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처진소나무와 솟을대문이 어우러지는 괴산 애한정.
▲ 애한정 처진소나무와 솟을대문이 어우러지는 괴산 애한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괴산의 내한정은 정자 중에서도 그 의미나 경계가 남다른 곳이다. 괴강 삼거리 가까이 있는 애한정은 뒤로는 소나무 숲이 우거지고, 앞으로는 괴강이 흐르고 있다. 애한정은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을 의주까지 호위를 하여 그 공으로 별좌에 올랐다가, 광해군 때 낙향한 박지겸이 광해군 6년인 1614에 지은 정자 겸 아이들을 가르치던 학당이다. 원래의 애한정은 현재의 애한정 앞에 서 있다.

두 채가 나란히 서 있는 애한정

애한정으로 오르다가 보면 현 애한정 앞에 흙 담으로 둘러 친 정면 3칸, 측면 한 칸 반의집이 있다. 앞으로는 느티나무 보호수들이 둘러친 이 전각이 바로 박지겸이 처음에 지은 애한정이다. 이 구 애한정은 지금은 퇴락하여 여기저기 담에 흙이 떨어져 있다. 애한정을 바라보고 좌측 한 칸은 마루를 만들고, 우측 두 칸은 방을 드렸는데, 툇마루와 대청마루를 연결해 전체를 놓았다.

예전 처음으로 지었던 애한정. 주변 느티나무와 어우러져 빼어난 풍취를 자랑하고 있다.
▲ 구 애한정 예전 처음으로 지었던 애한정. 주변 느티나무와 어우러져 빼어난 풍취를 자랑하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위로 오르면 솟을대문이 있는 애한정이 보인다. 솟을대문 앞에는 처진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어 솟을대문과 어우러진다. 솟을대문은 양반가의 대문처럼 우측에 쪽문을 내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이면서도 하나의 독립된 가옥으로서의 구조를 하고 있는 애한정, 아마 학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이런 구조로 정자를 꾸민 것 같다. 솟을대문은 좌측에는 방을 드려 놓았다.  

이 새로운 애한정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박지겸의 손자인 박연준이 군수 황세구의 도움을 받아 새로 짓고, 그 후 숙종 38년인 1712년, 숙종 44년인 1718년, 영조 51년인 1775년에 중수를 하였다. 최근에는 1979년에 중수하였으며 정면 6칸, 측면 2칸 반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꾸몄다.

양반가의 집들처럼 솟을대문 우측에 쪽문을 내었다.
▲ 쪽문 양반가의 집들처럼 솟을대문 우측에 쪽문을 내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후일 새롭게 조성을 한 애한정. 정면 6칸으로 꾸며진 애한정은 뒤편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있다.
▲ 애한정 후일 새롭게 조성을 한 애한정. 정면 6칸으로 꾸며진 애한정은 뒤편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팔각의 주춧돌을 사용한 정자

정자에는 애한정(愛閑亭)이라는 현판이 대청 우측으로 걸려있고, 안에는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박지겸이 지은 '애한정기'와 '애한정팔경시'등 많은 편액이 걸려 있다. 그 중 눈에 띠는 것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우암 송시열이 지은 '애한정이창기'와 '제애한정기첩후'이다. 그리고 몇 개의 편액이 더 걸려있다.

정면 6칸으로 된 애한정은 정자를 바라보면서 좌측의 한 칸은 누정 형태로 높게 꾸몄다. 그리고 앞을 문양으로 내어 마감을 했으며, 방안으로 들어가면 다락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중앙에는 두 칸 대청이 있으며, 우측의 두 칸도 방으로 꾸몄다. 중앙 대청의 앞 창호는 모두 올려서 위로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애한정의 대청에는 박지겸, 소이열 등이 쓴 글의 편액이 걸려있다.
▲ 편액 애한정의 대청에는 박지겸, 소이열 등이 쓴 글의 편액이 걸려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누정과 같은 형태로 만든 끝방은 대청 옆방에서 위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 다락 누정과 같은 형태로 만든 끝방은 대청 옆방에서 위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애한정의 특징은 주춧돌이다. 특이한 형태로 주춧돌을 만들어 놓았는데, 일석을 이용해 맡에는 사각형으로 조성하고, 그 위를 깎아내어 팔각형으로 만들었다. 양편 방 앞으로는 툇마루를 놓았는데, 대청과 연결을 하였다.

팔각으로 조형된 주축돌. 일석을 이용해 아래는 네모나게 다듬고, 위를 팔각으로 다듬었다.
▲ 주춧돌 팔각으로 조형된 주축돌. 일석을 이용해 아래는 네모나게 다듬고, 위를 팔각으로 다듬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애한정

애한정은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곳이다. 뒤편으로는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괴강이 흐르고 있다. 뛰어나게 아름다운 이 정자 앞으로는 다리를 놓기 위해, 몇 년째 교각 공사를 하고 있다. 정자의 뒤편으로 돌아가니 아직 체 녹지 않은 고드름이 처마 끝에 달려있다. 소나무 숲에서 나는 솔향이 싱그럽다.

애한정을 내려 괴강 쪽으로 걸어본다. 주변에 여러 가지 소중한 것들이 모여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들이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다. 백의로 선조 어가를 모시고 그 어려운 길을 다녀 온 박지겸. 아마 그 마음이 닮아 저렇게 높이 하늘을 바라는 것은 아닌지. 괴강 위로 놓인 다리를 달리는 차들의 소음이 시끄럽다. 역사는 그렇게 주변 환경을 바꾸고, 사람들의 모습을 바꾸어 놓는 것인지. 바람 한 점이 몸을 감싸고 계곡으로 달아난다.

애한정의 뒤편은 소나무 숲이다. 처마에 달린 고드름이 아직 남아있다.
▲ 소나무 숲 애한정의 뒤편은 소나무 숲이다. 처마에 달린 고드름이 아직 남아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애한정 현판이 우측으로 갈려있다. 두 칸으로 마련된 대청은 문을 위로 올려 걸어놓게 하였다.
▲ 대청 애한정 현판이 우측으로 갈려있다. 두 칸으로 마련된 대청은 문을 위로 올려 걸어놓게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애한정, #괴산, #박지겸, #팔각주춧돌, #1614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