고, 상호는 원만하며 이마에는 백호가 뚜렷하다. 마애불을 새긴 바위도 아래편에 금이 가 마애불이 서로 떨어진 바위에 조성을 한 것처럼 보인다.

 

마애불 안면의 입은 작고 코는 좌우로 넓게 퍼져있으나 균형이 잡혀 있고, 눈초리가 위로 치켜져 올라간 모습이다. 또 상호에 비해 귀가 비교적 크게 묘사되어 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며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왼쪽 팔에 걸친 옷과 가슴을 내려 덮은 옷이, 밑으로 흘러내리면서 몸 전체를 덮고 있다.

 

당당한 모습에 반하다

 

수인은 오른손을 다리 쪽으로 수직이 되게 내려뜨려 손가락을 펴고 있으며, 왼손은 팔을 굽혀 가슴 위에 붙였다. 왼손의 수인은 엄지와 중지를 모은 '중품인'을 취하고 있다. 가슴에는 흐릿하게 '만(卍)' 자가 음각되어있는데, 이 글자가 처음 이 마애불을 조성할 때 함께 조각을 한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이 마애불은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으나 단아한 얼굴이나 정교한 나발의 표현 등으로 볼 때,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이 된 것 같지는 않다.

 

현재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선암사마애불. 천년 세월을 풍화에 씻기어 많이 마모가 되기는 하였어도, 그 당당함은 사라지지 않았다. 오랜 세월이 흘러 바위가 갈라지는 바람에 다리 부분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전체적인 마애불의 윤곽을 그리는 데는 부족함이 없다.

 

어디를 가나 마애불이 있다고 하면 우선 찾아보고 싶은 마음은, 그 마애불을 조성한 장인의 마음을 읽어내고 싶어서이다. 가파른 암벽에 어떻게 저렇게 조각을 한 것일까? 그것이 알고 싶기도 하고.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그 해답을 얻기까지는 마애불을 떠나지 못할 듯하다.


태그:#선암사마애불, #전남, #순천시, #문화재자료, #고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